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댄스씬 읽기
Vol.121-2 (2025.9.20.) 발행
글_ 김수인(무용이론가)
사진제공_ 루다 크리스
내가 댄스 리뷰 유튜브를 찾아보게 된 것은 〈스트릿 맨 파이터〉에 대한 연구논문을 쓸 때 시청자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서였다. 먼저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영상에 달린 댓글들을 찾아보았는데 점차 관련 영상으로 나타나는 리뷰 영상들이 눈에 띠었다. 나의 연구에 도움이 된 리뷰 영상들은 내가 알지 못했던 댄스씬과 미디어 산업의 정보들을 거론하는 콘텐츠들이었다. 그런 영상들에는 또 많은 댓글이 달려서 그 리뷰에 동의하는지 안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콘텐츠가 다루고 있는 이슈가 논쟁적일수록 댓글의 반응은 뜨거웠다. 춤에 관한 이런 공론의 장이 유튜브를 통해 마련되는 것이 흥미로웠고,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무용비평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감지되었다. 미래 세대의 춤 전공자들에게 강의를 하는 입장에서 나는 다양한 활동 전망 중 하나로 댄스 리뷰의 양상을 파악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루다의 댄스 연구소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루다 크리스(본명 김성인)에게 인터뷰 요청을 했을 때, 많은 망설임과 조심스러운 걱정의 답변을 받았으나 그런 것도 포함하여 현재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어 결국 인터뷰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김수인(이하 김): 안녕하세요, 루다 크리스님. 인터뷰 요청을 드렸을 때 “왜 저 같은 사람을 불러 주셨냐”는 얘기를 몇 번 하셨는데요. 조금 어색하셨나요?
루다 크리스(이하 루): 저는 좋은 쪽으로든 안 좋은 쪽으로든 스스로를 너무나 잘 안다고 생각을 하는 편인데요. 춤으로는 제가 누군가에게 증명을 한 부분이 굉장히 약하다고 생각을 많이 하고 살아서 말씀을 그렇게 드리게 되었어요. 그냥 유튜버로서 저를 인터뷰하고 싶다고 얘기를 했으면 저는 그렇게 얘기를 하지 않았을 거예요.
김: 재밌는 표현을 해 주셨어요. 춤으로 증명은 어떻게 하는 건지요?
루: 증명이라는 것에 대해서 되게 의견이 분분한 게 있지만, 저는 대회 수상, 배틀 이력 두 가지만이 소위 말하는 댄서들이 이야기하는 증명이라는 생각을 해요. 저는 배틀 쪽으로 아무래도 조금 더 경력이 있었지만, 저 어릴 때는 지금처럼 씬이 활발하지 않았어요.
김: 광주에서 자라셨죠?
루: 광주 쪽은 더 그랬지만 실은 한국 전체에서도 비슷해요. 당시에 스트릿잼이라는 행사 수상을 했는가. 또 그 당시에는 이제 가장 유명했던 배틀이 리얼이라는 배틀인데, 여기서 수상을 한 적이 있는가 이런 부분들.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공인인증서 같은 거죠.
김: 그러면 이 리뷰 쪽은 어쩌다가 손을 대시게 되었나요?
루: 이게 재미있는 이야기예요. 제가 한 학원에서 근무를 13년 정도를 했어요. 그러다가 어느 날인가 한번 독감을 앓은 적이 있어요. 그래서 2주 정도를 수업을 못 했는데 월급 받을 때가 돼서 월급을 받았는데 월급이 절반이 나 있는 게 너무 의아한 거죠. 일을 안 했으니까 돈을 못 받는 건 당연한데, 내가 아파서 다리가 부러져서 누워 있으면 나의 수입은 제로가 된다는 걸 깨닫고 현타가 왔어요. 춤이라는 것에 플레이어로서의 비즈니스의 한계점을 느낀 거죠. 그래서 이제 눈을 돌린 게 유튜브 쪽이었던 거예요.
김: 초반에 리뷰할 때는 어떠셨어요?
