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인사이트

2025년은 열악한 지원금을 딛고 〈댄스포스트코리아〉가 한 층 성장하는 한 해가 되길

인사이트

Vol.114-1 (2025.2.5.) 발행


글_ 이희나(편집주간)



〈댄스포스트코리아〉의 2024년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힘든 한해였다. 이전 몇 년 동안 미약하게나마 꾸준히 받아왔던 문예진흥기금을 받지 못한 채 어렵게 운영한 1년이었기 때문이다. 2023년까지 문예진흥기금이 (무용 분야에서) 모든 비평 매체에 조금씩이나마 지원금이 배분되었던 이유는, 열악한 매체 발간 환경을 고려한 까닭이었다. 자의든 타이든 구매를 해서 읽는 종이 매체와 달리 온라인 매체는 대부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종이 매체의 제작비만큼은 아니더라도 웹사이트 유지보수, 원고료, 제작 및 발송에 비용이 들어가기에 웹진 운영 또한 만만치 않다. 이러한 이유로 작년 지원금에 탈락한 이후로 매월 힘겹게 버티며 〈댄스포스트코리아〉를 운영하였다.


지난해 문예진흥기금은 공연예술분야의 모든 지원을 ‘창작’이라는 분류 체계로 묶어 심사·지원하였다. 비평 매체를 무대 공연 지원과 통합하여 ‘공연예술창작주체(단체 및 공간)’라는 큰 카테고리에 넣고 한꺼번에 심사한 것이다. 변화된 심사제도의 미흡함과 불합리함에 더해 심의위원의 구성이나 전문성의 문제까지, 2024년의 문예진흥기금 심사제도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2025년 문화예술기금은 작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연예술창작주체’의 하부 카테고리로 연극·뮤지컬, 무용, 음악, 전통예술의 실연 장르와 같은 층위에 ‘공연비평’이라는 지원 항목을 별도로 두었다. 연극·뮤지컬, 무용, 음악, 문화일반 분야에서 비평 담론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비평지, 정기간행물만을 따로 떼어 ‘비평’ 분야로 묶어 지원하기 위한 항목이다. ‘무용’이라는 장르적 특성보다 ‘비평’이라는 활동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한 심사 방침으로, 각 분야의 심의위원들이 골고루 참여하여 비평 사업의 적절성과 예산의 효율성, 지속가능성 등을 심사하였다.


비평과 저널리즘에 전문성을 가진 심의위원이 심사하게 된 변화는 반가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문예진흥기금 심의 운영에는 또 다른 문제점이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무용 분야 비상임위원(2024년 8월 음악, 문화일반 분야와 함께 새로이 위촉됨)의 도를 넘은 심의 참여이다. 일반적으로 문예위 위원은 심의 후보자를 추천하고 심의 결과를 의결하는 절차에만 관여해 왔던 데에 반해 이번 성기숙 비상임위원은 무용과 관련한 전 분야에서 심의 후보자 추천과 심의 및 결과 의결 등 전 과정에 참여하였다. 이 또한 다른 예술 분야와 형평성이 맞지 않았다. 시각, 연극, 전통 분야는 심의에 들어가지 않았으며, 음악은 창작산실에만 참여하였다. 다원예술 분야는 사무처 전담심의관이 심사에 불참했는데, 유독 무용 분야만 예술위 위원이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전 심사에 참여하겠다고 고집한 것이다.


위원들의 심의 참여 사안은 무용, 음악, 다원 위원의 3명의 발의로 표결도 하지 않은 채 토론을 통해 개정되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공공예술포럼에서 공동성명(「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의 책임심의관제 직접 참여에 부쳐」)을 발표했고, (사)한국연극협회에서는 성명서를 전달했으며(「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들에게 드리는 호소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노동조합에서도 성명서(「더 공정한 심의제도, 책임질 수 있습니까」)를 발표했다. 그러나 해당 무용 위원은 뜻을 굽히지 않았고, 오히려 본인이 책임을 지겠다며 전 과정 참여를 고수했다.


