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댄스씬 읽기
Vol.122-1 (2025.10.5.) 발행
글_ 김수인(무용이론가)
사진제공_ 고블린파티
귀신이 드나드는 문을 뜻하는 ‘귀문’은 이승과 저승의 경계이자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작년 9월 서울세계무용축제에서 이 작품의 초기 버전이 〈동네북〉이라는 제목으로 공연되었을 때, 귀문이라는 용어는 작품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올해 1시간 분량으로 확장된 〈귀문〉은 이전 버전의 굿과 혼령, 그리고 공동체라는 모티브를 유지하면서 ‘문’이라는 소재가 내포하고 있는 넘나듦과 소통의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었다. 9월 12-14일에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된 〈귀문〉은 재기발랄함으로 주목받는 현대무용단 고블린파티와 예술적 도전을 지속하는 브레이킹 그룹인 갬블러크루의 콜라보레이션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이한 춤 장르의 협업은 경계와 소통이라는 주제에 또 다른 층위를 더한다.
아직 객석의 불이 꺼지지 않은 상태에서 한 여성이 앞으로 나와 관객을 향해 공연 소개를 한다. 연극적인 그녀의 발성은 상당히 부자연스럽고 이질적으로 들린다. 안무자 노트에는 “공연 중에는 언어로 이야기하지 않습니다”라고 서술해 놓고, 대뜸 말을 하는 것이 의아하기도 하다. 점차 객석의 조명이 사그라지면 그제야 현실과는 다른 세상에 도달한 느낌이 든다. 그리고 부자연스럽던 연기 톤의 발성이 굿을 이끄는 무당의 신어로써 단순한 언어가 아닌 수행적 발화임을 깨닫게 된다. 라이브 가야금 연주와 퍼커션 연주가 신이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가운데 검은 옷을 입은 두 명의 남자가 직사각형의 상자(남미 악기 카혼(cajon))를 들고 등장한다. 저승사자처럼 보이는 이들의 듀엣은 상자를 사용해 관처럼 어깨에 메기도 하고, 바닥에 놓아 징검다리처럼 딛고 올라서기도 하며, 문처럼 경계와 소통의 장치로 활용하기도 한다. 특히 신중하게 발로 상자를 탐색하다가, 움직이다가, 올라서는 움직임은 이승과 저승 어디에 발을 디딜 것인지, 아니면 혹은 찰나에 나타나고 계속 변화하는 경계의 틈새에 발을 디딜 것인지를 시험하는 것 같다. 이후 검은 옷을 입은 한 무리의 사람들이 막대기를 들고 무대에 등장한다. 받침대 위에 수직으로 세워진 막대기들은 사이사이로 지나가는 통로가 되기도 하고 그것을 가로막는 벽이 되기도 한다. 휘몰아치거나 고요해지는 사운드에 따라 무용수들의 춤도 때로는 긴박하게 때로는 느슨하게 펼쳐진다. 결국 문 앞에 남은 한 남자가 온 몸을 던져 춤을 추지만 문을 열기란 매우 지난해 보인다. 무용수들은 막대기를 들어 바닥에 사각형으로 놓고 받침대는 뒤집어 검은 바닥에 써진 하얀 한자들(生, 我, 天, 南 등등)을 드러낸다. 사각형 안에 쓰러진 남자의 모습은 무덤이라는 또 다른 세계로의 입구를 연상시키는데, 소통이 성공적이었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
전반적으로 사운드 퍼포먼스의 힘이 강하게 느껴진 공연이었다. 퍼커션을 맡은 김현빈의 라이브는 다양한 타악기뿐 아니라 물을 떨어뜨리는 소리 등 여러 질감의 사운드 디자인으로 공연의 감각을 풍부하게 증폭하였다. 또한 처음의 듀엣이 공연의 주제와 분위기를 잘 설정하였고, 움직임적으로도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뒤의 군무는 막대기뿐 아니라 칼과 같은 소품을 사용해 다양한 장면을 구사하였지만, 지난번 버전의 공연에서 오는 기시감도 있었고 댄서들 사이의 이질성 때문에 흥미로우면서도 몰입에 방해가 되었다. 제작진이 제공하는 작품 의도에 따르면, “몸이 먼저 문을 넘을 때, 언어는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합니다”라고 하였는데, 내가 보기엔 오히려 몸에서 문을 넘지 못하고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 이질성을 좀 더 이해하고 싶어서 출연진들과의 인터뷰를 요청하였고, 안무가 임진호와 갬블러크루의 리더 박지훈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
김수인(이하 김): 갬블러크루와 고블린파티의 콜라보레이션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시죠? 브레이킹을 하는 입장에서 고블린파티와 함께, 혹은 순수예술의 극장 공연에 참여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일지 궁금합니다.