루: 제가 유튜브를 시작을 할 때는, 깊이 있는 것만 하고 진짜만 리뷰를 해야겠다는 자존심이 있었어요. 그래서 프랑스에서 열리는 굉장히 어려운 배틀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든지, 혹은 힙합 음악에 대해서 추천을 한다든지, 연습을 할 때 어떻게 하면 좋다든지 이런 이야기를 했는데 아무 반응이 없었어요. 사실 힙합 그러니까 랩 쪽 씬에서는 그 품앗이나 서로서로 샤라웃(shout out, 소리치다, 외치다)이라는 문화가 굉장히 발달되어 있어요. 근데 제가 유튜브를 시작하고 댄스 유튜브라는 것을 처음 만들어서 하는데 그 어떤 댄서도 반응을 해주지 않는 데에서 두 번째 현타가 왔어요. 그때가 2014년 정도네요. 실은 제가 그 채널을 처음 만들 때 그 첫 영상 올리면서 이런 얘기를 해요. 댄스 씬에 그래도 조금이나마 이바지를 해보고 싶고 나도 도움이 돼보고 싶다. 왜냐하면 내가 뭐 이렇다 할 행사를 만들어 본 것도 아니다 보니 이런 새로운 방향으로 좀 도움이 돼보고 싶어서 만든다 라고. 그렇게 시작을 했는데, 아무런 피드백이 없고 아무런 반응도 없고 답이 안 나오는 걸 보고 스스로 접게 된 거죠.
김: 얼마나 하다가 그만두셨어요?
루: 6개월 정도를 꾸준히 했던 것 같아요. 혼자 하다가 접은 거예요. 접고 그냥 조용히 살았어요. 너무 창피했거든요. 그런데 주변에서 다음 영상 언제 올라오는지 자꾸 물어보는 거예요. 당시 저에게 힘든 상황이 한꺼번에 일어나면서 도피처가 필요했는데, 제가 마우스를 잡고 있는 시간 동안에는 그 일이 생각이 안 나더라고요. 그래서 영상을 뭐든 만들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고요. 그래서 댄스씬에 있다가 유튜브에서 잘 나가는 친구(크레이지 그레빠 CRAZY GREAPA)한테 고민을 털어놓은 적이 있어요. 그 친구가 솔직하게 얘기해주더라고요. 내가 봤을 때 넌 빨리 대중 픽으로 돌리는 게 빠를 거야. 그래서 당시 유명한 노래를 찾다가 “댄스 트레이너의 시선으로 보는 제니의 솔로 리액션” 영상을 만들기 시작을 한 거죠. 조회수가 조금 나오더라구요. 그렇게 유명한 노래를 몇 개 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옛날 걸로 만들면 재밌겠다고 생각을 해서 현진영 형님에 대한 영상을 한번 만들어 본 거죠. 근데 이 영상에 현진영 형님이 직접 와서 댓글을 달면서 바이럴을 타기 시작했어요. 창작 일화 등 재밌는 이야기를 달아주신 거예요. 댄서들한테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피드백이었거든요. 그때 느꼈죠. 이게 맞겠다. 그 당시 유튜브 흐름이 추억의 어떤 것들을 다루는 게 인기 있던 시절이었어요. 그래서 그게 먹히기 시작을 한 거죠.
김: 그렇게 리뷰 유튜브를 꾸준히 하게 된 동력이 뭘까요?
루: 제 구독자가 1만 명까지 늘어나는 데 걸린 시간이 3주 정도밖에 안 돼요. 3주 안에 바로 수익 창출이 돼버리고, 쉽게 말해서 유튜브에서 주는 첫 월급을 받았는데 그 숫자를 보고 세 번째 현타가 온 거죠. 13년동안 춤으로 벌었던 것보다 한 달 수익으로 훨씬 많이 줬으니까. 나는 지금까지 뭐 한 거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김: 말씀하시다가 댄스 트레이너의 시각으로라는 표현을 하셨어요. 어떤 의미일까요?
루: 내가 무언가를 보고 그거에 대한 평가 혹은 나의 이야기를 하는데 내가 누구냐라는 타이틀을 대중들이 많이 요구하더라고요.
