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_ 세계의 춤 자료관
2016년 8월
2016.09.05
브리스톨 대학 씨어터 컬렉션(University of Bristol Theatre Collection)
공공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과 협력기관으로서 아카이브가 운영되거나, 개인적으로 또는 재단을 통해 운영되는 아카이브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아카이브가 바로 대학 소속 아카이브이다. 대학의 아카이브는 박물관이나 도서관에서 볼 수 없는 희귀한 자료들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곧 학교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교내∙외에서 이루어지는 학문적 연구들을 적극 지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자료의 범위가 확장되고 전시나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 활동을 통해 독립적 기관으로써도 손색없는 중요한 기관으로도 거듭나고 있다.
그러한 기관 중 하나가 브리스톨 대학의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University of Bristol Theatre Collection)이다.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은 영국 공연예술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 컬렉션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컬렉션 자료의 양이 매우 방대하고 다양한 주제가 컬렉션 별로 잘 보존되고 있다.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의 수집 정책은 영국 공연예술 중에서도 남서부 지역의 19세기 공연예술,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공연예술 활동들과 관련한 예술 자료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진1] 브리스톨 파크로우의 반딕빌딩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은 1951년 영국 대학 중 최초로 연극 학부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이래로 1572년 이후부터 21세기의 공연예술 관련 자료들이 수집 및 보존되어 왔다. 설립 이후 브리스톨 대학 씨어터 컬렉션은 기관의 근본적인 설립 목적을 브리스톨 대학과 학내 커뮤니티의 연구 자료로 적극 활용하는데 두었고, 나아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공연예술자료 박물관과 연구센터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이 컬렉션의 규모를 확장해왔다.
컬렉션의 이용률이 점차 높아지면서 1998년 씨어터 컬렉션의 박물관이 새 단장을 했다. 특히 스터디룸과 수장고의 상태는 좋은 환경에서 잘 관리되고 있음을 인정받아 2001년 영국의 박물관∙미술관 위원회(Museum and Galleries Commission)으로 부터 인증(Registered Museum Status)을 받았다. 또한 2009년에는 박물관∙도서관∙아카이브 협회(Museum, Libraries and Archives Council)에서 인증(Accredited Museum Status)을 받으면서 영국 내에 대표적인 공연예술 컬렉션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사진2] 브리스톨 대학 씨어터 컬렉션 서가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의 아카이브 자료로는 작품 생산 관련 문서, 사진, 의상디자인, 행정서류, 그림, 프로그램, 티켓, 비디오, 음향 테이프, 박물 등이 있다. 현재까지 약 10만 건이 넘는 자료들의 카탈로그 작업을 마쳤고,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온라인으로 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게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무대 위에서뿐만 아니라 밖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관련한 자료들을 이용자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경험하게 하고, 보존되고 있는 자료들이 널리 이용되고 활용되어 새로운 작품들이 만들어 질 수 있는데 디딤돌 역할을 한다.
파크로우의 반딕빌딩(Vandyc)에 있는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에 방문하면 일부 자료들을 전시를 통해 볼 수도 있고 씨어터 컬렉션직원을 통해 개인적으로 자료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 자료들 중에 저작권 문제나 자료 상태에 따라 이용가능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아키비스트를 통해 확인하고 방문해야 한다. 그리고 보유하고 있는 자료들이 파크 로우(Park Row)와 랭포드(Langford)에 위치한 수장고에 나누어 보존되고 있기 때문에 자료 배가 정보 역시 확인이 필요하다.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은 공연예술 관련 전문 도서 보유량도 상당한데, 약 20,000점이 넘는 공연예술 관련 도서와 300개 회사의 저널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서들은 파크 로우에서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희귀본들의 경우에만 직원과 상의 하에 열람할 수 있다. 리딩룸에는 자료를 열람하거나 관련 연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뷰잉룸에는 말 그대로 영상 및 음향 플레이어와 마이크로피시(마이크로 필름의 한 종류) 리더기가 비치되어 있어 사전 요청에 한해 원하는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다.


[사진3/4] 브리스톨 대학 씨어터 컬렉션 사이트
브리스톨 씨어터 컬렉션은 앞으로도 영국 공연예술사적으로 가치 있는 자료들을 수집하고 보존하는데 주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교육, 예술 활동 등을 더욱 활발히 할 것이며, 예술가들과 연구자, 문화예술 분야의 크고 작은 단체나 기관, 그리고 일반 대중들과의 소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대학 소속 기관으로서만이 아닌 국내외적으로 공연예술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독립적 기관으로 자리잡는데 중요한 의미가 될 것이다.
글_ 김도연(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UCL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석사)
참고사이트_
http://www.bristol.ac.uk/theatre-collection/
사진출처_
http://b247cdn.co.uk/img/bristol-university-theatre-collection-1441603402.jpg
http://s0.geograph.org.uk/geophotos/04/40/28/4402834_2f57b368.jpg=





42개(1/3페이지)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