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K-댄스씬 읽기

아프리칸댄스로 한국 댄스씬에서 살아남는 기개: 아프리칸댄스컴퍼니 따그 대표 권이은정과의 인터뷰

K-댄스씬 읽기

Vol.118-2 (2025.6.20.) 발행


글_ 김수인(무용이론가)

사진제공_ 아프리칸댄스컴퍼니 따그




아프리칸댄스컴퍼니 따그(Tagg)를 내가 처음 본 것은 2024년 서울비보이페스티벌의 퍼포먼스 컴피티션에서였다. 당시의 인상은 ‘엄청 대중적인 스타일을 추구하는구나’라는 것이었다. 그 컴피티션 자체가 좋게 말하면 다양하고, 나쁘게 말하면 정체성이 애매한 행사로 여겨졌기 때문에 거기에 나오는 팀들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때 본 따그의 〈아프로-아리랑〉은 아프리칸댄스에 BTS가 부른 아리랑이 나오는데, 그냥 봐도 흥겨운 아프리칸 리듬과 댄스에 BTS라는 아이돌의 인기, 그리고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친숙한 아리랑을 섞어서 최대한 많은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퍼포먼스였다. 대중적인 공연이란 것 외에는 왜 아프리칸댄스에 아리랑과 한국적 의상 모티브를 가져왔을지 잠시 궁금했지만, 그 행사의 다양성이라는 특징에 묻혀 크게 의미심장하게 생각되지 않았다.


따그를 다시 만난 것은 2024년 월드오브댄스 한국예선이었다. 마찬가지로 아리랑에 아프리칸댄스를 췄는데, 이번에는 안무가 훨씬 정돈되었고 테크닉적인 기량도 더 잘 보였다. 경연결과는 1등. 월드오브댄스 LA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나는 의문이 들었다. 이 팀은 뭘 하고자 하는 걸까? 한국 대표인데 아프리칸댄스를 하는 게 맞나? 이 팀에게 한국은 무슨 의미인걸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따그의 리더인 권이은정 선생님을 만나서 인터뷰를 진행했다.



김수인(이하 김): 안녕하세요, 선생님. 자기소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권이은정(이하 권): 저는 권이은정이라고 하고요. 춤추는 사람입니다. 근데, 가르치는 일, 기획하는 일, 무대에서 플레이어로 활동하는 일, 안무하는 일 등 여러 가지를 하고 있습니다. 따그라는 팀은 2016년에 창단을 해서 계속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 어떻게 춤을 시작하게 되셨나요? 원래 전공은 다른 거라고 하시던데요.

권: 네, 저는 심리학 전공이에요. 춤은 어렸을 때 되게 좋아했는데 집에서 안 시키셨어요. 제가 춤을 시작한 건 스물여섯인가 일곱인데, 대학원 생활을 하다가 번아웃이 오고 우울증이 오면서 그걸 이기려고 다른 쪽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운동을 했고, GX랑 태보 쪽으로 자격증을 따서 강사를 하려고 해봤어요. 제 적성에 너무 맞는 거예요. 그러다가 재즈댄스 쪽으로 가서 한 2년 동안 밤낮으로 춤만 추고 하면서 그때 처음으로 무용인으로 정체성을 가졌죠.


김: 그럼 아프리칸댄스는 어떻게 시작하셨어요?

권: 신촌에 탄츠라는 데가 있는데, 거기 다른 수업을 받으러 갔다가 우연히 봤어요. 사실 그때 아프리칸댄스 수업에 라이브 퍼커셔니스트 분들이 연주를 너무 크게 하시는 바람에 주변에 모든 사람들이 화가 나서 항의하고 그런 해프닝이 있었어요. 저도 그때 보고, 제가 원래 가려던 수업에 안 들어가고 아프리칸댄스에 발을 들였죠. 처음에는 기니에 다녀오신 양문희 선생님이 하시는 포니케(Fonike)라는 팀에 창단 멤버나 마찬가지로 들어가서 활동을 3년 정도 하다가 나왔어요. 그리고는 처음으로 2016년에 세네갈에 갔어요. 거기 국제무용학교가 유명한 데가 있는데, 에꼴 데 사브르(Ecole des Sables)라는 거예요.




김: 이 학교에 가려고 세네갈에 가신 거예요?

