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인사이트

한 해의 달이 가장 크게 차오르는 날, 〈댄스포스트코리아〉의 가을걷이를 끝내고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며

인사이트

Vol.122-1 (2025.10.5.) 발행


글_ 이희나(본지 편집주간)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는 절대적이지만, 그 흐름의 속도는 상대적입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시간의 흐름은 달리 느껴지는 법이지요. 잡지를 만드는 사람에게 일 년은 잡지의 발행일을 기준으로 체감됩니다. 가령 월간지를 만드는 편집자에게 일 년은 잡지를 열두 번 발행하면 휙 지나버리는 기간입니다. 한 달에 두 번 발행하는 〈댄스포스트코리아〉의 경우에는 스물 네 번의 웹진을 발행하면 일 년이 지나가 버리지요.


편집회의를 하고 콘텐츠를 구상하고 원고를 기획하고 기사를 작성하면서 정신없는 나날을 보내고 나니 2025년도 벌써 마지막 분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저는 같은 ‘인사이트’ 코너를 통해 〈댄스포스트코리아〉의 성공적 한 해를 기원했습니다(2025년은 열악한 지원금을 딛고 〈댄스포스트코리아〉가 한 층 성장하는 한 해가 되길 기사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는 지난 여름, 언론중재위원회로부터 어떤 통보를 받았습니다. 그 글에서 지적했던 예술위 비상임 위원의 문제점과 심의 절차에 대한 표결 과정의 문제점이 허위사실이라며 정정보도와 손해배상 청구가 접수되었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매체 이외에 이 문제를 지적한 다른 두 매체에도 청구를 했다고 합니다. 언론중재위원회의 각하 결정으로 일단락은 지어졌으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노조의 성명서, 한국연극협회의 호소문, 신문 기사 등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제기한 문제에 대하여 금전적 손해배상을 요구한 것은 권력을 이용한 위협이자 입막음으로 느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댄스포스트코리아〉는 열악하고 좁은 무용예술계의 시장에서 지원금에 상당부분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어내고자 고군분투 했습니다. 부푼 꿈을 안고 기획했던 다년간의 프로젝트는 잠시 훗날로 미뤄야 했지만 주어진 조건에서 〈댄스포스트코리아〉의 변화와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해 왔습니다.


올 한 해 우리 웹진의 가장 큰 성과를 꼽으라면 국내외의 예술 매체들과의 협약 체결일 것입니다. 〈국악신문〉과 대만의 무용잡지 〈천하무도〉 등과 기사 교류 협약을 맺고 서로에게 필요한 기사를 공동 게재하거나 기사 교류를 하고 있습니다. 제한된 조건과 인력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방편이기도 하거니와 개방성을 추구하는 〈댄스포스트코리아〉의 성격과도 닿아있는 사업입니다. 이후에도 좋은 매체들과의 교류를 확장하여 정보의 건강한 소통구조를 만드는 데 일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큰 프로젝트로는 ABC4Dance(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 세미나가 있습니다. ABC4Dance 는 춤의 기초와 미학, 비평 및 춤 역사를 연구하여 재조명하고 우리만의 독자적인 춤문화 연구의 토대로 만들기 위해 구상한 〈댄스포스트코리아〉의 세미나 이름입니다. 올해 하고 있는 세미나는 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민족춤미학의 대가인 채희완 선생님을 모시고 진행하는 장기 프로젝트로, 5월에 시작하여 내년 초까지 예정이 되어 있습니다. 총 세 개의 섹션으로 구성하여, 춤미학의 개관에서부터 민족춤 미학으로 심층적으로 들어가 우리춤에 대한 채희완 선생님의 고유한 미학적 관점을 나누는 귀중한 시간입니다. 오프라인 강좌이지만 Zoom을 통해서 온라인으로도 수강할 수 있어,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없앴습니다.