김: 무용비평 쪽이랑 비교가 되는데, 사실 예술 분야가 시험을 봐서 자격증을 주는 그런 건 아니잖아요? 오히려 포트폴리오로 어떤 경력이 있는지를 가지고 따지게 될 것 같아요.
루: 제 경우에는 트레이닝한 가수들도 있고 그중에 잘 된 친구들도 있고, 실질적으로 제가 공연을 한 내역들이 국가 공연이라든지 이런 것들도 많았고 근데 그거를 일일이 나열하는 게 너무 없어 보이더라고요.
김: 들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무용비평가의 자격은 무엇으로 증명되는가. 아주 초기에 무용비평은 문인들이 시작을 했거든요. 저 같은 무용연구자도 비평을 간간이 하고 있지만, 나는 자격이 되는가에 대해서 걱정이 되네요.
루: 댄스씬에서 대중들이 받아들이는 자격은 3가지로 고려하는 것 같아요. 배틀에서 유명한 사람인가 혹은 유명한 가수의 안무를 만들었는가 마지막에 새롭게 추가되는 카테고리는 스맨파, 스우파에 나왔는가. 팩트를 근거로 해서 춤에 단점을 지적해도, “네가 뭔데”로 시작을 해서 괴로울 때가 많아요. 메시지가 잘못됐으면 그걸 이야기하면 되는데, 메신저를 공격할 때 힘들죠.
루: 그래서 멤버십을 왜 하게 됐는가에 대한 이야기도 여기로 가는 거예요(멤버십은 구독료를 내는 회원들에게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말함). 일단은 대중들하고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고 싶고 두 번째는 이게 실질적으로 돈이 되기 때문에 그 이유가 되는 거죠. 내가 말을 하는데 누가 그걸 돈 주고 듣는다 그러면 이 자유 경쟁 시장에서 그걸 안 할 이유가 없는 거거든요.
김: 멤버십에서는 불편한 댓글 없어요?
루: 있어요. 근데,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있고 다른 의견을 내는 사람들은 있는 거니까요.
김: 콘텐츠에 대해서 부정적인 피드백은 사실 생각해 볼만한 거리가 되잖아요.
루: 그렇죠. 하지만 인신공격은 불필요한 거라고 봐요. 그래도 구독자가 10만이 넘어가니까 그 숫자가 인증이 되더라고요.
김: 리뷰를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루: 일단 팩트죠. 정보적인 부분에서요. 두 번째가 우러나와서 하는 이야기를 해야 해요. 진짜 잘하는 사람을 잘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잘 못하는데 팬덤을 의식해서 억지로 잘한다고 이야기를 하는 거는 잘못됐다고 생각해서 아예 안 다루거나 혹은 멤버십으로 따로 빼서 해요.
김: 대중적으로 봤을 때는 오히려 논란이 되는 얘기를 하면 조회수 숫자가 더 커지지 않을까요?
루: 저도 멤버십 콘텐츠 없애고 그냥 하면 구독자 수가 훨씬 많이 늘 거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요. 쉽게 말하면 어그로가 끌리니까. 근데 저는 그건 건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댓글창이 난리가 날 거고 그걸 보는 사람들도 피곤할 거고. 그리고 날카롭고 뾰족하게, 솔직하게 보는 게 더 도움이 많이 돼요. 그 가수한테도 솔직한 피드백이 실은 아티스트를 위한 길이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을 위한 길이거든요. 못하는데 잘한다고 얘기하는 건 아무 의미 없는 거예요.
김: 리뷰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기준이 있을까요?
루: 아주 단순해요. 트래픽이죠. 신곡이면 하는 거고 인기가 많으면 하는 거고, 단순해요. 유튜브는 어찌 됐든지 간에 트래픽으로 판가름이 나는 플랫폼이라서요. 그리고 저는 소용돌이 바깥쪽에 있는 사람이다 보니까 외압이 있을 수 없어요 그냥 인기 많을 것 같은 거를 하는 거죠.
김: 루다 님 채널 봤을 때 인상 깊었던 건 자료 영상을 옆에 틀어 놓고 펜으로 그려서 짚어주는 부분이었어요. 그렇게 하게 되신 계기나 의도가 있을까요?
