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Article_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2017년 1월
2017.01.31
믿음직스런 근육, 대둔근(gluteus maximus)
 인체근육 중 가장 무겁고 굵은 섬유를 가진 근육이 바로 대둔근(엉덩이 근육, gluteus maximus)이다. 굳이 나누어 말하자면, 복근이 인체의 앞쪽 면을 책임진다면 대둔근은 인체의 뒤쪽 면을 책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대둔근은 중요한 근육이다. 특히 대퇴부의 햄스트링(hamstrings: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반건양근(semitendinosus), 반막양근 (semimembranosus))과 봉공근(sartorius)과 함께 다리를 주관(물론 다른 근육도 함께 필요하지만 주된 근육이라는 의미임)하는 근육이기 때문에 대둔근 강화훈련은 필수적이다[그림1, 그림2 참고]. 대둔근은 앉았다 일어날 때나 계단을 오를 때, 달리기를 할 때 등 일상생활에서의 주동근으로 사용된다. 이에 신전(extension, stretching)운동으로 유연성훈련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많이 하는 스쿼트(squat) 운동 역시 대둔근 강화운동에 속한다. 복근과 함께 대둔근의 훈련은 신체의 중심을 바로 세울 수 있는 근육으로 이 부위에 대한 인지와 함께 훈련이 필요하다.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무조건 대둔근의 수축만을 고집하고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대둔근을 수축한 상태에서는 다리를 들어 올릴 수도, 점프를 편안하게 할 수도 없기 때문에 동작에 따라 대둔근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동작을 편안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발레동작을 할 때나 일상생활에서의 동작을 할 때에 복근과 함께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특히 점프 동작을 할 때에는 대둔근의 power조절을 통한 발전된 점프력을 소개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이번 장에서는 대둔근 강화운동을 소개함으로 발레 동작은 물론 건강한 생활을 위한 대둔근 훈련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상체를 위한 복근 훈련과 함께 하체를 위한 대둔근 훈련을 통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바란다. 다음의 [사진1]은 엎드려 대둔근 신전 운동이고, [사진2]는 스쿼트 자세로 대둔근 운동, [그림3]은 한 다리 들어 올려 대둔근 운동을 보여주는 자세이다.

[그림1] 대둔근과 햄스트링 근육


[그림2] 봉공근


[사진1] 엎드려 대둔근 신전 운동


[사진2] 스쿼트 자세로 대둔근 운동



[그림3] 한 다리 들어 올려 대둔근 운동


글_ 전주현(무용교육박사,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출처_
Jacqui Greene Haas(2010). Dance Anatomy(제임스 전 외 5인, 역). 서울: 푸른솔.
Portia Page(2011). Pilates. 정연옥 외 5인(역). 서울: 영문출판사
Rael Isacowitz & Karen Clippinger(2011). PILATES Anatomy. 이지혜 외 3인(2012.역). 서울: 푸른솔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46개(1/3페이지)
ARTICLE
발행월 제목
2017년 10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운동도 나이에 맞게 나잇값을 생각해야 한다
2017년 8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걷는 것만으로도 몸을 바르게 할 수 있다
2017년 6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아침 기상 후 3분 투자 운동법
2017년 5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뒤축의 비밀, 광배근(Latissimus dorsi)
2017년 4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겨드랑이의 중요성
2017년 3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걷는 모습으로 근골격(筋骨骼) 건강을 알 수 있다
2017년 2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자신의 신체, 수직과 수평을 살펴보라
2017년 1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믿음직스런 근육, 대둔근(gluteus maximus)
2016년 12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과유불급(過猶不及)의 발레동작으로 나타나는 인체의 문제점과 해결 방법
2016년 9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거울을 본다는 의미
2016년 8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뒤태는 기초가 중요하다
2016년 7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삭신이 건강하려면 발바닥을 잘 관리하라
2016년 5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입꼬리 하나에 표정이 달라진다
2016년 3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인간의 특권, ‘직립보행(直立步行)’
2016년 1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대중화 된 ‘발레리나스러움’
2015년 12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숨은 보화, 천장관절(薦腸關節, sacroiliac joint)
2015년 11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눈동자 위치가 자세를 바르게 한다
2015년 10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두 턱의 원인
2015년 9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스트레칭의 중요성
2015년 8월 [발레훈련으로 몸짱되기] 몸 방향의 명칭 및 방향에 따른 자세훈련 (4)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