공동성명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groups/394142764489701/posts/1709073746329923/

 한국연극협회 호소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노조 성명서


그러나 성기숙 위원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단체의 구성원들이 무용 분야 심의위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등 이번 문예위 무용 분야 지원 심의는 시작부터 공정성에 의심받고 있다. 여러 구설수와 항의에도 뜻을 굽히지 않고 추진하는 것은 해당 위원과 그를 임명한 유인촌 장관의 고집으로 보인다.

「무용계·영화계도 비상계엄에 어수선…‘화이트리스트’논란 소환」, 여성경제신문, 2025.1.11.일자


그리고 지난 12월 말, 2025년도 문예진흥기금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작년부터 변경된 3년 연속지원 제도와 더불어 책임심의제 도입 등 제도의 변화가 있었으나 정작 ‘공연비평’ 분야의 결과는 종전의 지원 형태와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4개 분야 총 14개 단체 선정에서 3년 연속지원은 2개 단체에 불과했고, 나머지 단체들에 지원금을 골고루 나눠주는 모양새이다. 심지어 비평 매체가 아닌 단체도 선정되어 심사 과정과 선정 기준에 의혹이 제기된다.


가장 의아스러운 것은 문예진흥기금 신청의 불합리성이다. ‘공연예술창작주체’ 신청은 3개년 계획의 예산과 제안서를 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단년도 지원으로 결정해버리면 신청서를 위해 공들인 시간과 노력이 허무해지며, 모든 계획이 어그러진다. 〈댄스포스트코리아〉 역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발전하는 웹진이 되기 위해 야심차게 3개년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으나, 결과는 단년도 소액지원에 그쳤다. 특히 비평가를 포함하여 필진의 원고료에 대한 숙고가 있었는지 의문이다. 심사의 기준과 종합평가를 참고해 보면 합리적인 수준의 원고료 책정이 분명히 명기돼 있었다. 〈댄스포스트코리아〉는 창간 초부터 필자들의 전문성과 노동력을 존중하며 국내 무용 매체 중에서 가장 높은 원고료를 책정하고 빠짐없이 지급해 왔다. 그러나 이번 지원금으로는 새로운 사업의 확장은커녕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제시한 원고료조차 비현실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힘들게 버틴 한해가 무색하게 또다시 가느다란 생명줄에 의존한 채 힘겨운 한 해를 보내야 할 것 같다.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댄스포스트코리아〉는 매해 코너를 신설하거나 필진을 섭외하는 등 독자들에게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노력해 왔다. 2025년 역시 새로운 필진을 영입하고 홈페이지를 정비하는 등 한 층 완성도 있고 내실 있는 웹진으로 성장하기 위해 태세를 갖추고 있다. 우리 웹진의 필진은 기성 무용평론가부터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다방면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무용분야의 모든 장르를 커버하면서도 전통춤, 발레, 컨템퍼러리댄스 등 장르에 특화된 비평 시각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지역과 소수의 목소리도 빠트림 없이 담아내고자 한다.


올해부터는 문화예술계에서 오랫동안 활동해 오셨으며 전통문화콘텐츠연구원장을 맡고 계신 김승국 선생이 카드리뷰 코너를 통해 박학한 식견을 나눠줄 예정이며, 공연평점 참여자로 시작하여 새로운 리뷰어로 합류한 미술사 연구자 염혜규 선생이 춤에 대한 심도 있는 시각을 전달할 것이다. 〈댄스포스트코리아〉가 특화한 일반 관객들의 리뷰인 공연평점은 새롭게 정비하여 더 활발히 운영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무용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댄스데이터베이스(DB)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해서 구독자 중심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현재는 무용인 위주로 정보를 제공하지만 추후 범위를 넓혀 나갈 것이다).