루: 저의 자격을 물어보시는 분들이 너무 많다 보니까 일단 조금이라도 더 전문성을 띄어야 된다는 생각을 했어요. 저는 영상 제작업도 병행을 하고 있거든요. 다른 콘텐츠를 보면서도 “이렇게 말했으면 자료 화면이 나와야 되는 거 아니야?”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보는데요. 그 관점에서 제 걸 보니까 말을 하면 그 부분을 보여줘야 되겠더라고요.
김: 그 부분이 무용비평하고 많이 비교가 되더라고요. 비평문은 글로 쓰니까 말로 다 설명을 해줘야 하는데, 그게 잘 된 묘사인지 실제로 가서 보지 않은 사람이면 알 수 없고, 가서 본다고 할지라도 그게 어떤 부분의 묘사인지 짚어내기도 쉽지 않죠. 하지만 댄스 리뷰 유튜브는 그 리뷰가 잘 됐는지 안 됐는지에 대한 평가도 즉각적으로 나오는 것 같아요.
루: 댓글에도 그런 게 나와요. 타임 코드 찍어서 그렇지 몇 분 몇 초 여기가 저는 여기를 이렇게 봤는데 이런 거군요. 혹은 좀 의아하네요, 이런 경우도 많고. 서로서로 같이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게 있죠.
김: 그건 재미있는 요소일까요? 스트레스일까요?
루: 댓글 같은 경우는 “너무 감사하죠” 정도가 아니라 온 마음을 다해서 엄청 고마워요. 그게 좋은 댓글이든 나쁜 댓글이든 누가 뭔가 시간을 내서 그런 것들을 하는 것 자체가 얼마나 수고스러운 일인지 알기 때문에 진짜 고마워요.
김: 아이돌 춤 리뷰 말고도 다른 종류의 콘텐츠가 있을까요?
루: 엔터 산업 전반에 관해서 생각한 걸 기획해서 콘텐츠로 만드는 게 저한테는 중요한 부분이에요. 예를 들어, 왜 요즘 남자 아이돌들은 대중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가 또는 팬덤의 화력으로 만들어진 1위가 대중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가 등.
김: 그런 얘기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어때요?
루: 조회수는 안 나와요. 나올 리가 없죠. 근데 간혹 당기는 주제가 있을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제2의 빅뱅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라든지. 그래도 저한테는 굉장히 중요한 콘텐츠예요.
김: 루다님이 케이팝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게 글로벌 시청자들한테도 수요가 있을 것 같아요. 요즘 한국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같은 경우도 외국인들이 역사적 고증을 하는 영상도 있고요. 제가 학자들을 만나봐도 〈쇼미 더 머니〉를 분석한다든가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거든요. 사회적으로 심층적으로 들어가는 콘텐츠도 영어 자막을 달아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김: 그럼 이것으로 인터뷰를 마치겠습니다. 긴 시간 얘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루: 제 얘기를 들어주셔서 제가 감사합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Writing on K-Street Dance
Vol.121-2 (2025.9.20.) Issue
Written by Kim Sue In (Dance Researcher)
Photos provided by Ruda Kris
Dance Criticism in the Platform Economy: An Interview with Dance Review YouTuber Luda Kris
I began exploring YouTube dance review contents to gauge viewer reaction while writing a research paper on "Street Man Fighter." I began by examining comments on videos provided by broadcasting stations, and gradually, I noticed a growing number of review videos appearing as related content. The reviews that were most helpful for my research were those that discussed aspects of the dance scene and media industry I hadn't previously known about. These videos also received numerous comments, expressing agreement or disagreement with the reviews. The more controversial the content, the more enthusiastic the comments. I was intrigued by the way this forum for public discussion about dance was being created on YouTube, and I sens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raditional dance criticism. As a lecturer to future generations of dance professionals, I wanted to examine the nature of dance reviews as one of their many potential activities. When I requested an interview with Ruda Kris (KIM SUNG IN), who runs the YouTube channel Ruda's Dance Lab, I received a response filled with hesitation and cautious concern. However, we ultimately agreed to the interview, hoping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including those concerns.