〈댄스포스트코리아〉는 신진 비평가 및 새로운 필진을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비단 무용 전공자뿐 아니라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우리 매체에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 분들의 다양한 시선과 춤에 대한 견해는 우리에게 신선함과 통찰력을 줍니다. 예고했던 바와 같이, 김승국 전통문화콘텐츠연구원장님이 ‘카드리뷰’를 통해 전통예술에 대한 식견을 나눠주고 계시며, 미술사연구자 염혜규 선생님이 진지하고 깊이 있는 비평문을 기고하고 있습니다. 시인이자 전 KBS 교양프로그램 PD를 지낸 손현철 선생님은 ‘카드리뷰’로 시작하여 올해부터 우리 매체의 비평 리뷰어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춤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해석에 더해 다양한 형식의 글쓰기로 비평문을 다채롭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름 이후 영입된 새로운 ‘카드리뷰’ 필자는 송주호 선생님으로, 이미 여러 매체에서 음악 비평을 하고 계시는 음악평론가입니다. 우리 무용계는 특유의 폐쇄성과 좁은 생태계로 인해 비평가의 권력 구도가 확고한 편이며 배타적이기까지 합니다. 〈댄스포스트코리아〉는 이러한 무용 비평 환경을 지양합니다. 다양한 배경과 관심사를 지닌 우리 매체의 필진들로 인해 무용 비평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새로운 가능성을 갖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그 연장선상에서 ‘공연평점’ 코너는 〈댄스포스트코리아〉만의 독자적인 자산입니다. 이 코너 덕분에 비평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공연들까지 기록될 수 있습니다. ‘공연평점’은 ‘댄포코즈’라는 이름의 서포터즈 지원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꾸려지는 코너이기에 더욱 소중합니다. 댄포코즈는 상시 모집으로 지원을 받고 있으며, 올 해 특히 열성적인 분들이 새로이 함께하게 되어서 풍성한 콘텐츠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댄스포스트코리아〉 편집진은 양질의 콘텐츠를 흥미롭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민하고 꾸준히 웹사이트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금전적 한계로 인해 획기적인 변화를 꾀하지는 못했지만, 가독성 개선과 데이터베이스 축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댄스포스트코리아〉에 관심의 끈을 놓지 말고 계속 함께 해 주세요. 점차 발전하는 〈댄스포스트코리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음력 8월 15일은 우리 민족의 대 명절 추석입니다. 가을에 곡식을 수확하고 서로서로 과일과 농작물을 나누며 평화와 풍요를 기원하는 날이지요. 〈댄스포스트코리아〉는 추석 명절에도 어김없이 122-1호, 10월의 첫 번째 웹진을 발행합니다. 2025년은 끝나지 않았지만 가을걷이를 하면서 보니 올 한 해 〈댄스포스트코리아〉의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수확이 있었네요. 그 결과물을 모든 편집진과 필진,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나눕니다. 더불어, 휘영청 밝은 달을 보며 〈댄스포스트코리아〉의 발전과 번영을 소망해봅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Insight

Vol. 122-1 (2025.10.5.) Issue


Written by Heena Lee (Editor-in-Chief of Dance Post. Korea)



On the day when the moon rises the most in the year, 〈Dance Post. Korea〉 concludes its autumn harvest, wishing its abundance and prosperity



Numbers representing time are absolute, but the speed of its passage is relative. The passage of time feels different depending on one's circumstances. For magazine creators, a year is measured by the number of publications. For example, for a monthly magazine editor, a year can easily pass after twelve issues. For 〈Dance Post. Korea〉 , which publishes twice a month, a year passes after twenty-four webzines.


After a hectic day of editorial meetings, content planning, manuscript planning, and article writing, we're already entering the final quarter of 2025. Last February, I wished 〈Dance Post. Korea〉 a successful year through the same Insight corner (I hope 2025 will be a year in which 〈Dance Post. Korea〉 will grow further despite the poor support 기사 참조). Nevertheless, last summer, we received a notice from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They said that the problems with the Arts Council’s non-permanent members and the voting process for the deliberation process, which I had pointed out in that article, were false, and that they had filed a request for a correction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They said that they had also filed the request against two other media outlets that had pointed out these problems in addition to ours.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s dismissal brought closure to the matter. However, the demand for monetary damages based on objective facts, such as a statement from the Korea Arts & Culture Committee's labor union, an appeal from the Korea Theater Association, and newspaper articles, felt like a threat and a gag order exploiting power.


