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Issue_ 주목! 이 행사


2017년 5월
2017.06.05
무대 밖에서 만나는 발레 - 발레리나 〈춤추는 꽃, 발레〉
 공연장이 아닌 전시장에서 발레를 만나는 것은 어떤 형태가 될까. <춤추는 꽃, 발레>는 무대 위 아름다운 발레의 감동을 무대 밖에서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유니버설발레단의 도움을 받아 각종 의상과, 소품, 사진 등으로 전시를 꾸렸다.

 전시를 크게 나누자면 유니버설발레단의 연혁과 역사를 볼 수 있는 1층, 네 가지의 클래식 발레 레퍼토리에 대한 의상과 소품이 전시된 2층, 공연실황 DVD를 관람할 수 있는 3층으로 구성되어있었다. 1층에는 유니버설발레단의 연혁이 한 벽면을 채우고 있었으며, 문훈숙 단장의 어린 시절 일기, 사진, 신문기사 등이 전시 되어있었다. 유니버설 발레단의 창작 레퍼토리인 <심청>의 의상과 소품 등도 작품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한 편에 전시되어 있었다.



 비교적 볼거리가 다양한 2층에는 클래식 발레 레퍼토리인 <돈키호테>,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지젤>이 작게나마 무대를 전시 공간으로 옮겨온 듯했다. 실제 깃털로 제작되었던 <백조의 호수>초연 당시의 의상을 비롯해 무대 장치와 소품 등을 통해 객석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자세한 이야기를 듣는 듯 했다. 토슈즈를 직접 신어볼 수 있는 구역도 마련되어 있었고, 왕관이나 소품 등도 착용해 볼 수 있도록 준비돼있었다.





 공연실황 DVD는 직사각형의 작은 방에서 흰 벽을 이용해 재생되고 있었다.

 발레를 공연장이 아닌 전시장으로 가져와서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시도는 좋았으나, 전체적으로 허술한 구성이 아쉬웠다. 이미 무대 위에서 보여진 것들을 조금 더 가까이에서 본다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었으며, 가짓수조차 너무나 빈약했다. 취미로 발레를 배우며 발레에 대한 관심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관람객에게는 몇몇 군데의 사진촬영을 할 수 있는 포인트와 무대의상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기회로 어느 정도 만족감을 느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시의 기준으로 봤을 때 발레에 대한 정보 제공, 기록에 대한 공정성 부분에서 전시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은 아쉬운 전시였다. 최근 발레에 대한 대중의 관심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무용 인구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다른 예술장르가 아닌 무용을 선택할 수 있을 만큼 매력적이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글·사진_ 인턴기자 김미레(이화여대 무용과 석사)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1개(1/4페이지)
ISSUE
발행월 제목
2020년 5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춤 공동체는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1): 전미무용교육협회(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NDEO)의 온라인 무용교육 지침
2020년 5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그리고 스트릿 댄스의 미적 사유
2019년 6월 완벽하지 않음과 완벽함을 오가는 인간의 딜레마 -
<완벽하지 않은 완벽함(Imperfectly Perfect)> 안무가 허용순
2019년 2월 무용계의 뜨거운 감자, 무용저작권의 이해와 개선의 필요성 :
무용역사기록학회의 ‘한국 무용저작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을 위한 포럼
2019년 2월 여전히 안녕한 블랙리스트
2019년 1월 여성에 대한 일반의 통념에 정지버튼을 누르고 싶었다
- [ Nutcrusher ]로 돌아온 현대무용가 허성임과의 인터뷰
2018년 12월 완도에서 겪은 생태예술(EcoArt) 이야기와 가치 있는 보전에 대한 느낌
2018년 10월 국립무용센터 건립 추진단 지역 간담회에 붙여
- 국립무용센터 건립 추진을 보는 지역의 시선 하나.
2018년 9월 시대와 사회를 통해 본 춤에 대한 학제적 관점
- 제20회 무용역사기록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총평
2018년 8월 아메리칸 드림을 이룬 안무가 주재만
2018년 7월 ‘이팝, 신의 꽃’: 민중생활사와 소리 그리고 몸짓의 생태학
2018년 5월 이정연 안무가와 TY스튜디오 현소영, 김진태 대표
2017년 12월 코리아댄스커넥션 2017 국제포럼
2017년 12월 몸과 정신의 통합으로 일상을 혁신하다 - 펠든크라이스 메소드(Feldenkrais Method)
2017년 11월 예술가를 위한 펠든크라이스 워크샵을 마치고
2017년 9월 차이를 극복하는 무용교육의 힘 - 제 30회 국제 라반기록 협의회 학술대회(International Council of Kinetography Laban/Labanotation)
2017년 7월 판소리를 보여주기, 판소리로 실험하기 - 베를린, 파리 그리고 다른 곳에서 -
2017년 6월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예술감독이 말하는 국립현대무용단의 정체성
2017년 5월 무대 밖에서 만나는 발레 - 발레리나 〈춤추는 꽃, 발레〉
2017년 4월 무용후원으로 앙트러프러너십을 실천하는 LIG문화재단 구자훈 이사장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