권: 아니에요. 원래는 거기 가려던 게 아니었고요. 말리를 가고 싶었어요. 근데 내전이 심해서 갈 수 없다고 해서 사바르(sabar)라는 춤을 췄던 기억을 가지고 사바르의 본고장인 세네갈을 가도 되겠지 하고 갔던 거예요. 근데 거기서 진짜 제가 운명처럼 사랑하게 된 춤이 사바르였어요. 사바르는 전통춤이예요. 에꼴 데 사브르는 전통을 베이스로 컨템퍼러리를 해요. 그것도 알고 간 게 아니에요. 제가 갔더니 그런 걸 하더라고요. 거기서 중독처럼 춤에 미쳐가지고 혼자서 유럽에 워크숍 투어도 다니고 하다가 내 그룹을 해야겠다고 다짐하고 한국에 돌아와서 따그를 만들었죠.


김: 따그(Tagg)는 무슨 뜻인가요?

권: 내 걸 만들어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찾은 단어가 ‘둥지’였어요. 제가 있던 세네갈의 지역에서 쓰는 언어는 월로프라는 건데, 월로프 말로 둥지가 뭐냐고 물어봐서 따그라는 이름을 얻었어요.


김: 같이 활동하시는 다니엘(Daniel Ahifon) 선생님은 어떤 분이세요?

권: 다니엘은 그 학교에서 2017년도엔가 만났어요. 세네갈 사람은 아니고, 코트디부아르랑 베냉 이국국적자예요. 에꼴 데 사브르가 아프리카의 내로라하는 댄서들이 다 모이는 학교예요. 여기가 약간 등용문 같은 데예요. 그 학교에서 잘하면 유럽에 있는 안무가들이 와서 캐스팅해 가거든요. 그런 기회를 보고 오죠. 다니엘도 베냉에서 정말 촉망받는 댄서이고 안무가였기 때문에 방법을 찾으려고 어렵게 온 거였어요. 다니엘이 저랑 얽히기 전에는 네덜란드로 데려가겠다, 브라질로 데려가겠다는 안무가들이 많았어요. 그 학교에서 숙식을 다 하는데, 젊은 남녀가 눈이 맞기 좋은 환경이었죠. 다니엘이 결혼 비자를 받아서 한국에 왔고요.


김: 한국에 와서는 어떻게 따그 활동을 하셨어요?

권: 무슨 행사가 있을 때마다 프로젝트성으로 제가 아는 무용수들 부르고 드러머들 불러서 공연을 하거나 했어요. 한국의 지금 상황은 어떤 식이냐면 소위 아프리카 음악과 춤을 한다는 그룹들이 있긴 한데 거의 뮤지션이 더 많아요. 그러니까 서울에 있는 댄서들이 광주도 가고 대구도 가고 그런 게 되게 많았었어요. 저도 다른 데 불려 가서 일하는 게 더 많았고요. 그러다가 다니엘이 들어오니까 드디어 고정 단원이 생겼고, 다니엘이 워낙 출중하기 때문에 다니엘 보고 단원들이 더 모인 것도 있어요. 그러면서 컴퍼니처럼 하기 시작한 게 2018년도부터예요. 


김: 제가 따그를 보면서 이 팀의 정체는 무엇일까 궁금했었는데요. 어떠신가요?

권: 그 당시에는 저희가 스트릿댄스 쪽에 있었다고 하기에는 어렵고 애매해요. 당연히 클래식 쪽 학계에는 아예 없는 장르고요. 사물놀이 같이 전통춤을 무대화한 건데 젬베(Djembe)를 포함해서 서아프리카 전통 악기랑 춤을 같이 움직이는 앙상블인데, 그런 걸 위주로 공연을 계속했었어요. 근데 그런 게 우리나라 축제에서 되게 환영받아요. 길놀이처럼 지역 축제나 이런 데서 확 이렇게 부흥의 느낌을 주기 때문에 그런 수요가 계속 있는 거죠. 제가 그걸 좋아하긴 하지만 그것만 하고 싶은 건 아니었는데, 어쨌든 저희의 클라이언트들은 그런 거를 계속 바라긴 했어요. 저희가 아프로 컨템퍼러리를 하는 곳에서 만났으니까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고 싶은데, 저희를 3년 동안 불러주던 축제에서 저희가 원하는 걸 했더니 그다음엔 안 부르시더라고요. 이제 쿵짝쿵짝 시끄럽게 해주길 바랐던 건데 그걸 안 했더니 되게 싫어했었어요.




김: 말씀하시는 걸 들으면 컨템퍼러리 댄스 쪽 창작지원사업을 받아야 할 것 같은데요?

