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ew_
2018년 6월
2018.07.05
춤을 통한 지금, 여기의 독법 - 댄스씨어터 창의 ‘S-그 말 못한 이야기’

미투(#MeToo) 운동은 섹슈얼리티와 젠더로 대변되는 비뚤어진 권력 관계를 고발하고 심판하는 정치적 선언이자 지금, 여기를 함께 바꾸어나가자는 운동(#WithYou)으로 이어지고 있다. 오는 7월 22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무대에 오르는 댄스씨어터 창의 공연 ‘S-그 말 못한 이야기’는 미투라는 현재진행형의 사태와 일제하 일본군위안부라는 역사적 사건을 주제로 삼아 개인의 문제로 환원될 수 없는 고통을 춤을 통하여 읽어내려는 시도다.
[영상] 2018 댄스씨어터 창 정기공연 ‘S’
제1부 <RED>
그 공간에는 둘만 있었습니다.
그의 입김도,
그의 손길도,
그의 눈빛까지도 나에게는 큰 무게였습니다.
이제 말해주세요. 뭐라고 이야기해주세요.
그 날에도 둘만 있었습니다.
나의 외침도,
나의 반항도,
나의 슬픈 눈빛까지도 그에게는 아무것도 아니었습니다.
이제 말해주세요. 뭐라고 이야기해주세요.
그냥 묻으려 하지 말고,
그냥 피하려 하지 말고,
이제는 말해주세요. 뭐라고 이야기해주세요.
신작 <RED>는 올해 초부터 확산된 미투 운동에 관한 말하기이다. <RED>는 미투 운동이 폭로하는 불합리한 위계에 의한 성폭력, 그 고통의 이야기를 다룬다. <RED>라는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 무대는 얼마나 많은 사람이 성범죄의 위협에 놓여 있는지에 대하여 경각심을 표지한다. 이로써 <RED>는 그 자체 남성과 여성, 스승과 제자, 선배와 후배 등 모두가 동등한 인격체로 자리할 수 없는 권력 구조에 관한 고발이 되고자 한다.
제2부 <또 다른 봄>
어느 날, 어딘지도 모르고 잡혀 끌려갔던
그곳은 세상의 지옥이었다.
고향을 그리며 그 숨막히는 공간 속에서 울고 또 울었다.
꿈속에서 울밑에 선 봉선화를 보았다.
엄마의 모습도, 따뜻한 고향 집도 아른거렸다.
그 시절 나에겐 봄이 있었다.
그 꿈속을 걸어 다시 돌아왔건만
세월의 아픔은 아직도
뼛속까지 몸서리치게 한다.
이제 또 다른 봄, 저 기억 멀리 사라져간다.
이 땅에 사는 또 다른 봄을 기다리는 모든 이들에게 작은 위로가 되길 바라며…
[영상] <또 다른 봄>(2017년 부산시립무용단 ‘댄스포스’ 기획공연 초청)
<또 다른 봄>은 일제하 일본군위안부라는 민감한 과거를 투영한 작품으로, 2017년 초연 당시에도 안무가 김남진의 직설적이고 선명한 연극적 화법으로 주목받은 바 있다. 2018년의 무대에서 <또 다른 봄>은 미투 운동과 그를 다룬 <RED>와 더불어 동시대와 맞닿아있는 역사의 비극을 반추하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다.
글_ 기자 안수진(서울대 미학 석사과정)
사진_ MCT 제공





68개(1/4페이지)
발행월 | 제목 |
---|---|
2020년 4월 | 정동극장_ <시나위, 몽(夢)> |
2020년 2월 | 경기도립무용단 <률> |
2019년 11월 | <검은 돌 : 모래의 기억> |
2019년 7월 | 벽파 박재희 춤 <명불허전> |
2019년 6월 | Art Project BORA & Guest |
2019년 5월 | 2019 MODAFE 모다페 |
2019년 4월 | 제 19회 LDP 정기공연 |
2019년 3월 | 부산시립무용단 2019 우리춤 산책 |
2018년 12월 | 공연예술창작산실 - <매스? 게임!> |
2018년 11월 | 2018 대한민국무용대상 |
2018년 10월 | 국립무용단 <더 룸> |
2018년 9월 | 2018 수요춤전 - 안명주의 전통춤판 '결' |
2018년 8월 |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 STEP UP > |
2018년 7월 | ‘사랑-인도문화축제(SARANG-Festival of India in Korea)’ |
2018년 6월 | 춤을 통한 지금, 여기의 독법 - 댄스씨어터 창의 ‘S-그 말 못한 이야기’ |
2018년 4월 |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스웨덴 커넥션 Ⅰ〉 |
2018년 3월 | 서울시무용단 창작무용극 〈카르멘〉 |
2018년 2월 | 2018 LDP 제18회 정기공연 |
2018년 1월 | ‘지음(知音: 음악의 곡조를 잘 앎)’의 역사를 잇다 - 국립국악원 특별전 《지음》 |
2017년 12월 | 욕망이 빚어낸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 관하여 - 〈가상 리스트〉 |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