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_ 세계의 춤 자료관
2017년 6월
2017.06.30
베네쉬 연구소(The Benesh Institute&Benesh Movement Notation)
베네쉬 연구소는 베네쉬 동작 기록법(Benesh Movement Notation, 이하 BMN)에 대한 연구와 무보 기록 및 보존을 위한 국제 센터이다. 1962년 루돌프 베네쉬(Rudolf Benesh) 감독 아래 프레드릭 애쉬톤(Frederick Ashton), 아놀드 하스켈(Arnold Haskell)이 공동대표로, 니콜라스 트롬굴(Nicholas Gromgoole)이 이사장으로 구성되어 설립되었다. 1990년에는 로열발레단 솔리스트였고 로열 발레 스쿨에서 무용 기록법(notation)을 배운 앤드류 워드(Andrew Ward)는 베네쉬 연구소의 디렉터를 맡게 된다. 그가 디렉터가 된 뒤, 1997년 베네쉬 연구소는 로열 댄스 아카데미(Royal Academy of Dance)에 소속되어 운영되어 왔다. 베네쉬 연구소는 BMN 기록을 생산하고 보존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춤 전문성과 문화유산, 무용 기록의 보존과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기관의 설립 목적으로 두고 있다.
화가였던 루돌프 베네쉬(Rudolf Benesh)와 발레리나였던 그의 아내 조안 베네쉬(Joan Benesh)가 고안한 베네쉬 동작 기록법 'BMN'은 1956년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BMN은 인간의 움직임을 기록한 시스템으로 무용 작품을 기록하고 재현하기 위해 널리 쓰였다. 이후 베네쉬 연구소를 통해 약 1,750점이 넘는 BMN이 만들어졌고 이는 동작 분석 등과 같은 연구와 무용 지도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 로열 댄스 아카데미에서는 교육용 지도서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는 표준이 되어 무용 지도자들에게 공용되기도 했는데, 단지 글로 된 설명이나 영상으로만 지도될 수 없는 부분을 채워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베네쉬 연구소는 이러한 이점 외에도 BMN이 여러 가지 목적과 용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BMN 무보를 통해 안무가들은 그들의 작품 제작 과정을 기록할 수 있고, 이는 작품에 대한 저작권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무용수들은 그들의 역할과 동작을 무보를 통해 배움으로써 새로운 교육 방법론이 개발 될 수 있는데, 무용 동작과 관련한 용어나 다양한 기술을 무보를 통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다. 언어의 장벽에서 벗어나 무용수들과 관련 스탭들이 무보를 통해 소통할 수 있으며, 지도자들은 레퍼토리를 만들고 수업과 작품을 단계별로 계획하고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사진 1] Benesh Movement Notation example
베네쉬 연구소의 무보 컬렉션은 1955년부터 1998년까지 약 40년 이상에 걸쳐 제작된 무용 작품들에 대한 무보를 포함하고 있다. 무보의 목록은 약 32페이지에 달하며 안무가, 작품, 작곡가, 기록자, 용도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베네쉬 연구소는 지속적으로 이 정보를 보완하고 추가되는 정보들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사진 2] BMN Score Catalogue
이 중 250점이 넘는 무보가 교육, 연구, 지도에 사용되고 있고, 동작•리듬•구조 등의 분석도구로도 주로 쓰여지고 있다. 또한 인류학 연구나 임상연구를 위한 도구로도 쓰여지고 있는데 우간다 춤에 대한 연구나 뇌성마비에 대한 임상실험에 BMN이 사용된 사례들이 있다. 현재 베네쉬 연구소와 함께 운영되고 있는 로열 댄스 아카데미의 필립스 리차드 도서관에도 피터 라잇의 호두까기인형(Peter Wright's The Nutcracker), 맥밀란의 로미오와 줄리엣(MacMillan's Romeo and Juliet), 애쉬톤의 말괄량이 딸(Ashton's La Fille mal Gardée)등을 포함한 약 500점이 넘는 무보를 보존하고 있어 아카데미 내외부적으로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쓰이고 있다.
연구소가 기록하고 보존해온 BMN 자료들은 로열 댄스 아카데미의 지도자, 무용수들 뿐만 아니라 영국 내외의 무용 학자, 학생 등이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BMN은 아메리칸 발레단, 뉴욕 시티 발레단, 램버트 댄스 컴퍼니, 샌프란시스코 발레단, 로열 스웨덴 발레단 등의 단체들이 그들의 작품을 기록하기 위해 실제로 사용했으며, 영국 국립 발레단, 함부르크 발레단, 버밍엄 로열 발레단, 스코티쉬 발레단, 슈투트가르트 발레단, 더 로열 발레단 등은 베네쉬 연구소가 제공하는 BMN 활용 자격증 제도를 적용시킴으로써 연구소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베네쉬 연구소는 단순히 무용과 관련된 자료(결과물)들을 수집 및 보존하는 다른 아카이브와 달리, 기록 방법론을 직접 연구하고 그 기록들을 보존 및 활용하여 국내외적으로 많은 단체들과 커뮤니티, 개인 학자들과 무용수들을 지원한다. 비록 베네쉬 연구소의 자료의 양이나 기관의 규모가 작아 컬렉션 수준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들만의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교육 등 지속적인 노력으로 그들만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글_ 김도연(한국외대 정보기록학 박사과정/런던대학교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석사)
참고 사이트_ https://www.rad.org.uk/study/Benesh





42개(1/3페이지)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