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K-댄스씬 읽기

갓 쓰고 칼군무: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

K-댄스씬 읽기

Vol.119-2 (2025.7.20.) 발행


글_ 김수인(무용이론가)



 

 Google Gemini로 생성한 이미지

 

한국 문화는 새로운 쿨함이 되었다. 이제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자원이다. 한국 대중문화에서 한국 전통문화가 소환된 것은 예전부터 종종 있었던 현상이다. 그러나 올여름처럼 이렇게 주목을 받은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먼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이하 WSWF) 메가크루 미션은 각 국가의 정체성을 담은 비디오를 제작하라는 규칙을 제시했고, 팀 코리아 범접은 “몽경: 꿈의 경계에서”를 발표했다. 7월 1일 방송되기 이전 6월 18일에 대중 평가를 위해 유투브에 업로드 된 이 비디오는 단 3일 만에 1천만 조회수를 넘겼고, 현재는 1,500만 회를 넘기고 있다. 작품 콘셉트는 저승사자들이 삶과 죽음의 문지기로 등장하는 한 소녀의 꿈인데, 저승사자라는 전통적 요소와 현대의 소녀 이미지를 연결시켰다. 갓과 도포를 변형한 의상으로 저승사자를 표현한 것뿐 아니라 다양한 전통문화의 요소들을 차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9만 개가 넘게 달린 댓글들은 작품 속에서 그들이 발견한 한국적 요소들을 언급한다. 몇 가지만 소개하자면 상모돌리기, 장구춤, 태극기, 강강수월래, 부채춤, 백의민족, 무당, 종묘제례악, 도깨비, 사자탈의 갈기 등이 있다. 댓글에는 각종 공공기관들이 참여해서 많은 ‘좋아요’를 받았는데, 국립무형유산원이 6.7만 개의 좋아요를,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3.7만 개의 좋아요를 받았다. 그 밖에도 국립박물관, 국립국악원, 국악TV, 한국관광공사 및 온갖 지자체와 공기업들의 공식 계정들이 댓글에 참여하였다. 많은 댓글들은 이 퍼포먼스를 국보 혹은 문화유산이라고 불렀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아이돌을 소재로 하는 해외 제작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6월 20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이후 4일 차에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41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여기 수록된 노래들은 빌보드 탑 100에 7곡이 진입하고,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에서 1위를 하는 등 각종 음원차트를 점령했다. 이 작품에서 한국적 요소는 시작이자 끝이다. 3인조 걸그룹 헌트릭스는 악마 사냥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악귀를 물리치는 무당으로 표현하였고, 라이벌인 5인조 보이그룹 사자보이즈는 악마로 설정되었는데, 저승에 속한 사자(死者)와 혼을 저승으로 이끈다는 점에서 저승사자(使者)를 혼합으로 볼 수 있다. 사자보이즈가 부르는 “유어 아이돌”은 저승사자 컨셉의 의상으로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데, 갓끈을 돌리는 퍼포먼스나 도포를 치는 동작이 포함된다. 그 밖에도 수없이 많은 시청각적 디테일들이 과거와 현재의 한국적 요소를 차용하고 있는데 “찐 한국 감성” 혹은 “고증에 진심”으로 일컬을 만큼 진본성(authenticity) 측면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적 요소를 활용한 대중문화의 측면에서 이 두 작품은 매우 흥미롭다.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의 세계적 흥행에서 갓과 도포라는 전통적 의상이 멋짐으로 소비되기 시작하는 것이 감지되었던 기억이 난다. 또 케이팝 아이돌이 종종 한복을 재해석한 의상을 입어서 화제가 되는 사례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비슷한 시기에 갓과 도포를 활용한 작품이 연이어 대대적인 인기를 누리는 현상은 지금까지 서서히 누적되어 온 K-컬처에 대한 관심이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케이팝의 미래적 최신 유행만으로 이루어진 것도 아니고 한국만의 고유한 전통문화만으로 이루어진 것도 아닌 그 두 가지의 교묘한 연결이다. 이런 연결성은 전통과의 단절을 통해 근대화를 이뤄냈던 한국의 역사적 맥락에서 꽤 공교로운 일이다.