Kim Sue In (hereafter Kim): Hello. When I requested you for an interview, you asked me back several times, "Why did you call someone like me?" Did that request feel a bit awkward?
Ruda Kris (hereafter Ru): I tend to think I know myself very well,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I've often felt that I'm very weak in proving myself to others through dance, which is why I'm telling you this. If you had simply said you wanted to interview me as a YouTuber, I wouldn't have said that.
Kim: That's an interesting expression. How do you prove something through dance?
Ru: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on what constitutes "proof," but I think that competition awards and dance battle history are the only two things dancers talk about as proof. I had a bit more experience in battles, but when I was young, the dance battle scene wasn't as vibrant as it is now.
Kim: You grew up in Gwangju, right?
Ru: It was especially true in Gwangju, but it's actually similar across Korea. Winning an award at dance battle events like Street Jam or Real is like a public certification.
Kim: Then how did you get involved in this dance review field?
Ru: That's an interesting story. I worked at a dance academy as an instructor for about 13 years. Then one day, I got the flu. I couldn't teach for about two weeks. When I got my paycheck, I was surprised to see half of it was gone. It was natural that I wouldn't get paid since I didn't work, but it hit me hard at that moment that if I were sick, broke my leg, and was bedridden, my income would be zero. I realized the limitations of dancing, or rather, my ability to be a player in the business. That's why I turned my attention to YouTube.
Kim: How was it when you first started reviewing?
Ru: When I first started YouTube, I thought I should only review things that were deep and serious. So I talked about things like a very difficult dance battle in France, or recommending hip-hop music, or giving tips on how to practice, but I got no response. Actually, in the hip-hop, or rap scene, there's a very developed culture of “shout out.” But when I started YouTube and created my first dance YouTube channel, I was struck by the second realization when no dancers responded. That was around 2014. In my first video, I said something like, "I want to contribute to the dance scene, even if it's just a very small thing." I started this project because I wanted to help in a new way, but I saw that there was no feedback, no response, and no answer, so I decided to give it up.
Kim: How long did you do it before you quit?
Ru: I think I did it consistently for about six months. I just quit and lived quietly. That's because I was so embarrassed. However after a while there were people asking me, "When's the next video coming up?" At the time, I was going through a lot of difficult situations and needed an escape. When I was holding the mouse, I could stop thinking about it. So I began again. I confided in a friend who was popular on YouTube (CRAZY GREAPA), who was in the dance scene, about my concerns. He was honest with me. "From my perspective, it would be faster to quickly turn it into a popular song." So, I searched for a popular song at the time and decided to make a video featuring Jennie's solo from a dance trainer's perspective. That's how I started making review videos. It started getting a few number of views. After doing a few famous songs, one day I suddenly thought it would be fun to make something about old songs, so I made a video about Hyun Jinyung. Hyun Jinyung himself came to the video and left comments, and it started going viral. He was saying things like, "This is why I made it this way," and he was leaving funny comments. It was feedback I'd never seen from dancers before. At the time, YouTube was really into covering nostalgic stuff. That's when it started to catch on.
Kim: What motivates you to keep running your YouTube channel so consistently?
Ru: Actually, it only took me about three weeks to reach 10,000 subscribers. Within three weeks, I was monetized. To put it simply, I received my first monthly paycheck from YouTube, and when I saw that number, it struck me again. They paid me more in one month than I'd earned in 13 years of dancing, so I thought, "What have I done?“
Kim: You mentioned "from the perspective of a dance trainer." What do you mean by that?
Ru: The public often demands me a title asking "Who are you?"
Kim: It makes me to think of the situation in dance criticism, but the arts aren't really about exams and certifications, right? I think they'll be judging based on your portfolio and your experience.
Ru: In my case, I've trained idol singers, some of whom have become successful, and I've actually performed at official performances and other events. But it seems like there's no point in listing them all.
Kim: Listening to you makes me think a lot. What qualifies a dance critic? Very early on, dance criticism was initiated by writers. Now, as a dance researcher like me, I occasionally do some critiques, but I worry about whether I'm qualified.