박지훈(이하 박): 제 개인적인 입장이긴 한데, 전 한 10년 전쯤부터 좀 그런 데 관심이 있었어요. 브레이킹을 순수예술의 영역으로 갖고 들어갈 수 없을까. 기승전결이 있고 호흡이 긴 어떤 그런 작품을 만들어서 좀 해 볼 수 없을까 하는 관심이 있어서 이런저런 시도를 해봤죠. 저희끼리도 해 보고, 서울문화재단 지원을 받아서 다른 현대무용 안무가들이랑 작업도 해 보고요. 한데 좀 어려웠던 점이 저희는 비보이들이다 보니까 항상 좀 저랑 몇몇 소수가 ‘이거 재밌어. 해 보자’하고 제안하면, 다른 멤버들은 흥미가 없고 그래서 조금씩 힘이 많이 빠져가던 중이었거든요. 어떤 친구는 같이 막 열심히 하고 잘 어울렸는데, ‘형, 저는 이제 그만할래요’ 이러고. 그래서 저도 ‘안 되나 보다. 이제 나도 그만해야겠다’ 약간 이런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고블린[파티]을 만났던 거예요. 그때 이 스토리를 다 말씀 드렸어요. 너무 순수 무용 스타일로 가면 소화를 못 하고, 하더라도 그 이후에 안 하려고 그럴 수 있다고요. 근데 고블린이랑 그 작품[얼쑤 얼쓰]을 하고 나서 저희 멤버들이 그때는 작업에 어떤 연속의 흥미를 갖더라고요.
김: 그 콜라보가 서울문화재단의 제안이었어요?
박: 비보이를 순수예술의 틀 안으로 갖고 들어가고 싶다라는 저희 관심이 서울문화재단의 니즈(needs)와도 맞았었어요. 그래서 재단에서 ‘예산이 있을 것 같은데 해 볼래 말래’ 그렇게 제안하셨는데, 제가 처음에는 ‘아, 안 할래요. 뭐 하겠다는 애들도 없고. 뭐 아까워도 별 수 있어요. 못 하겠어요’ 그냥 그랬었는데. 댄서들끼리 개인적 인연도 있었고 그래서, 한번 해 보자고 그랬죠.
김: 그때 고블린파티의 입장은 어땠어요?
임진호(이하 임): 저희는 원체 새로운 장르들을 만나면 그들이 가진 기술이 너무 탐나는 거예요. 저희는 음악이든 뭐든 다른 장르를 만나면 그 장르가 갖고 있는 기술을 어떻게든 우리 작품에 잘 쓰여지게 하는 게 너무 재미있는 거예요. 외국이 정답은 아니지만, 사실 외국에서는 그런 장르 융합이 너무 당연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제안이 왔을 때 “옳거니. 이게 웬 떡이야. 갬블러래” 그랬죠.
김: 그래서 같이 해 보니 어떠셨던가요?
박: 저희 멤버들이 이 작업을 즐거워한다는 게 제일 고무적이었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다음 작품을 할 수 있게 된 거죠. 비보이들 중에 현대무용에 식견을 아예 갖고 있지 않다면 선입견을 가질 수 있거든요. 느슨하게, 선[을 보여주고] 이런 것을 해야 되는 것에.
김: 어떻게 보면 ‘저런 느끼한 춤을 추다니’ 이럴 수도 있겠네요.
박: 그런 거부감들을 무의식중에 좀 가질 수 있는데, 고블린파티와의 협업은 ‘어, 전혀 그렇지 않구나. 재밌네.’ 이렇게 좀 그런 걸 무너뜨려 준, 경계를 무너뜨려 준 게 컸던 것 같아요. 이전 작업에서는 멤버들이 납득을 잘 못 했던 것 같아요. 난 잘 이해가 안 되는데 일단 하라니까 해야지. 그런 게 겹겹이 쌓이다 보니까 재미가 없는 거죠. 근데 두 분[지경민, 임진호]은 그런 거를 상당히 잘 납득시켜 주세요. 그러니까 연습이 즐거워지는 거죠.
