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인사이트

진짜 춤의 부활을 목격하다

※ 〈국제신문〉 2024년 12월 11일자와 중복게재한 글입니다.

인사이트

Vol.112 (2024.12.15.)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Unsplash의insung yoon

 

일상의 몸짓은 시대를 반영한다. 춤이 일상 몸짓과 얼핏 상관없어 보이지만, 춤은 시대 상황을 외면하지 못한다. 시대마다 다른 일상 몸짓의 변화를 반영한 춤은 무대 위가 아니라 생활 속에 스며있는 춤이다. 농경시대 몸짓은 농사와 관련이 있었고, 산업화 시대는 노동자의 몸짓이었다. 굽은 농부의 등은 일노래에 맞추어 들썩였다. 가족을 건사하기 위해 살인적인 노동을 견디었던 이들은 선술집 탁자를 젓가락으로 두드리며 목청을 높이고 몸을 들썩였다. 고된 집안일을 오직 몸뚱이로 감당해야 했던 이들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유행가를 흥얼거리며 고단함을 삼켰다. 모양새는 조금씩 달라도, 삶의 무게를 담아 움찔거린 몸짓이 그 시대의 춤이었다. 어쩌다 관광버스를 타고 일상을 벗어날 때면 참았던 고단함을 잠시나마 해소했다. 관광버스 춤은 모두 비슷했다. 좁은 공간 탓도 있겠지만, 고된 삶을 견디면서 얻은 관절 질환이 몸 곳곳을 괴롭히는 터라 기껏해야 손을 어정쩡하게 들고 어깨를 들썩이는 것 외에 다르게 춤출 수가 없었다. 예전 관광버스 춤은 삶의 고단함이 묻어있는 서글픈 춤이었다.


노동이 갈수록 개별화하면서 많은 사람의 일상 움직임이 급격히 줄었다. 타고, 앉고 조금만 걸어도 하루가 지나갔다. 예전의 일상 몸짓은 변했고, 춤도 잊혀갔다. 일상의 맥락에 놓여있던 춤이 삶에서 멀어지면서 어른들은 춤추기를 어색해했다. 춤은 하나의 구경거리가 되었다. 하지만 추지 않고 보기만 하는 춤은 한계가 있었다. 춤은 추어야 재미를 온전히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약삭빠른 사람들이 따라 하기 좋은 춤을 만들기 시작했다. 멋있거나 재미있어 보이는 동작을 짧게 엮은 춤이 나타났다. 이런 춤을 접한 젊은 세대가 춤을 따라 추기 시작했다. 패스트푸드 먹어 치우듯 후다닥 춤 하나를 해치우고, 다른 춤을 기다렸다. 자판기처럼 미디어는 춤을 쏟아냈다. 사람들은 돈을 내고 휴대전화, 노트북에서 춤을 구매하고 소비하고 이내 잊었다. 춤이 다양해진 것처럼 보였다. 그렇지 않으면 팔리지 않아서인데, 진열된 기성품처럼 포장이 조금씩 달라서 종류가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각각의 차이가 크지 않다. 어떤 춤이 인기를 얻어 잘 팔릴지 몰라서 일단 많이 만들었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맥락을 잃은 춤을 빠르고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는 음악에 전적으로 기대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다. 춤과 음악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춤과 음악은 서로 모방하고 보완하는데, 이런 관계가 역전되었다. 춤이 자기 주도권을 상실한 것처럼 보였다.


지금 대중이 즐겨 소비하는 춤에 인간관계의 변화가 투영해 있다. 코로나 팬데믹에서 겨우 벗어났을 때 소통 방식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가까운 사이의 대면은 어색해졌고, 살면서 한 번도 마주칠 일이 없을 먼 나라 사람들을 더 가깝게 느끼게 되었다. 비대면이 대면을 완벽에 가깝게 대체한 것처럼 보였다. 이런 현상이 춤을 향유하는 방식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작은 카메라 앞에서 혼자 춤추면서도 만날 가능성이 희박한 사람이 같은 춤을 즐긴다는 이유로 친밀하게 느낀다. 춤을 감상할 때도 내 감각이 아니라 의도된 카메라 앵글에 의지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춤은 나와 타자의 현존을 감각하는 행위인데, 대중이 즐기는 춤은 일종의 시뮬라크르이다. 육체의 현존을 느낄 수 없는데도 춤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진짜 춤의 복제 이미지를 즐긴다. 여기서 육체의 현존을 감각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춤은 게임 캐릭터의 움직임과 다를 바 없게 되었고, 젊은 세대는 마음대로 고를 수 있는 춤, 갈아타거나 폐기하기 쉬운 춤을 오히려 친근하게 여긴다. 나와 타자의 현존을 감각하는 진짜 춤 따위는 애초에 없었던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사라진 것처럼 보였던 진짜 춤이 무대가 아닌 거리와 광장에 다시 나타났다. 공동체에 위기와 고난이 닥쳤을 때 사람들은 광장에 모였고, 우리가 되어 함께 고난을 극복할 방법을 모색했다. 어울려 구호를 외치고 노래하고 들썩이면서 거대한 군무를 만들어냈다. 이전의 진짜 춤이 개별적이라면 다시 나타난 진짜 춤은 집단적이다. 집회에 참석한 MZ세대가 아이돌 응원봉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K-POP을 따라 불렀고, 광장은 반짝이는 응원봉을 흔들며 열광하는 콘서트장이 되었다. 경쾌하고 활기찬 가운데 강력한 의지가 번뜩이는 광장의 군무는 그 어떤 무대에서 펼친 군무보다 짙은 감동을 주었다. 춤의 시뮬라크르를 즐기던 세대가 이 시대의 춤을 탄생시킨 위대한 역설의 현장이다. 광장에 일렁이는 거대한 군무의 파도를 보면서 부활한 진짜 춤을 목격하고 있다는 생각에 전율이 일었다. 공동체의 위기와 혼란을 기어이 잠재울 그 춤 앞에서 다음 세대에 대한 희망과 믿음이 솟아났다. 위기의 공동체를 다시 일으키는 이 춤이야말로 이 시대에 부활한 진짜 춤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Insight

