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다른 성향의 춤이 만나 최대치의 시너지 효과를 본 <난리블루스>


나무의 나이테로 세월을 가늠하듯 무용가들은 춤집으로 그간의 수행과 노력을, 춤과 지내온 세월을 추정해볼 수 있다. 그 결실을 오롯이 드러낸 것이 제로포인트모션(Zero point motion)의 대표 박호빈과 창무회 예술감독이자 최지연무브먼트 대표인 최지연이 보인 작품이었다. 둘은 제29회 창무국제공연예술제에서 <난리블루스>라는 타이틀로 흥미롭고 통쾌한 공연을 가졌다. 이 공연은 8월 23-31일까지 진행된 창무국제공연예술제의 일부로, 8월 29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무대에 올려졌다. 여기서 통쾌하다는 의미는 그들의 춤이 논리나 정형성을 염두해두기 보다는 느낌대로, 감성의 최대치를 끌어내며 카타르시스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최지연과 박호빈은 1993년 창무회의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라는 작품에서 처음 만나 30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 각자 개성이 뚜렷하고 독특함을 지닌 춤 세계를 구축하며 정체성을 잃지 않는 작품으로 대중들과 소통했다. 둘은 2016년에도 <야만·샤만>이라는 작품에서 음악가 원일과의 콜라보로 함께 작업을 이어갔고, 이번 공연 <난리블루스>에서 또 한 번의 무대를 완성한 것이다. 이 작품은 2022년 제8회 고양국제무용제에서 선보였던 것을 재구성한 것으로, 두 안무가 모두 연극적 성격이 짙고 실제 연극작품에 참여했던 만큼 표현력이 뛰어났다. 또한 그동안 본인들 스스로가 수많은 안무작업을 해 온 결과 탄탄한 연출력 역시 돋보였다.



<난리블루스>는 공동창작품인 관계로 각자의 색깔이 보이기도 하고 유기적으로 얽혀 공통된 관심사를 신체의 움직임으로 드라마틱하게 풀어내기도 했다. 작품의 내용은 끝없이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다루면서 이에 주목해 ‘난리블루스’라는 단어에 투영했다. 그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관계를 끊으려고 하면 더 얽혀버리는 복잡하고 알 수 없는 세상 속에서 스스로를 지켜내는 방법을 예시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들이 <난리블루스>라는 뜻에 이중적인 의미를 실어 춤으로 풀어냈다는 점은 재치 있었다. 난리블루스(亂離blues)란 질서가 없이 어지럽고 매우 소란스러운 상태를 이르는 말로 우리는 흔히 그런 상황을 보면서 “난리블루스를 춘다”라는 표현을 쓴다. 그것은 호의적인 의미는 아니나 이 둘이 추는 난리블루스는 진정성이 담겨있어 그 안에 .울림이 있었다. 그것은 인생의 예측 불가한 상황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난리블루스로 또는 그들 춤의 외형적 양식을 정형화되진 않은 몸짓으로 난장에 가깝게 그려나가면서 이를 난리블루스라 언명(言明)한 것이다.



구체적인 이미지로 그들은 공중에서 내려온 흰 실타래 혹은 끈처럼 보이는 사물로 얼기설기 자신의 몸을 감기도 하고 감긴 상태에서 서로의 교차나 접촉을 통해 움직임을 변형, 확장시켰다. 최지연의 응집된 춤사위와 순간적인 폭발력은 여성적이면서도 강인한 인상을 주었고, 박호빈은 자유로우면서도 때로는 무술 같은 움직임으로 역동성을 보였다. 이 둘의 시너지는 재즈처럼 싱코페이션된 리듬, 즉흥춤, 음악과의 강한 연관성으로 인해 극대화 되었다. 최지연이 춤배틀을 벌이듯 먼저 춤을 추면 박호빈이 어느새 들어와 브레이크댄스와 같은 분절적인 춤으로 응수한다. 주거니 받거니 하는 사이에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가요와 춤이 어우러진 공간에 참여해 같이 춤추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특히 최지연은 첫 시작부터 창무회 특유의 강렬하면서도 독창적인 춤어휘를 사용하는 가운데 자신만의 장점인 장단을 갖고 노는 능수능란함을 보였다. 그것은 한국적인 춤사위이기도 하지만 컨템포러리 한국무용의 한 유형이기도 했다. 박호빈 역시 아무렇지 않게 유동적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최지연과의 춤에 있어서의 구조를 빈틈없이 계산하고 있었다. 누군가가 움직이면 누군가는 호흡을 조절하며 각자를 부각시켰다. 누군가가 높이를 낮추면 누군가는 낮춰 높낮이를 조절했다. 따라서 둘의 효율적인 오브제와 공간사용, 마지막 아르코대극장 무대를 오픈해 춤추며 사라지는 엔딩까지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연에 사용된 실타래는 사실적이면서도 은유적이었다. 얽힌 모습을 나타내는 실타래 그리고 사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개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음악 역시 가요에서부터 비트가 강조된 현대음악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완성도를 높였다. 결론적으로 현 시대의 모습을 <난리블루스>라는 한마디로 정의한 이들의 용기와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결합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면서 처절하지만 아름다운 이미지가 인상에 남는 공연임에 틀림없었다. 또한 작품의 주제를 밀도감 있게 담아내면서 그들의 춤집과 안무력을 다시금 각인시켰다.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손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