김: 연습만 즐거워서 되나요? 결과물로써 성취감이나 커리어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까요?
박: 당연히 그런 욕심이 없으면 말이 안 되죠. 어제 진짜 너무 힘들어서 와이프한테 물어봤어요. '나 이거 왜 하는 거지? 돈을 많이 주는 것도 아니고, 이 시간에 다른 일 하는 게 나을 텐데 내가 왜 사서 고생하고 있나' 싶더라고요. 그러고선 같이 가만히 생각해 보니까, 제가 다른 행사 치르고 공연도 다니고 바쁘게 사는 와중에 이런 순수예술 작품에 한 발이라도 담그고 있는 게 지금은 고블린파티랑 함께 하는 이 작업뿐인 거예요. 그래도 나름 아티스트인데 정성들인 창작활동을 해야지요.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있겠다 싶었어요. 이게 엄청 히트할 거란 기대보다는, 그냥 '내가 정성 들여 만든 작품을 관객들한테 선보이는, 이 예술적인 일을 하고 있구나' 하는 그 사실 자체가 저에겐 큰 힘이 되더라고요.
김: 저는 몇 년 사이에 실용댄스가 확장되고 성장하면서 극장으로 많이 들어오고 있는 사례를 보게 됐어요. 한동안 제가 순수무용에 살짝 권태감을 느끼고 있다가 스트릿댄스를 봤는데 너무 새롭고 재밌어서 한 몇 년 동안 관심을 가지고 봤거든요. 그리고 나서는 극장에 들어와서 콜라보하는 거를 봤었을 때, ‘아, 그 반짝거림이 다 어디 갔지?’라는 느낌에 좀 실망스러운 경험들도 있었어요. 그래서 지금 이런 콜라보를 내가 어떻게 이해해야 되는지 계속 좀 찾아가고 있는 중이라고나 할까요? 솔직히 고블린파티와 갬블러크루의 콜라보를 〈얼쓰 얼쑤〉(2024)에서 처음 보고 몇 년이 됐는데, 오늘 봤을 때도 아직 이 콜라보는 완성되지 않았다고 생각했어요.
임: 맞습니다. 저도 생각이 많아지네요. 제가 어제 첫 공연을 할 때, 무대 옆에서 앉아서 40분을 봤어요. 근데 이 비보이 무용수들이 정말 미친 듯이 공연을 하고 몰입하고 있는데 똑같은 생각 했어요. 도대체 뭘 위해서 저렇게 하는지 ‘아니, 왜 저렇게 열심히 하는 거야’라는 생각이 스쳤죠. 너무 감사하면서도 되게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쭉 보면서 변화가 느껴져요. 무용이 많이 늘었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걷는 걸음걸이가 달라져요. “자, 여기서 여기까지 갖다 놓으세요.” 그러면 어느 순간 이걸 갖다 놓는 거를 조금 다르게 생각하시는 거예요. 절대 안 변할 것 같은 그런 목석같은 사람이 하나 있는데 그 사람이 걸음걸이가 달라지기 시작하는 거예요. 이전에는 갖다 놓는 게 의무였어요. 근데 지금은 갖다 놓는 거에 자기의 무언가가 들어가요. 뭐라고 얘기를 한 적이 없거든요. 우리는 정말 이 다음을 향해 또 가고 있구나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김: 걸음걸이 얘기를 해 주셨는데, 그런 게 어려운 것 같아요. 그러니까 차라리 동작을 뭘 어떻게 하라고 그러면 배워서 하는 거는 되는데, 중간중간에 몸을 어떻게 홀드(hold)하고 있는가라는 점에서 미묘한 차이가 보이더라고요.
임, 박: 어쩔 수가 없어요.
