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름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받겠습니다.
  

Archive_ Re-collection


2017년 7월
2017.08.07
해방 공간 한국무용의 가교, 장추화(張秋華, 1918-?)

[사진 1] 1943년 10월 최승희와 제자들, 뒷줄 왼쪽 시계방향부터 이석예, 장추화, 하리타 요코, 최승희, 김백봉

 장추화는 해방 공간(1945-1950년) 한국무용의 새로운 성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무용가이다. 본명은 장선애이고, 예명이 장추화이다. 1918년생인 장추화는 1936년 일본 도쿄에 있는 ‘최승희무용연구소’를 찾아가서 처음 춤에 입문하였고, 이후 최승희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사사하는 제자가 되었다. 최승희가 3년간 해외 순회공연을 수행하였을 때에는 장추화가 도쿄의 연구소를 지키면서 최승희의 가족들을 돌보기도 하였다. 1944년 북경 부근에서 최승희가 개설한 ‘동방무용연구소’에서 장추화는 최승희를 대리하여 제자들을 지도하면서 무용을 전수하였다. 그리고 1945년에 최승희를 대신하여 공연단을 이끌고 서울에 와서 공연을 준비하던 중에 해방을 맞이하였다.

 이후 최승희는 월북하였으며, 장추화는 서울에 남아 한국 무용계에서 새로운 건설의 주체로서 본격적으로 활약하였다. 그녀는 1946년 5월 10-13일 동안 서울의 국제극장에서 「희생」, 「창조의 여신」, 「습작」, 「명상」, 「아잔타의 벽화」 등의 무용 작품을 통해 첫 개인 발표회를 열었다. 이때의 공연은 장추화가 최승희로부터 얼마나 구별되고 독립되는 무용가인지를 대중에게 보여주는 것이 성공의 포인트였으나, 전반적으로 아직은 최승희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장추화는 1946년 5월부터 1948년 10월까지 지속적으로 무용 공연을 하였다. 장추화는 이후 무용연구소를 개설하는 등 더욱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면서 한국무용의 지평을 넓혔으며, ‘장추화무용연구소’를 통해 송범을 포함한 뛰어난 무용가들을 배출하였다.


[사진 2] 장추화의 국제극장 공연 광고

 장추화는 해방 공간에서 조선무용건설본부(1945), 조선무용예술협회(1946), 대한예술무용협회(1946), 조선교육무용연구소(1946), 청년무용집단(1947), 현대무용가집단(1949) 등에서 임원을 맡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그녀는 각종 언론을 통해 한국무용과 관련된 글을 기고하는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해 무용의 대중화를 수행하였던 무용 예술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장추화는 1947년 11월 2일 ‘장추화무용발표회’에서 「신흥무용기본」, 「천하대장군」, 「옥중 춘향」 등을 발표했으며, 이어서 1948년 10월 6-18일 신작 발표회에서는 「칠석날」, 「댄스의 기본」 등을 공연하였다. 이때 그녀는 현대무용 작품을 주력으로 선보이면서 특히 호평을 받았다.

 장추화는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이후 예술인 선전선동대로 편성되어 무용가 함귀봉 등과 함께 9월 24일 경 북한으로 소환되었다고 한다. 장추화는 북한에 가서 초기에는 ‘국립최승희무용극장’에서 안무자로 활동하였고, 이후 1978년까지 약 20년간 지방 가무단에서 안무자로 활동하였다. 장추화의 말년에 대해서는 현재 정확히 알 수 없고, 애국열사릉에 안장된 최승희 추도모임에 참석했던 2003년의 기록까지만 확인되고 있다고 한다.

 이안 부루마는 1945년을 두고 ‘0년(Year Zero)’이라고 명명하면서 새로운 현대의 탄생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식민 통치로 인한 오랜 문화적 암흑기 이후 찾아온 한국의 해방 공간은 여러 예술가들에 의해 다양한 문화적 시도와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장추화는 월북 등의 이유로 해방 이후 거의 잊혀지면서 체계적인 연구도 부재한 편이다. 그러나 그녀는 그 혼돈의 시간 속에서 다채로운 예술가적 수행성을 보여주었던 동시에 한국무용의 계보를 그려냈던 한 무용가로서 기억될 것이다.


