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Preview_


2016년 12월
2016.12.29
공자의 문(文), 이순신의 무(武), 임학선댄스위의 〈문文·무武·꿈·춤〉

 임학선댄스위의 문묘일무(文廟佾舞) 콘텐츠개발 프로젝트의 완결작이라고 할 수 있는 <문文·무武·꿈·춤>이 오는 1월 18일부터 19일 양일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의 무대에 오른다. 한국창작춤 1세대로 불리는 안무가 임학선은 유학(儒學)과 무용의 융합을 꿈꾸며 한국 춤의 영역이 또 한 차례 확장되는 장을 보여주고자 한다.

 문묘일무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 두 가지 춤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2004년 서울시 무대공연 제작지원으로 초연되었던 <위대한 스승 ‘공자’>가 문무를 콘텐츠화한 작품이라면 201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작품지원작으로 선정되었던 <영웅 ’이순신!‘>은 무무를 콘텐츠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임학선은 제의적 성격이 강했던 초기의 춤 경향에서 일상적이고 서정적인 춤의 세계로 확장되는 안무를 보여주며 전작 <영웅 ’이순신!‘>에서도 유학, 무용, 영상 등을 한국창작춤에 접목시키는 등 무대에서 한국 춤의 새로운 지평을 그리며 나아가고자 한다.


 2004년 <공자>가 춤을 통해 인간 공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2008년 <위대한 스승 ‘공자’>에서는 고증을 통하여 복원된 문묘일무, 스승을 섬기는 의식무용을 통해 현대인에게 공경, 사양, 겸양의 의미를 전하는 ‘스승’ 공자에 초점을 맞춘 무대가 이루어졌다. 사실상 공연예술계에서 터부시되어 온 유학적 소재 개발과 그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를 통하여 춤과 예악(禮樂)이 어우러지는 무대를 통하여 전통을 새로이 재창조했다는 평을 받았던 <위대한 스승 ‘공자’>는 이번 공연의 제 1막을 이루며 탄생, 학문, 고난, 임종이라는 네 가지 테마로 구성된다.


 2015년 <영웅 ‘이순신!’>은 이순신이라는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역사의 극적 서사를 임학선 특유의 “미니멀리스트맥심” 안무기법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문묘일무에 대한 연구를 근간으로 하는 서정적인 안무와 한국적 정서를 드러내는 창작음악, 거북선을 상징하는 무대, 전통을 재해석한 현대적인 의상, 영화, 영상 등의 현대적 매체와 융합되는 춤의 무대는 많은 생략과 압축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이순신의 영웅적 면모를 춤으로 풀어낸다는 평을 받은 바 있다. 이순신의 이야기는 이번 공연의 제 2막을 이루며 거북선, 승전, 기쁨의 순간, 백의종군, 난중일기, 판옥선 12척, 다섯 가지 테마로 구성된다.

 공자와 이순신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상을 꿈꾸며 예악(禮樂)과 신독(愼獨)을 각자의 삶에서 몸소 실천하였던, 한국인에게는 누구보다도 익숙한 위인들이자 스승들일 것이다. 공자에게 지내는 제의형식이기도 한 문묘일무는 스승과 제자가 서로 주고받는 열정과 마음(授受之禮)을 몸에 지니고 표현하는 움직임이다. 문묘일무 프로젝트의 완결이 될 이번 무대 위에서 역사적 텍스트보다 생생한 스승들의 숨결을 가늠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글_ 기자 안수진(서울대 미학 석사과정)
사진_ 공연기획 MCT 제공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68개(2/4페이지)
PREVIEW
발행월 제목
2017년 11월 올림픽과 함께 펼쳐지는 문화 한마당 - '평창문화올림픽'
2017년 10월 국립현대무용단 대중화 레퍼토리 〈댄서 하우스〉
2017년 7월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2 - 〈권령은과 정세영〉
2017년 6월 여성신체의 아름다움을 관찰하고 춤추고 실행한다 - 아트프로젝트보라 〈소무〉
2017년 5월 현대의 무대에 오르는 조선 마지막 무희 〈리진(Lee Jin)〉
2017년 4월 볼레로 처절하게 만들고 해체하기 - 국립현대무용단 〈쓰리 볼레로〉
2017년 3월 10년을 쌓아온 그들이 춤으로 하는 이야기 - 앰비규어스 댄스 컴퍼니 〈공존&실수〉
2017년 2월 무용계 실험 정신의 향연,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
2017년 2월 다양성과 흥미로움을 더한 LDP의 봄 - ‘17번째 Laboratory Dance Project’
2017년 1월 2월의 문을 여는 ‘차세대 열전 2016!’ - 〈지평선 아래 솟구치는 것들〉
2016년 12월 공자의 문(文), 이순신의 무(武), 임학선댄스위의 〈문文·무武·꿈·춤〉
2016년 11월 서울문화재단의 다년간 지원사업의 한 성과: 2016년 댄스컴퍼니 더바디의 정기공연
2016년 10월 새로운 감각을 향하는 미래의 춤, 필립 드쿠플레의 〈콘택트〉
2016년 8월 한계 너머의 자유로운 움직임, 시각장애인과 함께하는 <안심(安心)땐스>
2016년 7월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놀이>
2016년 6월 국립현대무용단 벨기에 리에주 극장 공동제작 〈NATIVOS〉
2016년 4월 감각을 일깨우는 춤의 콜라주, 모다페(MODAFE) 2016
2016년 3월 봄을 맞이하는 무용국립단체들의 향연(饗宴)
2016년 2월 <백조의 호수>에 대한 안남근의 현대적 재해석, LDP 무용단 제 16회 정기공연 <나는 애매하지 않습니까? 당신에 대하여 -- 부제: Swan Lake>
2016년 1월 쿠쉬나메 이야기, 춤으로 과거와 현재를 어루만지다 - 김선미 무용단의 <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