김: 그리고 오늘 많이 보인 건 사실 시선이었어요. 시선 처리가 고블린 분들하고 갬블러 분들하고 다르다는 게 눈에 띄었어요. 스테이지 매너라고나 할까, 아니면 댄서들이 장르마다 가지고 있는 아비투스가 좀 다르잖아요. 그거를 보면서 오히려 그거를 나중에 살리는 게 나을지, 아니면 작품을 위해서 그 부분은 하지 말라고 얘기를 해야 되나 좀 고민이 되더라고요. 한 번 고민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극장에서 요구하는 것들은 굉장히 순수 무용의 문법에 맞춰져 있거든요. 근데 댄서만 스트릿 댄서를 데려온다고 이게 콜라보가 되는가 라는 지점에 있어서 저는 좀 사실 커다란 물음표가 있어요. 이 댄서를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다른 관람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손을 대야 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도 들고요. 오늘 경계와 문에 대한 얘기를 했었는데, 이 장르의 문법에 관한 것도 연관시켜서 고민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박: 그게 되게 어려운 얘기예요. 예전에 어떤 작품 했을 때, 제 와이프가 “그냥 너네 공연에서 프리스타일 하는 게 훨씬 재밌다”는 거예요. DJ가 쿵짝쿵짝하는 거 틀고 저희 마음대로 막 하는 게 훨씬 멋있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그 매력이 극장에서는 지금 온전히 안 오고 있다 라는 뜻으로 이해했거든요. 근데 이제 그걸 그냥 극장으로 갖고 오면 한편으로는 “또 하던 거 하는 거잖아. 뭐야, 니네 갬블러 또 똑같은 거 하네” 그럴 거란 말이죠. 이게 너무 어려운 거죠.
임: 저는 일단 장르 전공에 선입견을 가지지 않고, 너무 신경쓰지 않고 하는게 좋은 것 같아요. 그냥 무용수인 거죠. 좀 이질적이고 눈에 튄다고 생각하는 관객도 있겠지만, 만약 어떤 행동이 그 무용수에게 자연스러운 일이라면 막을 이유는 없다 라고 일단은 생각이 들고요. 지금 목석같은 사람이 그 정성스럽게 다리 하나 걷는 그게 저는 이 작품의 가장 큰 수확이라고 생각해요.
김: 그걸 성장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야생의 매력을 잃고 길들여지는 거라고 볼 수도 있지 않나요? 이렇게 말하면 제가 너무 나쁜 사람 같지만.
임: 그렇다고 보기엔 비보이 분들 덕분에 지금의 〈귀문〉 작품이 있는 거라고 생각해요. 〈귀문〉이 가지고 있는 와일드한 작품의 근간이나 매력이 사실 이분들 때문이에요. 정제된 교육을 받아왔던 현대무용수들이 그 자리에 있었으면 이 작품은 전혀 다른 작품이 됐을 거예요. 이들만이 갖고 있는 그런 매력은 또 다른 거예요.
김: 오늘 이렇게 얘기를 나눠보니까, 작품만 볼 때 생각했던 거랑은 또 다른 이해를 하게 되네요. 우리가 댄스계에 함께 몸 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같이 고민을 해야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정답보다는 질문을 오늘 많이 나눠본 것 같습니다. 이야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박, 임: 감사합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Writing on K-Street Dance
Vol. 122-1 (2025.10.5.) Issue
Written by Kim Su-in (Dance Theorist)
Photos provided by Goblin Party
Opening the Gate of the Boundary Isn‘t This Easy: Goblin Party and Gambler Crew’s 〈Gwimun〉
"Gwimun," meaning "gate through which ghosts pass," can be seen as a border and passage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When an early version of this work was performed under the title 〈Dongnebuk〉 at the Seoul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last September, the term "Gwimun" was used to describe part of the piece. This year's expanded, hour-long version of 〈Gwimun〉 maintains the motifs of gut, spirits, and community from the previous version, while emphasizing the potential for crossing and communication inherent in the "gate." 〈Gwimun〉 performed at the Seoul Arts Center's Jayu Small Theater from September 12th to 14th, is a collaboration between the vibrant contemporary dance company Goblin Party and the breakdancing group Gambler Crew, known for their artistic challenges. This collaboration of different dance genres adds another layer to the theme of boundaries and communication.