이처럼 〈댄스포스트코리아〉는 기성 무용 매체들과는 차별되는 지점을 파고들어 새로운 독자층에 다가가기 위해 힘을 쏟아 왔으며 선도적으로 무용 언론계를 이끌어 왔다고 자부한다. 보다 신선하고 더욱 재미있으며, 보다 날카롭고 더욱 깊이있는 무용 웹진으로 성장하여 무용 비평계의 저변확대가 이루어지고, 무용 담론을 이끌어 가는 〈댄스포스트코리아〉가 되는 날을 꿈꾸어 본다. 그리고 우리가 기획했던 중장기 프로젝트를 거침없이 해낼 수 있는 시기가 도래하기를 기대해 본다. 끝으로, 열악한 매체 발간의 환경을 이해해 주고 〈댄스포스트코리아〉의 발전을 위해 열정을 다해 주는 필진 여러분과 편집 제작 참여자 모든 분께 감사 인사를 드린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Insight

Vol.114-1 (2025.2.5.) Issue


Written by Heena Lee (Editor-in-Chief)



I hope 2025 will be a year in which will grow further despite the poor support



〈Dance Post. Korea〉’s 2024 was an incredibly difficult yea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This was because it was a year in which it had to operate with difficulty without receiving the Arts Promotion Fund, which it had steadily received in small amounts for the previous few years. The reason why the Arts Promotion Fund was distributed to all criticism media (in the dance field) in small amounts until 2023 was because it took into account the poor media publishing environment. Unlike paper media that you have to purchase or read, most online media can be used for free. Although it is not as expensive as the production cost of paper media, it is not easy to operate a webzine because it costs money for website maintenance, manuscript fee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this reason, since being eliminated from last year’s grant, I have been struggling to run 〈Dance Post. Korea〉 every month.


Last year, the Arts Promotion Fund categorized all support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into a ‘creation’ category and reviewed and supported it. It integrated the critical media with the stage performance support and placed it in a large category called ‘Performing Arts Creation Entity (Group and Space)’ and reviewed it all at once. In addition to the inadequacies and irrationality of the changed evaluation system, there were also many problems with the composition and expertise of the evaluation committee, and the Arts Promotion Fund evaluation system in 2024 was full of talk and trouble.


In order to improve last year’s problems, the Arts Promotion Fund in 2025 placed a separate support item called ‘Performance Criticism’ on the same level as the performance genres of plays, musicals, dance, music, and traditional arts as a subcategory of ‘Performing Arts Creation Entity.’ This is an item to support only the criticism journals and periodical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ritical discourse in the fields of theater, musical, dance, music, and general culture by grouping them into the ‘criticism’ category. The review policy takes into account the special nature of the field of activity called ‘criticism’ rather tha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dance’, and the review committee members from each field equally participate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criticism project, the efficiency of the budget, sustainability, etc.


The change of having review committee members with expertise in criticism and journalism review is welcome. Nevertheless, there is another problem in the review operation of this Arts and Culture Promotion Fund. The biggest problem is the excessive participation of the non-permanent members of the dance field (newly appointed in August 2024 along with the music and general culture fields). While the members of the Arts and Culture Committee have generally been involved only in the process of recommending candidates for review and deciding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this time, non-permanent member Seong Gi-sook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including recommending candidates for review, deliberation, and deciding on the results, in all fields related to dance. This was also unfair to other art fields. Visual, theater, and traditional fields were not included in the deliberation, and music only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workshop. In the multi-art field, the office's dedicated deliberation officer did not participate in the deliberation, but only in the dance field, the arts committee members insisted o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entire deliberation.