전통문화를 수호하는 입장에서 대중문화 작품들이 전통 요소를 적지 않게 단순히 이국적인 스펙터클로 소비하는 것은 문제적으로 보일 수 있다. 정작 중요한 알맹이는 빠진 채 겉으로 보이는 것, 그중에서도 특이하고 신기한 것만 선택적으로 상품화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모돌리기를 재현한 동작이 고개랑 목을 돌리지만, 실제로 상모를 돌리기 위해서 중요한 건 무릎을 구부리는 하체의 동작이라는 것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도포를 휘날리기 위해서 중요한 건 그 전후에 이루어지는 호흡인데, 막상 그 점은 잘 인식되지 않는다. 그래서 전통을 잘 모르고 표면적인 것만 아는 현대 사람들이 일종의 전유를 했다고 해석한다.


반면 대중문화가 비단 전통뿐 아니라 여러 요소를 가지고 노는 것은 당연하며, 그 가운데 현재 대중에게 의미를 가지는 전통의 요소가 선택적으로 부상하게 되는 것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도 있다. 좀 어려운 말을 써보자면, 이때 전통을 잘 가져왔느냐 하는 진본성(authenticity)의 문제는 본질의 문제가 아닌 실존의 문제인 것이다. 그리고 이런 관점에서 현재와 과거와의 연결성은 인위적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Google Gemini로 생성한 이미지

 

일제강점기와 서구를 지향하는 근대화를 거치면서 전근대 시대의 한국 문화는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많은 전통들이 사라졌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남아 현재에까지 살아있는 의미를 지니는 것들이 있다. 혹은 전통문화가 박물관화 되었다고 그것이 마냥 부정적이기만 한 것도 아닐 것이다. 유네스코가 정의하듯 무형문화유산이 공동체의 소속감과 의미 생성에 기초한 것이라면 갓 쓰고 추는 칼군무에서 “한국인만 보이는” 또는 “한국 사람들은 설명 없이도 그냥 느껴지는” 것들을 느끼게 하는 것도 문화유산의 기능일 것이다. 또 공중 부양하는 신인 아이돌인 사자보이즈를 덕질하기 위해 지방을 쓰고 제사를 드려야 한다고 댓글을 다는 네티즌들도 과거를 의미 있게 만드는 현재의 관점들이다. 문화의 힘이란 이렇게 오묘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되는 춤들을 오늘도 즐겁게 감상한다.



Writing on K-Street Dance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by Sue In Kim (Dance Researcher)



K-dancers but in Traditional Fashion: 〈World of Street Women Fighters〉 and 〈K-Pop Demon Hunters〉



Korean culture has become the new cool. It is a new resource for the global media industry. So far,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summoned in many instances of Korean popular culture. However, it seems that it has never received as much attention as it has this summer.


First, the World of Street Women Fighters (WSWF) Mega Crew Mission set a rule for competition participants to produce a dance video that contained the identity of each country, and Team Korea BUMSUP presented “Monggyeong: At the Boundary of Dreams.” Uploaded to YouTube on June 18 for public evaluation, the video surpassed 10 million views in just 3 days, and currently has over 15 million views. The concept of the dance is a girl’s dream in which “jeoseung saja” (Korea grim reaper) appear as the gatekeepers of life and death. It connects the traditional elements of grim reapers with the image of a modern girl. In addition to expressing the grim reapers with modified costumes of a traditional horsehair hat (got) and a robe (dopo), the dance borrows various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to compose the work. The YouTube comments, which numbered over 90,000, mention the Korean elements they discovered in the dance. Here are just a few: sangmodolligi (turning hat dance), Janggu dance, Taegeukgi (flag of South Korea), Ganggangsullae (cirlcel dance), Buchaechum (fan dance), Baekuiminjok (The White-clad People), Mudang (shaman), Jongmyo Jeryeak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Dokkaebi (goblin), and Sajatalchum (lion dance). Various public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comments and received many ‘Like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s comment received 67,000 likes, and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romotion Foundation’s comment received 37,000 likes. In addition, the National Museum, National Gugak Center, Gugak TV,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official accounts of variou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corporations participated in the comments. Many comments called this performance a national treasure or cultural heritage.