While the lights were still on, a woman stepped forward to introduce the performance to the audience. Her theatrical vocalizations sounded quite unnatural and alien. The choreographer's notes state, "No verbal communication is allowed during the performance," so it's puzzling that she would speak so abruptly. As the lights gradually dim, it's only then that one feels transported to a world beyond reality. And one realizes that the unnatural, theatrical vocalizations are not simply language, but performative speech, the new language of the shaman leading the gut (shamanic ritual). Amidst the eerie, eerie atmosphere created by live gayageum and percussion, two men in black appear carrying a rectangular box (a South American instrument called a cajon). The duo, resembling grim reapers, use the box, sometimes carrying it on their shoulders like a coffin, sometimes placing it on the floor and stepping on it like stepping stones, and sometimes using it as a device for borders and communication, like a door. Their careful footwork, moving and climbing on the box, seems to test whether they will step into the gap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or into the fleeting, ever-changing boundary between them. Then, a group of black-clad figures appear on stage, holding sticks. Standing vertically on pedestals, the sticks act as passageways or barriers. The dancers' movements unfold, sometimes tensely, sometimes loosely, in response to the swirling or calming sounds. Finally, one man stands before the door, throwing himself into the dance, but it seems like it was a long time ago before he opened it. The dancers held sticks and placed them on the floor in a square, flipping the base over to reveal white Chinese characters (生, 我, 天, 南, etc.) written on the black floor. The image of a man collapsed within the square evoked the entrance to another world, a grave, but it's unclear whether the communication was successful.
Overall, the performance strongly resonated with the power of sound performance. Kim Hyun-bin, the percussionist, performed live, enriching the performance with a variety of percussion instruments and a multi-textured sound design, including the sound of dripping water. The opening duet effectively established the theme and mood of the performance, and its movement was the most engaging part. The group dance that followed utilized not only sticks but also props like swords to create a variety of scenes. However, the sense of déjà vu from previous performances, and the disparity between the dancers, while intriguing, hindered immersion. The production team's statement of intent states, "When the body crosses the threshold first, language cannot keep pace." However, I felt as if the body itself was holding back. To better understand this heterogeneity, I requested an interview with the performers and spoke with choreographer Lim Jin-ho and Gambler Crew leader Park Ji-hoon.
Kim Su-in (hereafter Kim): This isn't the first collaboration between Gambler Crew and Goblin Party, is it? As a breakdancer, I'm curious about what it means to work with Goblin Party, or to participate in a pure art theatrical performance.
Park Ji-hoon (hereafter Park): This is my personal perspective, but I've been interested in this for about ten years. I've been wondering if breakdance could be brought into the realm of pure art. I've been interested in creating works with a narrative arc and a long, flowing narrative. So, I've experimented with various approaches. We've tried it ourselves, and with support from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e've also collaborated with other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The challenge, however, is that as breakdancers, a small group of us have always been thinking, "This is fun." When I suggested, "Let's try it," the other members lost interest, and I was slowly losing steam. One of my friends, who was working really hard and getting along well with me, said, "Hyung, I'm quitting now." So I thought, "This isn't working. I should quit now, too." That's when I met Goblin [Party] for the last time. I told him the whole story. If you go too purely in a dance style, you might not be able to handle it, and even if you do, you might not want to do it again. But after doing that piece [Eolssu Eolssu] with Goblin, our members developed a certain interest in working with others.
Kim: Was that collaboration a proposal from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ark: Our interest in bringing b-boying into the realm of pure art aligned with the needs of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o the foundation suggested, "I think we have the budget, so give it a try." At first, I said, "Oh, I won't. No one wants to do it. Even if it's a waste, there's nothing we can do." I just thought, 'I can't do it.' The dancers had personal connections, so we decided to give it a try.
Kim: What was Goblin Party's stance at the time?
Lim Jin-ho (hereafter Lim): When we encounter new genres, we're always so envious of their techniques. Whether it's music or anything else, we find it incredibly interesting to incorporate their techniques into our work. While foreign countries aren't the answer, genre fusion is actually quite commonplace there. So when the offer came, we were like, "That's right. What a blast. They're gamblers!"
Kim: So, what was it like working together?
Park: I think the most encouraging thing was that our members enjoyed this project. That's how we were able to do the next project. B-boys who don't have any experience with contemporary dance might have preconceived notions about how to do things loosely, [showing] lines, and things like that.
Kim: In a way, you might think, "Why are you doing such a cheesy dance?"
Park: You might unconsciously harbor those kinds of feelings of resistance, but collaborating with Goblin Party was a big part of breaking down those barriers and making people think, "Oh, that's not true at all. This is fun." In previous projects, the members seemed to have a hard time convincing me. They'd say, "I don't really understand, but I have to do it because they told me to." When those things pile up, it becomes boring. But the two of them [Ji Kyung-min and Lim Jin-ho] are really good at making me understand those things. That's why practice becomes enjoyable.