권: 지원 사업도 항상 했었어요. 저희가 대회 때문에 2년 쉬었는데 계속 받았거든요. 그러니까 저희가 되게 애매해요. 지원 사업도 하고 공연 섭외 들어오는 것도 하고 정말 다양한 걸 해요. 근데 이제 대회라는 것을 2022년도에 처음 시작하면서 방향성이 틀어지고, 뭔가 의도치 않게 이끌려 간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진짜 올해 월드오브댄스를 끝으로 이제 정말 대회는 더 이상은 안 한다고 선언했어요. 되게 고마운 존재이긴 한데 대회라는 게 항상 마음의 딜레마가 있어요. 왜냐하면 저는 이런 평가받는 그걸 원치 않거든요. 근데 월드오브댄스나 그 직전에 했던 부산 스텝업에서 의도치 않게 1등을 한 거예요. 


김: 그때 〈아프로-아리랑〉으로 나가셨어요?

권: 그게 좀 얘기가 긴데. 그전에 몇 번 대회를 나갔는데 결과가 항상 아쉬웠어요. 심사위원들이 우리가 하는 움직임을 이해하기에는 안목이 너무 부족하다고 생각했죠. 대회라는 포맷을 그만두고 싶었지만 아쉬워하는 단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사람들이 좋아하고 기대하는 걸 한 번 보여주자'고 마음먹고 그동안과는 다른 식의 컨셉을 잡아봤어요. 제가 아리랑 클리셰를 너무 싫어하는데, 그걸 가져와서 코트디부아르에 쿠페데칼레(coupé-décalé)라는 장르랑 섞었어요. 그리고 당시에 또 희한하게 아리랑을 BTS가 부른 게 있었는데 그 노래가 되게 좋더라고요. 그거랑 몇 가지를 섞어서 다니엘 솔로 안무를 짰는데 그게 1등을 했어요. 노래가 너무 좋고, 그냥 한국 사람들이 들으면 좋아할 수밖에 없는 그런 노래여서, 그때 사회자도 “이거 가지고 전국을 돌겠다”고 얘기했어요. 그걸로 단체 작품을 만든 거죠. 


권: 그전까지는 저희가 대회를 나갈 때조차도 자꾸 메시지를 넣었어요. 진지하게 하고요. 그러니까 단원들이 얘기하더라고요. “선생님, 스트릿에서는 이런 거 별로 안 좋아하고 먹히지 않아요. 댄싱으로만 보여줍시다.” 그랬어요. 저도 그때 대회에 한참 지쳐가고 있던 상태라서 그러면 진짜 마지막으로 별다른 의미 넣지 말고 사람들이 좋아할 법한 것으로 댄싱으로 꽉꽉 채워서 마지막으로 해보고 이제 더 이상 저는 대회를 안 하겠습니다. 이렇게 얘기를 했단 말이에요. 그리고 서울 비보이 페스티벌에 나갔는데, 참가팀들 수준이 막 높지 않았는데도 저희가 1,2위에 못 든 걸 보고 좀 각성을 했죠. 그래서 수정을 해서 부산 스텝업에 나갔는데 거기서 반응이 너무 좋았고 1등을 했어요. 


김: 그다음에 월드오브댄스 한국예선에서 1등을 하시고, 오는 7월에 LA 본선에 나가시는데요. 이후에는 어떤 방향으로 활동하실 것 같으세요?

권: 저는 이제 대회가 끝나면 저희가 원래 하고 싶은 공연으로 보여주겠다고 했지만, 제가 개인적으로 요새는 또 생각이 바뀌어서 좀 교육 쪽으로 더 가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예전 같으면 저희가 맨날 그랬었어요. 아르코 대극장에 우리는 무조건 서겠다. 꼭 만들어서 올리겠다. 1시간짜리 작품을 만들겠다. 이런 말을 제가 했었는데, 근데 그 생각이 지금 점점 접어들고 있어요. 왜냐하면 이렇게 해서 지속 가능하지 않고, 제가 좀 피터팬 같은 꿈을 꾸는 것 같아서요. 


김: 그래도 월드오브댄스랑 바로 지난주에 라인업에 게스트 쇼케이스에 초청받아서 가시고 인지도가 높아지니까 그걸 보고 또 불러주시는 분들이 생기죠?