Ru: I think the public in the dance scene considers three things to be qualified: whether someone is famous in dance battles, whether they choreographed for a famous singer, and finally, a new category added: whether they've appeared in a “Street Man Fighter” of “Street Women Fighter.” Even when I base my criticism on facts, I often feel frustrated when people leave comments questioning my qualifications.
Ru: So, that's why I implemented a membership system comes in. (Membership refers to a system where content is selectively provided to paying members.) First, I want to avoid unnecessary friction with the public, and second, it's because it's actually profitable. If someone is paying to listen to what I am saying, there's no reason not to do that in this free-market economy.
Kim: Do you get any uncomfortable comments in the membership contents?
Ru: Yes, I do get some. But there are people who think differently and have different opinions.
Kim: Negative feedback about content is actually something worth considering.
Lu: Yes. But I think personal attacks are unnecessary. Still, once I surpass 100,000 subscribers, that number becomes a validation.
Kim: What are some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when doing a review?
Ru: First, facts. That's the informational aspect. Second, I think it's incredibly important to praise truly talented individuals. I think it's wrong to forcefully praise someone who isn't good enough just to please the fandom. So I either avoid it altogether or separate it into a membership section.
Kim: But from a general perspective, wouldn't discussing controversial content actually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Ru: I've heard that a lot: if you eliminate membership content, your subscriber count will increase significantly. Simply put, it's because it attracts attention. But I think that's unhealthy. The comments section will be chaotic, and the people reading it will get tired.
Ru: And honestly, being sharp and critical is more helpful. Honest feedback is ultimately beneficial for the artist I like. It's meaningless to say you're good at something when you're not.
Kim: Do you have any criteria for selecting the dance content you review?
Ru: It's very simple. Traffic. So, if it's a new song, I do it, and if it's popular, I do it. It's simple. YouTube, after all, is a platform where traffic is the deciding factor. And since I'm outside the mainstream dancer circle, I can't be influenced by external pressure. I just do what I see and think will be popular.
Kim: When I watched your channel, one thing that struck me was how you would play a reference video alongside and use a pen to pinpoint the point. Was there a reason or intention behind doing that?
Ru: First of all, I've always thought a lot about the need to increas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within the content. Because so many people ask about my qualifications. I write a script for everything I say, even the jokes. I also do video production. When I watch other content, I often think, "If you say something like this, shouldn't the reference screen be like this?" Looking at mine from that perspective, I realized I needed to show the part where I say something. I thought that was the only way to convey the information.
Kim: That's something I compare to more traditional dance criticism. Since critiques are written, you have to explain everything verbally. It's hard to know if a review is a good one unless you actually go to a theater and see the show. Even if you do, it's difficult to pinpoint and compare the specific details. But with dance review YouTube, I think you can immediately see whether a review is good or bad.
Ru: That's also reflected in the comments. They're marked with time codes, so you can say things like, "Here's the exact minutes and seconds I saw this" Or, "This is a bit strange." There are many instances like that, and I can discuss them together.
Kim: Is that a fun element? Or a stressor?
Ru: For comments, whether it's good or bad, I know how much effort it takes for someone to take the time to do something like that, so I'm truly, truly grateful.
Kim: Are there any other types of content besides idol dance reviews?
Ru: It's secretly important to me to create content based on my thoughts about the entertainment industry as a whole. For example, why aren't male idols popular these days? Or what does a #1 ranking achieved through fandom mean to the public?
Kim: What's the public's reaction to those topics?
Ru: They don't get very low views. But sometimes, there are topics that catch my eye. For example, why we can't create a second Big Bang. However usually this kind of topic does not always gain attention. Still, it's incredibly important content to me.
Kim: I think your discussions about K-pop will be popular with global viewers. With the recent surge in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arts, there are videos like K-pop Demon Hunters where foreigners conduct historical research. When I meet with foreign scholars, they analyze Korean media content like "Show Me the Money." There's also a growing interest in pop culture. It might also be a good idea to add English subtitles to content that delves deeply into social issues.
Kim: Well, that concludes the interview. Thank you for taking the time to talk with me.
Ru: Thank you for listening to my story.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