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Archive_ Re-collection


2014년 9월
2014.09.23
최초의 한류스타 최승희 (1911-1967)


      

[사진1] 1930년대 여성(무허 정해창 작품, 일민미술관)  [사진2] 최승희 야외무용(1936년, 작가미상) 

                                                       
  1930년대 일제강점기, 위의 두 사진이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이다. [사진 1]에는 우리가 그동안 풍속화나 시대극 등을 통해 비교적 자주 봐왔고, 머릿속으로 한 번쯤 그려봤을 법한 평범한 아낙네의 모습이, [사진 2]에는 당시의 시대상을 염두에 두고서는 도저히 상상 할 수 없는 파격적인 신여성의 모습이 담겨있다. 다소곳이 옷깃을 여민 채 걸어가는 [사진 1]의 여인들과는 달리 살갗을 그대로 드러낸 채 드넓은 초원 위를 나비처럼 가볍게 뛰어올라 발끝을 곧게 펴고 무릎을 굽혀 높게 끌어올린 외국무용 동작을 완벽히 소화해낸 [사진 2] 속의 여인은 바로 무용가 최승희(1911~1969)이다. 그녀의 이름 석 자 앞에는 항상 전설의 무희, 동양의 진주, 월북무용가, 친일무용가 등의 다양한 수식어들이 붙어왔지만 이러한 평가적, 역사적 수식어는 차치하더라도 그녀가 한국적 미와 춤을 세계 각지에 알린 최초의 한류 스타였음은 결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진3] 최승희 중국공연 팜플렛 (1942년)


  한류스타로서 최승희의 활동은 지금의 소녀시대, 빅뱅과 같은 아이돌스타들의 활동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1936년 말부터 4년간 일본, 중국, 미국, 유럽 및 중남미 지역 해외순회공연을 성황리에 마쳤으며 1944년 동경제국극장에서 17일간 총 24회의 무대에 오름으로써 최장기 독무공연 세계기록을 세웠다. 이는 아이돌 그룹 빅뱅이 12개국에서 80만 관객을 동원한 월드투어와 77만 1천 명의 관객을 모은 일본 6대 돔 투어를 개최한 기록과 맞먹는다. 아니, 지금처럼 다양한 매체를 통한 문화교류가 활발하지 않았던 시절임을 감안한다면 그보다 훨씬 더 대단한 기록이 아닐 수 없다.


                    


[사진4] 대학목약 모델-최승희 (1937. 12. 14 동아일보)


  춤을 추는 것 이외에도 예능인으로서 다재다능한 면모를 갖췄던 최승희는 무용공연, 작품 안무활동 이외에 다양한 분야로 활동영역을 넓혀나갔다. 그녀는 1936년 일본 콜럼비아 레코드사와 전속계약을 통해 당시에는 익숙지 않았던 재즈와 탱고 선율이 담긴 노래인 <향수의 무희>와 <이태리 정원>을 직접 취입하여 발매하였다. 특히 <향수의 무희>는 직접 작곡까지 맡았는데, 이 또한 그녀의 ‘만능 엔터테이너’로서의 자질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1935년 <반도의 무희>라는 영화 출연과 1940년대 초까지 화장품, 조미료, 의약품, 레코드 회사 등의 모델 활동을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최승희의 트레이드마크인 단발머리(일명 보브 스타일)는 당시 신여성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여 크게 유행을 끌기도 했다.


  이처럼 길지 않은 일생동안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친 최승희는 단지 한 명의 무용수라기보다는 시대를 앞서나간 최초의 한류스타로서 ‘트렌드 세터(Trend setter)’에 가까워 보인다. 만약 최승희가 일제강점기 때의 인물이 아닌, 현존하는 인물이었다면 어떤 모습이었을까? 노래, 춤, 연기를 두루 섭렵하여 광고계를 완전히 손에 거머쥔 스포츠 스타 김연아? 아니면 어린나이부터 일찍이 아시아의 별이라 불리며 최근 헐리우드 영화에까지 진출한 가수 보아? 짐작컨대 이 둘은 물론이거니와 그 누구도 비길만한 자가 없는, 오늘날 각계에서 원하는 진정한 ‘융합형 인재’로서 미래를 선도해나가지 않았을까? 



글_ 인턴기자 신찬은(성균관대 예술학협동과정 석사2기)



사진 출처
사진1_한국무용사전, 메디컬코리아 편집부, 2011.10.24, 메디컬코리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8053&cid=42689&categoryId=42689
사진2_ 우민 님의 블로그-조선시대 사진 모음
http://blog.daum.net/byukwoo/3122418
사진3_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근대의 음악),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76050&cid=49330&categoryId=49330
사진4_디자인 정글-매거진 한국광고 120년의 고백
http://magazine.jungle.co.kr/cat_magazine_special/detail_view.asp?master_idx=14793&pagenum=1&temptype=5&page=1&code=&menu_idx=149&main_menu_idx=74&sub_menu_idx=40&all_flag=1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41개(1/3페이지)
ARCHIVE
발행월 제목
2019년 6월 [Re-collection] 정재와 민속춤의 전승 매개자 정소산(1904-1978)
2019년 2월 [Re-collection] 한국 전통춤의 현대적 계승자, 조원경(趙元庚, 1929-2005)
2019년 1월 [Re-collection] 한국무용을 통한 젠더의 교차, 이매방(李梅芳, 1927-2015)
2018년 11월 [Re-collection] 황해도탈춤, 해주검무, 배뱅이굿의 명인 양소운(1924-2008)
2018년 10월 [Re-collection] 한국무용의 글로컬 상징, 김백봉 (金白峰, 1927-현재)
2018년 9월 [Re-collection] 지역 정서의 서사적 구조를 통한 창조적 전통춤꾼 김수악(1926-2009)
2018년 8월 [Re-collection] 소리와 춤을 겸비한 소고춤의 명인 안채봉(1920-1999)
2018년 7월 [Re-collection] 토착적인 한국 발레의 시작, 진수방(陳壽芳, 1921-1995)
2018년 6월 [Re-collection] 비운의 발레리노 혹은 해방 공간의 모던보이, 정지수(鄭志樹, 미상)
2018년 5월 [Re-collection] 바라승무와 함흥검무의 명인 장홍심(1914-1994)
2018년 3월 [Re-collection] 러시아 이고르 모이세예프 국립민속무용단의 유일한 한인 무용수 박 비비안나(Пак Вивиана, 1928-2013)
2017년 12월 [Re-collection] 한국 최초의 전위무용가, 김막인(金漠人, 미상-1950)
2017년 10월 [Re-collection] 해방 공간의 독보적인 교육무용가, 함귀봉(咸貴奉, 미상)
2017년 8월 [Re-collection] 한국 발레의 첫 걸음 - 한동인(1922-?)과 서울발레단
2017년 7월 [Re-collection] 해방 공간 한국무용의 가교, 장추화(張秋華, 1918-?)
2017년 6월 [Re-collection] 독일 탄츠테아터의 아버지, 쿠르트 요스(Kurt Jooss, 1901-1979)
2017년 5월 [Re-collection] 근대 전환기 전통춤의 계승자, 한성준(韓成俊, 1874-1941)
2017년 4월 [Re-collection] 한국 현대무용의 맹아, 박영인 혹은 쿠니 마시미(邦正美, 1908-2007) [1]
2017년 3월 [Re-collection] 무용을 향한 낮은 자리에서의 열정, 김민자(金敏子, 1914-2012)
2017년 1월 [Re-collection] 독재자 박정희에게 농락당한 비운의 무용가 김삼화(金三和, 1935-2012)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