〈K-Pop Demon Hunters〉 is an overseas-produced animated film based on K-Pop idols. After its release on Netflix on June 20, it ranked first in the daily rankings in 41 countries where Netflix is available on the fourth day. The songs included in the film entered Billboard’s Top 100 with seven songs, and topped various music charts, including Spotify’s music streaming platform. In this film, Korean elements are alpha and omega. The three-member girl group Huntrix are demon hunters, and they are expressed as shamans who defeat evil spirits. The rival five-member boy group Saja Boys is set as demons, and can be seen as a mixture of the dead (死者) and “jeoseung saja” (Korea grim reaper, 使者) in that they lead souls to the afterlife. Saja Boys’ song “Your Idol” shows a grim reaper concept where they wear traditional horsehair hats (got) and robes (dopo), and includes performances of twirling the hat strap and fluttering the robes. In addition, countless audiovisual details borrow from Korean elements of the past and present. It is considered to be excellent in terms of authenticity to the point of being called “genuine Korean sensibility” or “sincere in historical research” by many YouTube shorts.


In terms of popular culture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ese two works are very interesting. I remember that the global success of the Netflix drama 〈Kingdom〉(2019) made me sense that traditional costumes such as a traditional horsehair hat (got) and a robe (dopo) were beginning to be consumed as cool by global viewers. There were also cases where K-pop idols often wore costumes that reinterpreted hanbok and received a lot of attention. However, the dances in 〈WSWF〉 and 〈K-pop Demon Huneters〉 utilizing a traditional horsehair hat (got) and a robe (dopo) gaining massive popularity this year seems to be an explosion of interest in K-culture that has been slowly accumulating until now. It is not just the latest trend of K-pop or the uniqu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but a clever connection between the two. This connection is quite coincidental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 achieving modernization through a break with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ors traditional culture, it may seem problematic that many popular culture works simply consume traditional elements as exotic spectacles. This is because the important essence is omitted, and only the superficial, especially the unique and strange, are selectively commercialized. For example, the movement that reproduces the sangmodolgi (turning hat dance) in 〈WSWF〉 involves turning the head and neck, but in reality, the important thing for turning the sangmo (hat) is the lower body movement of bending the knees. Also, the breathing that occurs before and after the dopo fluttering is important for moving the robe, but this point is not well recognized in the image of 〈K-pop Demon Hunters〉.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modern people who do not know tradition well and only know the superficial aspects have appropriated it in a way.


On the other hand, one may say that it is natural that popular culture plays with various elements, not just tradition, and there is also an awareness that it is not a question of right or wrong that elements of tradition that are meaningful to the current public are selectively emerging. To put it in a more difficult way, the question of authenticity, whether tradition has been well maintained, is not a question of essence but a question of existence.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cannot be considered artifici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Western-oriented modernization, Korean culture in the pre-modern era experienced many twists and turns. Many traditions can be said to have disappeared. However, there are still things that remain and have meaning that live on to this day. Or, it may not be entirely negative that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turned into a museum objet. If, as UNESCO defin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belonging and meaning creation, then the function of cultural heritage could include making people feel that “only Koreans can see it” or “Koreans can feel it without explanation” in K-dance wearing traditional hats (gat) and robes (dopo).  The dances remind me once again of the mysterious power of culture.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