It is said that the deliberation participation of the committee members was revised through discussion without a vote at the suggestion of three members of the dance, music, and multi-art committees. As a result, the Public Arts Forum issued a joint statement (“On Direct Participation in the Responsible Deliberation System of the Korean Arts and Culture Committee Members”), the Korea Theater Association delivered a statement (“An Appeal to the Korean Arts and Culture Committee and the Korean Arts and Culture Committee Members”), and the Korean Arts and Culture Committee Labor Union also issued a statement (“Can You Take Responsibility for a Fairer Deliberation System?”). However, the dance committee member in question did not change his mind, and insisted on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cess, saying that he would take responsibility.

 

However, the Arts and Culture Committee's deliberation on the dance field has been questionable from the start, as members of the organization organized by Commissioner Seong Gi-sook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dance field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s. The fact that they are pushing ahead despite various rumors and protests seems to be the stubbornness of the commissioner and Minister Yoo In-chon who appointed him (“Dance and film industries also in disarray due to martial law... 'Whitelist' controversy recalled”, Women's Economy Newspaper, January 11, 2025).


And at the end of last December, the results of the 2025 Arts Promotion Fund were announced. There were changes in the system,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responsible deliberation system along with the three-year continuous support system that was changed from last year, but the results for the ‘Performance Criticism’ field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upport form. Out of the 14 organizations selected in four fields, only two organizations received three-year continuous support, and it seems that the support money was distributed evenly to the remaining organizations. Even organizations that were not criticism media were selected, raising suspicions about the screening process and selection criteria.


The most questionable thing is the irrationality of the Arts Promotion Fund application. The application for ‘Performance Art Creation Entity’ requires a three-year plan budget and proposal. However, if it is decided to support only one year, the time and effort put into the application will be in vain, and all plans will fall apart. 〈Dance Post. Korea〉 also ambitiously established a three-year mid- to long-term plan to become a webzine that develops in line with the times, but the result was only a small amount of support for a single year. In particula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re was any consideration given to the manuscript fees of the contributors, including critics. If we look at the criteria for evaluation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t is clear that a reasonable level of manuscript fees was set. Since its launch, 〈Dance Post. Korea〉 has respected the expertise and labor of contributors and has set the highest manuscript fees among domestic dance media outlets and paid them without fail. However, this support fund has not only failed to expand new businesses, but has also made the manuscript fees suggest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Committee unrealistic. It seems that we will have to spend another difficult year relying on a thin lifeline, making the difficult year we endured meaningless.


Despite these difficulties, 〈Dance Post. Korea〉 has tried to show its readers that it is developing by creating new columns or recruiting contributors every year. In 2025, we are also preparing to grow into a more complete and substantial webzine by recruiting new writers and reorganizing the website. Our webzine’s writers are comprised of a variety of experts, from established dance critics to those with a background in the humanities. We strive to cover all genres in the dance field while also having a critical perspective specialized in genres such as traditional dance, ballet, and contemporary dance, and we also aim to include the voices of regions and minorities without exception.


Starting this year, Mr. Seung-guk Kim, who has been active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for a long time and is the director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Research Institute, will share his extensive knowledge through the card review corner, and Mr. Hye-gyu Yeom, an art historian who started out as a participant in the performance review and joined as a new reviewer, will deliver an in-depth perspective on dance. We plan to reorganize the performance review, which is a review by the general audience that 〈Dance Post. Korea〉 specializes in, and operate it more actively. Lastly, we plan to build a more systematic dance database (DB) that accumulates dance-related information and operate it with a focus on subscribers (currently, we provide information mainly to dancers, but we will expand the scope in the future).


In this way, 〈Dance Post. Korea〉 has been working hard to reach out to new readership by delving into points that differentiate it from existing dance media outlets, and we are proud to say that we have been leading the dance media industry. We dream of the day when 〈Dance Post. Korea〉 will grow into a fresher, more interesting, sharper, and more in-depth dance webzine, expanding the base of dance criticism and leading dance discourse. And we look forward to the time when we can carry out the mid- to long-term projects we have planned without hesitation. Finally,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gratitude to all the writers and editors who understand the poor media publishing environment and who are passionate about the development of〈Dance Post. Korea〉.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