권: 그렇죠. 이미 KOD(Keep on Dancing)라는 국제대회에서는 내년에 오라고 불러주셨고요. 그러니까 저는 또 몰랐던 세계인데 이런 세계 대회, 국제 대회에서 메일이랑 이런 걸 계속 보내세요. 꼭 나와 달라고. 저희가 아마 국내에서만 활동했으면 이런 연락을 안 받았을 거고 초청도 안 받았을 건데 이렇게 연락이 오고 그러는 걸 보면 그런 소기의 성과를 이룬 것은 좋다고 생각하죠.



김: 선생님 긴 시간 말씀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선생님 이야기를 통해서 몰랐던 춤의 세계를 또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권: 수고하셨습니다.



Writing on K-Street Dance

Vol.118-2 (2025.6.20.) Issue


Written by Sue In Kim (Dance Researcher)

Photo provided by Kwon-Lee Eunjung



Living with African Dance in the Dance Scene of Korea: Interview with Kwon-Lee Eunjung, Leader of African Dance Company Tagg



The first time I saw the African Dance Company Tagg was at the performance competition of the 2024 Seoul B-Boy Festival. At the time I though that ‘they’re pursuing a very popular style.’ The competition was considered to be a diverse event, to put it positively, or an event with an ambiguous identity, so I didn’t think seriously about the teams that appeared there. Tagg’s 〈Afro-Arirang〉 that I saw then featured African dance and BTS’s Arirang. It was a performance that was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by combining exciting African rhythms and dances with the popularity of BTS and Arirang, which is familiar to all Koreans. I wondered for a moment why they would bring Arirang and Korean costume motifs to African dance, but it didn’t seem very meaningful because it was buried in the diversity of the event.


The next time I met Tagg was in the 2024 World of Dance Korea Preliminary. They also danced African dance to Arirang, but this time the choreography was much more refined and their technical skills were more apparent. By winning first place here, Tagg advanced to the World of Dance LA finals. However, I had questions. What does this team want to do? Is it right for them to represent Korea with African dance? What does Korea mean to this team?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I met with Tagg's leader, Kwon-Lee Eunjung, and interviewed her.


Kim Sue 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Kim): Nice to meet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Kwon-Lee Eunju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Kwon): My name is Kwon-Lee Eunjung, a dancer. However, I do many things such as teaching, planning, performing on stage as a player, and choreographing. I started the team called Tagg in 2016.


Kim: How did you get started dancing? You said your original major was something else. 

Kwon: Yes, I majored in psychology. I really liked dancing when I was young, but my family didn’t let me do it. I started dancing when I was 26 or 27. At that time I was in graduate school, exhausted and depressed, so I started to do other things to overcome it. At first, I got certifications in GX and Taebo and tried to become an instructor. Moving my body and standing in front of people really suited me. Then I went into jazz dance, and for about 2 years, I danced day and night, and that was when I first realized my identity as a dancer.


Kim: Then how did you get started with African dance? 

Kwon: There’s a place called Tanz in Sinchon, and I happened to see it when I went to take another class there. In fact, at that time, there was an incident where live percussionists in an African dance class played too loudly, and everyone around them got angry and protested. I saw it then, and instead of going to the class I originally wanted to take, I got into African dance. At first, I joined a team called Fonike, led by teacher Yang Moon-hee who had been to Guinea, a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I had danced there for about 3 years. Then, I went to Senegal for the first time in 2016. There’s a famous international dance school there called Ecole des Sables.


Kim: Did you go to Senegal to go to this school? 

Kwon: No. Originally, I didn’t plan on going there. I wanted to go to Mali. But because of the civil war in Mali, I went to Senegal. There I met the dance I really fell in love with, sabar. Sabar is a traditional dance. Ecole des Sabres teaches a contemporary dance based on tradition. I didn’t know that before I went there. I became addicted to dancing there and went on a workshop tour to Europe by myself, and when I came back to Korea, I decided to start my own group.


Kim: What does Tagg mean? 

Kwon: When I decided to make my own group, the word I found was ‘nest.’ The language used in the area of ​​Senegal where I was was Wolof, and I got the name Tagg by asking what a nest was in Wolof.


Kim: Let’s talk about Daniel Ahifon, the dancer you work with.

Kwon: I met Daniel at that school in 2017. He is not Senegalese, but a dual citizen of Côte d'Ivoire and Benin. Ecole des Sabres is a school where all the best dancers from Africa gather. It's a bit like a gateway. If you do well at that school, choreographers in Europe will come and cast you. Daniel was also a very promising dancer and choreographer in Benin, so he came to the school. Before Daniel got involved with me, there were many choreographers who wanted to take him to the Netherlands or Brazil. At that school, Daniel and I hit it off, and Daniel got a marriage visa and came to Korea.