Nevertheless, 〈Dance Post. Korea〉 has been struggling to produce quality content in a challenging and narrow dance arts market, relying heavily on subsidies. While multi-year projects planned with ambitious ambitions had to be put on hold, we have committed ourselves to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of 〈Dance Post. Korea〉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our webzine this year has to be the signing of partnerships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s media outlets. We have signed article exchange agreements with publications like 〈Kukak Media〉 and the Taiwanese dance magazine 〈Cheonhamudo〉, allowing us to co-publish and exchange articles of mutual interest. This project not only provides an alternative means of overcoming limitations and personnel constraints, but also aligns with 〈Dance Post. Korea〉's commitment to openness. We aim to continue expanding our exchanges with respected media outlets and contribute to a healthy flow of information.


Another major project is the ABC4Dance (Aesthetic, Basis, Criticism for Dance) seminar. ABC4Dance is the name of 〈Dance Post. Korea〉's seminar, designed to shed new light on the fundamentals, aesthetics, criticism, and history of dance,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study of our own unique dance culture. This year's seminar is a long-term project led by Professor Chae Hee-wan, Professor Emeritu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a leading figure in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t will begin in May and run until early next year.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t will offer a valuable opportunity to explore Chae's unique aesthetic perspective on Korean dance, beginning with an overview of dance aesthetics and delving deeper into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Although the course is in person, it can be taken online via Zoom, eliminating the constraints of location and time.


〈Dance Post. Korea〉 is constantly striving to discover and cultivate emerging critics and new contributors. Not only dance majors, but also experts from various fields contribute to our publication. Their diverse perspectives and perspectives on dance provide us with fresh insights. As previously announced, Director Kim Seung-guk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ntent Research Institute shares his insights on traditional arts through "Card Review," and art historian Yeom Hye-gyu contributes thoughtful and in-depth critiques. Poet and former KBS producer Son Hyun-cheol began his career with "Card Review" and has been a critical reviewer for our publication since this year. In addition to his kee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nce, he enriches his critical writing with diverse writing styles. Furthermore, Song Ju-ho, a new "Card Review" contributor hired since the summer, is a music critic who has already contributed music critiques to various publications. The Korean dance world, with its inherently closed and narrow ecosystem, often has a rigid and exclusive power structure among critics. 〈Dance Post. Korea〉 strives to avoid this kind of dance criticism environment. We hope that our diverse contributors, with their diverse backgrounds and interests, will enrich dance criticism and open up new possibilities.


In line with this, the "Performance Review" section is a unique asset of 〈Dance Post. Korea〉. Thanks to this section, we can document performances that may otherwise be overlooked in critiques. This section is even more valuable because it is run by volunteers, known as "DanPoKos." We accepts applications year-round, and this year, we've welcomed a particularly enthusiastic new group, enriching the content.


The editorial staff of 〈Dance Post. Korea〉 is dedicated to delivering high-quality content in an engaging and effective manner, and we are constantly improving our website. While financial constraints have prevented us from undertaking groundbreaking changes, we are actively developing technologies to improve readability and build a robust database. Please stay tuned to 〈Dance Post. Korea〉 and continue to support us. You will witness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Dance Post. Korea〉.


The 15th day of the 8th lunar month is Chuseok, Korea's greatest holiday. It is a day to harvest autumn crops, share fruits and crops, and pray for peace and abundance. 〈Dance Post. Korea〉 will, as always, publish Issue 122-1, our first webzine for October, during the Chuseok holiday. While 2025 is not over yet, as we gather for the autumn harvest, we realize that we have put in a lot of effort to develop and expand 〈Dance Post. Korea〉 this year, and the results have been plentiful. We share these fruits with the editors, contributors, and readers. Furthermore, as we gaze upon the bright moon, we wish 〈Dance Post. Korea〉 continued growth and prosperit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