Vol.112 (2024.12.15.)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Witnessing the revival of true dance


Daily gestures reflect the times. Although dance may seem unrelated to daily gestures at first glance, dance cannot ignore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Dance that reflects the changes in daily gestures that differ from era to era is not a dance on stage but one that permeates our lives. Gestures in the agricultural era were related to farming, and in the industrialization era, they were the gestures of laborers. The bent backs of farmers swayed to the beat of work songs. Those who endured murderous labor to build their families tapped their chopsticks on the tavern tables, raising their voices and swaying their bodies. Those who had to endure arduous housework with their bodies alone hummed popular songs from the radio to swallow their fatigue. Although their appearances were slightly different, gestures that trembled with the weight of life were the dance of that era. When I occasionally took a tour bus to escape my daily life, I could relieve the fatigue I had endured for a moment. The tour bus dances were all similar. It may have been because of the narrow space, but the joint disease I acquired from enduring a hard life was bothering me all over my body, so I could only dance by raising my hands and shaking my shoulders. The old tour bus dance was a sad dance that contained the hardships of life.


As labor became more and more individualized, many people’s daily movements decreased rapidly. A day would pass by just riding, sitting, and walking a little. The old daily gestures changed, and dancing was forgotten. As dancing, which was part of everyday life, became distant from life, adults felt awkward about dancing. Dancing became a spectacle.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dancing without dancing. This is because dancing can only be fully enjoyed when dancing. Smart people began to create dances that were easy to follow. Short dances that seemed cool or fun appeared. The younger generation who encountered these dances began to follow them. They quickly finished one dance like fast food and waited for another. The media poured out dances like vending machines. People paid money to buy and consume dances on their phones and laptops, and soon forgot about them. It seemed like dances had become more diverse. Otherwise, they wouldn’t sell. The packaging was slightly different, like ready-made products on display, so it seemed like there were many types, but if you look inside, there wasn’t much difference between them. This phenomenon occurred because they didn’t know which dances would become popular and sell well, so they made a lot of them. In order to quickly and abundantly produce dances that lost their context, relying entirely on music is the most efficient way. Dance and music are inseparable. Dance and music imitate and complement each other, but this relationship has been reversed. It seemed like dance had lost its own initiative.


The changes in human relationships are reflected in the dances that the public enjoys consuming now. When we finally got out of the COVID-19 pandemic, the way we communicated had changed a lot. Face-to-face meetings with close friends became awkward, and we began to feel closer to people from faraway countries whom we would never meet in our lives. It seemed like non-face-to-face meetings had almost perfectly replaced face-to-face meetings. This phenomenon is reflected in the way we enjoy dancing. Even when dancing alone in front of a small camera, we feel close to people we would never meet because they enjoy the same dance. When appreciating dance, it has become natural to rely on the intended camera angle rather than our own senses. Dancing is an act of sensing the presence of the self and others, but the dances enjoyed by the public are a kind of simulacrum. We enjoy the image of a real dance that cannot be said to be not dance even though we cannot sense the presence of the body. Sensing the presence of the body is not important here. Dancing has become no different from the movements of a game character, and the younger generation finds dances that they can choose at will and dances that are easy to switch or discard more familiar. It is as if real dance that senses the presence of the self and others never existed in the first place.


However, real dance, which seemed to have disappeared, reappeared on the streets and plazas, not on the stage. When the community faced a crisis and hardship, people gathered in the plaza and sought ways to overcome the hardship together as one. They chanted, sang, and danced together to create a huge dance. If the real dance of the past was individual, the real dance that has reappeared is collective. The MZ generation that attended the rally held idol cheering sticks, chanted slogans, and sang along to K-POP, and the plaza became a concert hall where people waved their sparkling cheering sticks. The cheerful and lively dance in the plaza, which flashed strong will, gave a deeper impression than any other dance on stage. It is the site of a great paradox where the generation that enjoyed simulacrum of dance gave birth to the dance of this era. Watching the huge wave of the dance in the plaza, I felt a thrill at the thought that I was witnessing the real dance that was revived. Hope and faith for the next generation arose in front of the dance that will surely put an end to the crisis and confusion of the community. This dance that revives the community in crisis is the real dance that has been revived in this era.


※ This is a duplicate article published in the December 11, 2024 edition of 〈Kookje News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