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서서히 여러 공연들이 재개중이다. 코로나 증가세가 한 풀 꺾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 잠재적 위험을 간과해선 안 된다. 특히나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철저히 실행되어야 한다. 정동극장에서 시행되는 기획 공연들도 예술의 전당과 같이 한 좌석씩 띄워 앉는 ‘거리두기 좌석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4월호 프리뷰는 정동극장 예술단의 첫 정기 공연 <시나위, 몽(夢)>이다. ‘꿈 몽’ 한자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몽상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룰 것 같았는데 작품을 보니 살아 있는 자들의 굿판이다. 본래 굿이 죽은 영혼을 기리기 위한 목적이지만 <시나위, 몽(夢)>은 굿판의 개념을 달리 해석하였다. 산 자들을 위한 위로로써 전통적 굿을 역설한다.
시나위에 대해 생소해 하는 독자들을 위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시나위'는 국악의 즉흥 양식이다.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음악으로 기본적 틀은 존재하지만 고정된 선율이 없어 흐름이 유동적이고, 즉흥적으로 악기가 서로 엇갈리는 가락을 연주하는 기악 합주곡이다. '시나위'의 매력은 부조화 속에서 조화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

정동극장 예술단 정기공연 <시나위, 몽(夢)>은 관념적인 내용을 다루지만, 양식적으로는 파격적 형식을 시도한다. 먼저 영상미를 극대화한 과감한 무대 연출을 선보인다. 빔 프로젝터 5대를 활용해 무대 3면에 영상을 투사해 새로운 공간을 연출한다. 달팽이를 모티브로 한 구조적이고, 몽환적 분위기의 영상 디자인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극대화 하며 공간 미학을 더한다. 투시와 착시효과 등 다양한 영상 기법이 무용수의 신체 표현과 어우러지게 함으로써 영상을 단순한 배경이 아닌, 무용수와 춤의 공간으로 생산해 세련된 공연 미학을 만들어 내겠다는 시도다.
뿐만 아니라 정동극장만의 스타일을 보여주겠다는 포부를 갖고 색다른 한국무용 춤사위를 보여준다. 최신 트렌드 춤인 어반댄스와 한국무용을 접목시키면서 기존 한국무용의 깊은 무게감과 호흡이 강조된 움직임에 어반댄스의 격렬한 호흡, 역동성이 가미됐다. 소리도 포함된다. 경기민요 소리꾼 김주현과 함께 새롭게 재해석한 굿 음악 안에 담긴 현대적인 ‘굿판’이 기대된다.
정동극장 예술단이 젊은 무용수들로 구성된 만큼 한국무용이 고리타분할 것이라는 인식을 현대적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끊임없는 예술적 실험으로 창조성을 시도하는 정동극장 예술단의 바람대로 이번 <시나위, 몽(夢)>을 통해 꽤 많은 호평을 끌어내지 않을까 싶다.
글_ 윤혜준 기자
사진제공_정동극장





발행월 | 제목 |
---|---|
2020년 4월 | 정동극장_ <시나위, 몽(夢)> |
2020년 2월 | 경기도립무용단 <률> |
2019년 11월 | <검은 돌 : 모래의 기억> |
2019년 7월 | 벽파 박재희 춤 <명불허전> |
2019년 6월 | Art Project BORA & Guest |
2019년 5월 | 2019 MODAFE 모다페 |
2019년 4월 | 제 19회 LDP 정기공연 |
2019년 3월 | 부산시립무용단 2019 우리춤 산책 |
2018년 12월 | 공연예술창작산실 - <매스? 게임!> |
2018년 11월 | 2018 대한민국무용대상 |
2018년 10월 | 국립무용단 <더 룸> |
2018년 9월 | 2018 수요춤전 - 안명주의 전통춤판 '결' |
2018년 8월 |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 STEP UP > |
2018년 7월 | ‘사랑-인도문화축제(SARANG-Festival of India in Korea)’ |
2018년 6월 | 춤을 통한 지금, 여기의 독법 - 댄스씨어터 창의 ‘S-그 말 못한 이야기’ |
2018년 4월 |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스웨덴 커넥션 Ⅰ〉 |
2018년 3월 | 서울시무용단 창작무용극 〈카르멘〉 |
2018년 2월 | 2018 LDP 제18회 정기공연 |
2018년 1월 | ‘지음(知音: 음악의 곡조를 잘 앎)’의 역사를 잇다 - 국립국악원 특별전 《지음》 |
2017년 12월 | 욕망이 빚어낸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 관하여 - 〈가상 리스트〉 |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