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인사이트

리얼리티 댄스쇼에 바란다

 대한민국을 춤추게 한 춤바람!


 그 중심에 리얼리티 댄스쇼 <댄싱9>이 위치하고 있다. 춤에 대한 이해가 미비하던 시절, 춤바람이라 하면 장바구니를 들고 시장에 간다며 댄스홀에 출입하던 여인네들이 연상된다. 하지만 오늘날 춤바람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중을 휘어잡는 힘을 가진 하나의 트렌드다. <댄싱9>의 무용수들은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 스트리트 댄스 등 장르를 불문하고 뛰어난 실력과 네임 밸류를 지닌 인물들이다. 또한 그들은 TV속 아이돌과 유사하게 팬 층을 확보하고 있는 준연예인이다.

 

 2013년 국내 최초 댄스서바이벌 <댄싱9>이 시작되었을 때 무용인들은 과연 이 프로그램이 유지될까라는 의구심을 가졌다. 춤이라면 추상적이고 어렵다든지 혹은 부채춤이나 장구춤으로만 여기거나 예쁘고 날씬한 발레리나들만 생각하는 대중들에게 너무 요원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예상을 깨고 대중들은 이 프로그램에 열광했다. 그 성공요인은 서바이벌 게임이 지닌 극적 긴장감, 연예인에 버금가는 외모와 표현력을 가진 무용인들의 참여, 대중적으로 알려진 심사위원들의 심사평, 신체와 움직임에 대한 사회적 관심 등 다양한 측면들이 합쳐져 그 성과를 이뤄낸 것이다.

 

 긍정적 측면에서 춤과 관객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춤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문화적 콘텐츠로서 활용된다는 점, 대중과의 소통을 원하는 신진 아티스트들(김보람· 김설진· 하휘동· 한선천· 최수진· 이루다 등등)에게 세상에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된 점, 춤 자체를 자신들과는 먼 하나의 예술장르로 여기던 사람들에게 환상적인 무대를 선사하며 대리만족을 느끼게 해준 점, 대중성을 앞세워 곤궁한 무용계에 강력한 티켓파워를 지니게 해준 점 등은 인정해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대중성과 상업성이 꼭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면 대중성과 예술성과의 관계가 더 밀접해야 하지 않을까?

 

 미술계에 있어서도 <댄싱9>과 유사한 <아트스타코리아>라는 리얼리티 쇼가 있었으나 비판의식 강한 그들의 자성과 시청률 부진으로 곧 폐지되고 말았다. 확실히 공연예술인 무용은 미술과는 다른 매력을 가지고 관객들을 모으고 있으나 언제 우리도 이 전철을 밟을지 모른다. 특히 프로그램에 대해 무용인들과 대중들의 간극이 커지는 부분은 역시 예술성의 측면인데, 무용인들도 쇼적인 부분에 대해 언짢은 눈초리를 보내면서도 이들 무용수들을 공연에 참여시킴으로서 또 하나의 상업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춤을 핫이슈로 떠오르게 한 <댄싱9>은 화려한 퍼포먼스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드라마틱한 스토리, 각계각층과 소통할 수 있는 보편성, 춤에 대한 진솔함을 고루 갖추고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한 눈요깃거리, 혹은 상품화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참여하는 무용수들 스스로 자기검열을 통해 하나의 소모품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진정한 땀과 노력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창구 역할을 해야 하며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불공정 계약이나 불이익을 감수하고라도 순간의 인기에 편승해 열정과 예술적 능력들을 소진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것은 춤이 종합예술로서 발화되며 그 중심을 지켜주길 바라는 마음이고 그래야만 대중성과 예술성의 양수겸장(兩手兼將)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글_ 부편집장 장지원(무용평론가,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