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5일부터 7일까지 부산민주공원 소극장에서 ‘제26회 신인춤제전 – 젊고 푸른 춤꾼 한마당’(아래 ‘젊춤’)이 열렸다. ‘젊춤’은 대학을 갓 졸업한 새내기 춤꾼이 사회 첫발을 딛는 무대로 이들이 중심인 공연으로는 유일하다. 팸플릿에 실린 안무자들의 글에 ‘나’와 ‘우리’가 들어간 작품이 열세 개. 관심은 거의 비슷하다. 이름을 걸고 첫발을 딛는 춤꾼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우리’가 공감하는 것을 춤으로 만들었다.
먼저 무대에 오른 젊은 춤 팀 작품들을 살펴보자. 정다래의 <내가 생각하기엔...>은 ‘틀림’과 ‘다름’을 다룬다. ‘틀림’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문제고, ‘다름’은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는 이해의 문제다. 하지만 이 둘을 혼동해 ‘다름’을 ‘틀림’이라 몰아세우는 폭력은 서로를 갉아먹을 뿐이다. 작품은 ‘다름’을 상징하는 장면과 ‘틀림’을 표현하는 장면으로 나뉜다. 주제 전달이 비교적 뚜렷하고 움직임이 발랄하고 감각적이지만 주로 바닥에서 움직이는 설정의 설득력이 약하다.
이재영·류소희가 공동안무 한 <사/이>는 만남과 헤어짐을 잔잔하게 풀어낸 발레 작품이다. 담백한 ‘만남’ 표현과 ‘헤어짐’의 분위기가 다르지 않고 장면 전환이 매끄럽지 못하다.
윤소희 안무 <무한동력>. 움직임은 상반된 요소의 작용과 반작용으로 일어난다. 좋은 것-나쁜 것, 기쁨-슬픔 등 대립 요소가 우리를 움직이는 무한동력이다. 플래시를 이용해 장면을 나누고 빛과 어둠을 세밀하게 대비시킨 의도가 좋았지만, 장면 전환을 위한 조명 컷아웃이 흐름을 끊어 아쉬웠다.
이소희의 <문문(門門)>은 무속을 모티브 삼았다. 신과 인간 영역의 경계를 상징하는 사각 틀 사이를 매개자가 넘나든다. 두 세계의 경계를 설정했지만, 상징성이 약하고 춤의 몰입도가 아쉽다.
<온기(溫器)>는 이혜리의 작품이다. 무대 상수에 혼밥 상황을 두고 다른 공간에서 춤을 추는 설정이다. 작품에서 온기란 더운밥이 담긴 그릇만이 아니라 허기진 이를 걱정하는 마음과 배려라고 말한다. 주제가 뚜렷하고 공감할 지점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동선 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정혜지 안무 <반추하다>. 반추란 지난 일을 되짚어 생각하는 것이다. 작품에서는 반추를 거울에 자신을 비추듯 스스로 점검하는 의미로 해석한다. 반추하는 행위는 보이지만 왜 반추하는지, 반추해서 어떻게 됐는지까지 담아내지는 못했다.
황정은 안무의 <놀이터>는 다양한 시도를 한 작품이다. 놀이는 본능적 행위고, 어릴 적 놀이는 성장하면서 스포츠나 게임 등에 흡수되어 규칙화하면서 사회화 도구로 바뀐다. 인간은 놀이의 유희성을 잃어버리고 규칙에 익숙해진다. 작품은 관객에게 여전히 잘 놀고 있는지 질문을 던지며 시작한다. 대사와 움직임을 엮고, 몇 가지 상황 설정과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려 노력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잃어버린 유희성을 주제로 하기에는 작위적으로 보인다. 아예 유희적으로 가든지 반어적으로 질문을 던지든지 선택이 필요하다.
이어진 푸른 춤은 아홉 팀이 참가했다. 김재정 안무의 <아주 작으면서 아주 큰>은 세상 모든 곳에 어떤 식으로든 존재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밝고 작은 점에서 시작한 움직임이 점차 진폭을 넓힌다. 흩어지고 모이는 과정을 반복하며 쌓여 큰 무엇이 되기도 하는 그것은 ‘아무것’이고 ‘무엇이나’이다. 규정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 안에서의 자유로움을 은밀하고도 격한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A breath of fresh air〉에서 윤소인(안무)은 지루한 일상에 나타난 너로 인해 내가 충전된다고 한다. 솔로의 잔잔한 춤이 한 사람(너)이 등장하면서 움직임이 커진다. 어느새 ‘너’가 사라지지만 ‘나’는 이미 변한 ‘나’이다. 독무와 2인무 변화를 뚜렷하게 해 ‘나’와 ‘너’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다만 움직임이 느슨해 긴장감이 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