Kim: How did you run Tagg after coming to Korea? 

Kwon: Whenever there was an event, I would invite dancers and drummers I knew as a project team and performed.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is that there are groups that do so-called African music and dance, but there are more musicians than dancers. So there were a lot of dancers in Seoul going to Gwangju and Daegu. I also got called to work in other places more. Then when Daniel came in, we finally had a regular member. Since Daniel is so outstanding, more members gathered because of Daniel. So we started to do it like a company from 2018.


Kim: I was curious about the identity of Tagg. What would you say? 

Kwon: At that time, it was difficult and ambiguous to say that we were in the street dance field. Of course, it was a genre that did not exist at all in the classical/academic dance world. It was a staged traditional performance like samulnori. Tagg was an ensemble that moved with traditional West African instruments and dances, including the Djembe. That kind of performance style is very welcomed at festivals in Korea. Because it gives a sense of revival at local festivals like gilnori, there is a constant demand for that. I like that, but I didn’t want to do only that. Anyway, our clients kept asking for that kind of performance. Since I and Daniel met at a place that did Afro-contemporary dance, we wanted to try various things. However, when we tried what we wanted at a festival that had invited us for three years, they stopped recruiting us. They wanted us to make a lot of noise and fun, but when we didn’t do that, they really hated it.


Kim: Listening to what you're saying, it seems like you should receive public subsidies for contemporary dance. 

Kwon: We've always received grants. We took a two-year break because of the competitions, but we usually received them. So it's really ambiguous for us. We do a lot of different things. But now that we're starting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s for the first time in 2022, the direction of the team has changed. I feel like I've been dragged this way. That's why I declared that I won't do any more competitions after this year's World of Dance. It's something I'm really grateful for, but competitions always give me dilemma. That's because I don't want to be evaluated by rigid criteria. But We unintentionally won first place at Busan Step Up and World of Dance Korea Preliminary.


Kim: Did you perform 〈Afro-Arirang〉 then? 

Kwon: That's a long story. We went to a few competitions before, but the results were always disappointing. I thought the judges didn't have enough insight to understand the movements we were doing. I wanted to quit the competition format, but I listened to the members who were disappointed and decided to ‘show people what they like and expect’ and came up with a different concept than before. I hate the Arirang cliché so much, but I took that and mixed it with the Côte d'Ivoire genre called coupé-décalé. And at that time, strangely enough, BTS sang Arirang, and that song was really good. I mixed it with a few other things and choreographed Daniel's solo, and that won first place. The song was so good, and it was the kind of song that Koreans couldn't help but like, so the host at the event said, “You are going to show the whole country with this.” From that solo, we created our group piece.


Kwon: Before that, even when we went to competitions, we kept dancing with serious messages. So the members said, “Eunjung, people on the street dance scene don’t like this kind of thing and it doesn’t work. Let’s just show them with dancing.” I was also really tired of competitions at the time, so I said, “Let’s not add any special meaning to it, let’s fill it with dancing that people would like, and let’s do it as the last one, and I won’t do any more competitions.” Then we went to the Seoul B-boy Festival, and even though the level of the participating teams wasn’t that high, we didn’t get first or second place. It woke me up a little. So we revised it and went to the Busan Step Up, and the response was really good, and we won first place.


Kim: Then, you won first place in the World of Dance Korea Preliminary and will be going to the LA finals in this coming July. What direction do you think you will take after that? 

Kwon: I said that we will show the performances we originally wanted to do after the competition is over. However, I personally have changed my mind recently and think that we should focus more on education. In the past, we would always say, “We will definitely stand at the Arko Grand Theater. We will definitely create a one-hour piece.” I used to say things like that, but I am gradually changing my mind about that now. Because I feel like this is not sustainable and I feel like I am dreaming a Peter Pan-like dream.


Kim: But since you were invited to the guest showcase at the Lineup dance competition last week, and your recognition increased, there are people who invite you again after seeing that, right?

Kwon: Yes.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KOD (Keep on Dancing) already invited us to come next year. I didn’t know about this world, but they keep sending me emails and stuff at these world competitions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s. If we had only performed in Korea, we probably wouldn’t have received these calls and invitations. Seeing people contacting us like this, I think it’s good that we’ve achieved such results.


Kim: Thank you for sharing your story with me for such a long time. I also learned about the world of dance that I didn’t know about through your story. Thank you.

Kwon: Thank you.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