글_이진아(문화연구자)

사진 출처_
사진1_ 세계일보 2017년 1월 27일자.
사진2_ 김호연, 『한국 근대 무용사』, 220쪽.

참고문헌_
“장추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경애・김채현・이종호, 『우리 무용 100년』, 현암사, 2001. 
김호연, 『한국 근대 무용사』, 민속원, 2016. 
이안 부루마, 신보영 옮김, 『0년: 현대의 탄생, 1945년의 세계사』, 글항아리, 2016.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41개(1/3페이지)
ARCHIVE
발행월 제목
2019년 6월 [Re-collection] 정재와 민속춤의 전승 매개자 정소산(1904-1978)
2019년 2월 [Re-collection] 한국 전통춤의 현대적 계승자, 조원경(趙元庚, 1929-2005)
2019년 1월 [Re-collection] 한국무용을 통한 젠더의 교차, 이매방(李梅芳, 1927-2015)
2018년 11월 [Re-collection] 황해도탈춤, 해주검무, 배뱅이굿의 명인 양소운(1924-2008)
2018년 10월 [Re-collection] 한국무용의 글로컬 상징, 김백봉 (金白峰, 1927-현재)
2018년 9월 [Re-collection] 지역 정서의 서사적 구조를 통한 창조적 전통춤꾼 김수악(1926-2009)
2018년 8월 [Re-collection] 소리와 춤을 겸비한 소고춤의 명인 안채봉(1920-1999)
2018년 7월 [Re-collection] 토착적인 한국 발레의 시작, 진수방(陳壽芳, 1921-1995)
2018년 6월 [Re-collection] 비운의 발레리노 혹은 해방 공간의 모던보이, 정지수(鄭志樹, 미상)
2018년 5월 [Re-collection] 바라승무와 함흥검무의 명인 장홍심(1914-1994)
2018년 3월 [Re-collection] 러시아 이고르 모이세예프 국립민속무용단의 유일한 한인 무용수 박 비비안나(Пак Вивиана, 1928-2013)
2017년 12월 [Re-collection] 한국 최초의 전위무용가, 김막인(金漠人, 미상-1950)
2017년 10월 [Re-collection] 해방 공간의 독보적인 교육무용가, 함귀봉(咸貴奉, 미상)
2017년 8월 [Re-collection] 한국 발레의 첫 걸음 - 한동인(1922-?)과 서울발레단
2017년 7월 [Re-collection] 해방 공간 한국무용의 가교, 장추화(張秋華, 1918-?)
2017년 6월 [Re-collection] 독일 탄츠테아터의 아버지, 쿠르트 요스(Kurt Jooss, 1901-1979)
2017년 5월 [Re-collection] 근대 전환기 전통춤의 계승자, 한성준(韓成俊, 1874-1941)
2017년 4월 [Re-collection] 한국 현대무용의 맹아, 박영인 혹은 쿠니 마시미(邦正美, 1908-2007) [1]
2017년 3월 [Re-collection] 무용을 향한 낮은 자리에서의 열정, 김민자(金敏子, 1914-2012)
2017년 1월 [Re-collection] 독재자 박정희에게 농락당한 비운의 무용가 김삼화(金三和, 1935-2012)

만드는 사람들 _ 편집주간 최해리 / 편집장 장지원 / 부편집장 윤단우 / 편집자문 김호연, 이희나, 장승헌
시각 및 이미지 자문 최영모 / 기자 김현지, 윤혜준 / 웹디자인 (주)이음스토리

www.dancepostkorea.com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31-15 (합정동, 리츠하우스) 101호 / Tel_ 02.336.0818 / Fax_ 02.326.0818 / E-mail_ dpk0000@naver.com
Copyright(c) 2014 KD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