Kim: Is practice just about having fun? Is it meaningful in terms of accomplishment or career success?
Park: Of course, it wouldn't make sense if you didn't have those desires. Yesterday, I was so exhausted that I asked my wife, "Why am I doing this? It's not paying me much, and I could be doing something else with my time. Why am I putting myself through all this trouble?" Then, I thought about it for a moment and realized that, despite my busy schedule of events, performances, and other activities, the only time I've been able to even begin to dabble in pure art is this project I'm doing with Goblin Party. Still, as an artist, I need to put my heart and soul into my creative work. I felt that in itself, it was meaningful. Rather than expecting it to be a huge hit, the simple fact that I'm presenting this artistic work, this work I've put my heart and soul into, to an audience, has been a huge source of strength for me.
Kim: Over the past few years, I've seen practical dance expand and grow, bringing more and more people into theaters. For a while, I was feeling a bit bored with pure dance, but then I saw street dance and it was so new and exciting that I became interested in it for a few years. Then, when I went to the theater and saw the collaboration, I was a bit disappointed, thinking, "Oh, where did all that sparkle go?" So, I'm still figuring out how to understand this kind of collaboration. Honestly, it's been years since I first saw the collaboration between Goblin Party and Gambler Crew in 〈Earth Earth〉 (2024), but even today, I still felt like it wasn't complete.
Lim: That's right. I'm having a lot of thoughts. When they did their first performance yesterday, I sat next to the stage and watched for 40 minutes. These b-boy dancers were absolutely crazy and immersed in the performance, and I had the same thought. I wondered, "What on earth are they doing that for?" I was so grateful, but it also gave me a lot of thoughts. And as I continued watching, I noticed changes. I thought the dance had improved a lot. The way they walk changed. "Okay, put it from here to here." And at some point, they began to think a little differently about putting it there. There's this person who seems like they'll never change, like a stone, and their gait starts to change. Before, putting it there was a sense of duty. But now, putting it there involves something personal. We never really talked about it. I felt like we were really moving towards this next step.
Kim: You mentioned walking, but that seems difficult. So, if you tell us how to do certain movements, we can learn them, but I noticed subtle differences in how we hold our bodies during the movements.
Lim, Park: There's nothing we can do.
Kim: And what I noticed a lot today was actually gaze. I noticed a difference in the way Goblins and Gamblers handled gazes. Maybe it's stage manners, or the different habits dancers have in each genre. Seeing that made me wonder whether it would be better to bring that to life later, or if I should tell them not to do it for the sake of the work. I think it would be helpful if they would consider it. The demands of theaters are very much aligned with the grammar of pure dance. But I have a big question mark about whether bringing in street dancers alone can truly be considered collaboration. I also think we need to address other viewing mechanisms that allow us to observe these dancers. We talked about boundaries and doors today, and I think we can consider this in connection with the grammar of this genre.
Park: That's a very difficult question. When I was working on a piece before, my wife said, "It's much more fun to just freestyle at your show." She said it was much cooler when the DJ played some thumping beats and we just did whatever we wanted. So, I understood that to mean that the charm wasn't fully apparent in theaters. But now, if we brought it to theaters, people would say, "You're just doing the same thing again. What? You Gamblers, you're doing the same thing again." That's incredibly difficult.
Lim: I think it's best to do it without any preconceived notions about genre or overly concerned about it. They're just dancers. Some audience members might find it a bit unconventional and flashy, but if a certain action comes naturally to a dancer, there's no reason to stop them. I think the greatest achievement of this piece is seeing someone as reckless as a rock walk a single leg with such devotion.
Kim: You could see that as growth, but wouldn't you also see it as losing that wild charm and becoming tamed? It might sound like I'm being a bad person for saying that, but I suppose that's the point.
Lim: If that's true, I believe the current 〈Gwimun〉 work is thanks to the B-boys. The foundation and charm of 〈Gwimun〉's wild nature are truly thanks to them. If modern dancers with refined training had been there, the work would have been completely different. The charm they possess is something else entirely.
Kim: Talking with you today has given me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work than I had originally thought. As people who work together in the dance world, I believe we need to think together, so I've shared more questions than answers. Thank you for sharing your thoughts.
Park, Lim: Thank you.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