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Insight_


2017년 3월
2017.04.12
무용문화 변화를 위한 요설
 지난해 말 『한국근대무용사』라는 책을 펴냈다. 그러면서 책의 첫 대목에 이러한 화두를 던졌다. ‘한국 무용은 왜 그들만의 리그인가? 외연을 넓히지 못하고 정반합의 진보적 충돌은 왜 두려워하는 것일까?’ 무용계 혹은 무용과를 경험하면서 느꼈던 이 첫 감정은 몇 년이 지난 뒤에도 크게 변하지 않았고, 한국 무용계에서 변하지 않을 모습으로 느껴졌었다.

 그럼에도 몸으로 표현하기에 어떠한 공연예술보다 가장 정직한 장르였음을 느끼게 되었고, 매일매일 공연을 위해 밤새 연습하고 열정을 쏟아 붓는 모습에 감탄을 하게 되었다. 그런 이유인지 이제 그 ‘리그’에 몸을 담고 여러 모순된 점을 바라보면서 어떤 경우는 쓴 소리를 하려다가도 멈추게 되는 것도 그런 본질적인 무용에 대한 마력 때문일 것이다.

 그러다가도 또 모순되거나 본질적인 문제에 다시 직면하면 화나게 만든다. 그 열정은 인정하지만 하루 이틀 공연을 위한 고비용 저효율의 문화구조, 즉 단순하게 예술혼을 불태운다고 하기에는 경제적인 현실 문제가 존재하고, 또 거기엔 일부의 권력과 자본에 의해 움직이는 어느 사회에서나 볼 수 있는 먹이 사슬이다 보니 근본적인 해결책이 딱히 생각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이 구조가 쉽게 변화하지 않겠다는 생각과 함께 무용계가 자신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사회, 대중과 소통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도태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항상 걱정되는 화두로 남게 되었다.

 요즘 들어 모든 대학이 구조조정 문제에 힘겨워하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해 고교 졸업생보다 대학 정원이 많아지는 기현상이 서서히 벌어졌고,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학평가에 의해 자의반타의반 대학은 체질 개선에 힘을 쏟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문제는 우선 인문 계열과 예술계 특히 무용과가 대상에 놓이게 되었다. 이는 자조적으로 이야기하는 ‘벚꽃 지는 순서대로 무용과가 없어진다’는 말처럼 여러 대학의 무용과가 없어졌고 다른 과들과 통합하는 현상이 몇 년째 계속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보면서 안타까움과 함께 그동안 시대를 얼마나 자세히 관찰하고 스스로를 구하기 위해 변혁하고 많은 반성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본다. 무용과가 생긴 이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얼마나 현실에 맞게 커리큘럼에 변화를 주었고, 자율적 행동을 통해 사회와 소통하였는지 생각해보면 울타리에 머물며 보신(保身)만 하였고, 지금도 그러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른바 순수예술은 문화원형과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토대이므로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한다. 그렇지만 사회와 소통하지 않고 그들만의 리그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경제적 논리에 혹은 상업성에 잠식당하고 말 것이다.

 여기서 요설만 늘어놓지 말고 그에 대한 뚜렷한 대안을 마련해보라고 질문한다면 스스로도 딱히 대답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의 본질이 무엇이며 장삼이사(張三李四)와 소통하는 구조를 만드는 생산성이 무엇인가라는 기본적 질문부터 대학교육으로 무용이 어떤 의미인지를 세심하게 모든 구성원이 고민한다면 무언가 해쳐나갈 힘이 생기지 않을까 상식적인 이야기만 늘어놓는다.




글_ 편집자문 김호연(문화평론가)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51개(1/3페이지)
INSIGHT
발행월 제목
2020년 4월 코로나19 시대 공연예술의 새 지형도
2019년 2월 미투, 무용계가 잃어버린 몸의 주권을 회복하기 위한 외침
2019년 1월 춤현장에서의 대중 소외와 예술 민주화
2018년 11월 ‘감히’가 짓밟은 인간의 윤리를 묻는다
2018년 10월 현하(現下) 백세시대에서 요설(饒舌)
2018년 8월 ‘국립무용센터’- 명실상부 대한민국 무용계의 빅 텐트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2018년 7월 담론의 부재를 말하다
2018년 6월 한국무용진흥의 유일한 방안은 국립무용센터 건립이다
2018년 5월 언론과 대중의 환호에 취한 국립무용단체들
2018년 3월 권력이 난무하는 무용계에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위드유
2018년 1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예술가의 창조력
2017년 11월 새로운 무용학을 기대하며
2017년 9월 아름다운 계절, 의미 있는 춤풍경
2017년 6월 무용계 복지를 향한 큰 한걸음: 현대무용협동조합 결성을 바라보는 시각
2017년 5월 겁쟁이들의 천국 춤계가 건강한 예술생태계로 거듭나기 위한 진통의 시기
2017년 4월 불편한 진실: 진정 우리 모두는 ‘아Q’가 되고 말 것인가?
2017년 3월 무용문화 변화를 위한 요설
2017년 2월 4차 산업혁명과 무용의 미래
2017년 1월 신임 한국무용협회 이사장에게 거는 기대
2016년 12월 무용가들의 세치 혀에 춤추는 언론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