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무용은 종합예술이라고 얘기한다. 춤뿐만 아니라 음악과 무대미술, 의상, 현재는 화려한 영상까지 더해져 누가 봐도 종합예술이라는 단어에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렇듯 모든 요소를 갖춘 무용의 오늘날의 화두는 ‘대중화’이다. 가장 오래된 예술형태이고 인간이 신체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본능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무용이 대중적으로 다가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문제에 대해 우리는 깊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매스컴을 통해 한류를 이끄는 방탄소년단(BTS)이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리면서 이들의 아이돌댄스는 세계인의 관심을 끌었고, 스트릿 우먼 파이터(스우파)를 통해 스트릿댄스 역시 일반 관객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 하나의 현상이다. 이들은 화려한 퍼포먼스와 경쟁구도를 통해 긴장감을 유발시키기도 하고 카타르시스를 주기도 한다. 신체와 움직임이라는 동일선상에서 볼 때 이 공통분모에도 불구하고 무용의 대중화의 길은 아직도 요원하게 느껴진다. 발레에 비해 현대무용과 한국무용은 더욱 심각하다. 물론 발레공연도 국립발레단이나 유니버설발레단 같은 대형 발레단의 표가 매진되고 현대무용에 있어서는 김보람의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 같은 경우, 한국무용도 국립무용단 정도가 티켓 파워를 지니고 있으나 한 단면에 불과하다.
필자가 생각하는 무용의 대중화가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의 무용교육에 따른 문제이다. 교육과정 중에 무용이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다보니 어린 시절부터 무용을 접할 기회가 적은 환경은 성인이 되어서도 거리감을 갖게 된다. 무용은 주요교과에 밀려 체육시간에 일부만 시행되거나 심지어 주요교과로 대체가능한 시간 정도로 여겨져 실제 무용을 몸소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 현저히 적다. 그리고 예능교육을 기초교육에 있어서 중요시하는 해외사례와 달리, 예체능 그 중에서도 특히 무용은 많은 부분 배제되고 있어 어린 시기의 경험이 평생을 간다는 교육적 사례와도 맞물린다.
둘째, 인식의 문제이다. 무용은 난해하고 일반 사람들이 하기에는 전문성을 요하는 예술형태이므로 관객으로서의 관람은 가능하지만 참여해서 즐기기에는 요원하다는 생각을 가지기 쉽다. 춤은 아무나 편한 시간에 어디서나 출 수 있지만 무용은 전문적인 훈련을 필요로 하고 무대라는 특정 장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한된 시간과 공간,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 대안으로 무용계에 등장한 것이 ‘커뮤니티댄스’이다. 필자 개인적으로는 예술적 측면에서 커뮤니티댄스에 호의적이지 않지만 무용을 일반인들이 받아들이고 직접 참여해 향유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면 그것 또한 하나의 형태로 인정되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셋째, 마케팅의 문제도 지적해 볼 수 있다. 늘 그래왔듯이 매스컴에 의해 다뤄지면 급격하게 관심과 인기가 상승되는 면도 없지 않다. TV 프로그램이었던 <댄싱 9>의 경우 이를 통해 많은 무용수들이 알려졌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인기가 그리 오래 가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김보람의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가 얼터너티브 팝 밴드 이날치와 <범내려온다>를 협업하고 세계적 브릿팝 밴드 콜드플레이와 협업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이들은 한국관광공사의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Feel the Rhythm of Korea)' 시리즈에도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또한 명품 브랜드 구찌가 국내 두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 '구찌 가옥(Gucci Gaok)'을 오픈하면서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와 이날치가 협업한 곡 <헬로 구찌(Hello Gucci)>를 선보이며 관객몰이를 하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의 무용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알리는 기획력이나 마케팅 부족도 대중화의 난점 중 하나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볼만한 콘텐츠의 부족이다. 요즘처럼 OTT 서비스가 잘 되어있는 상태에서, 대표적으로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에 익숙한 세대들에게는 과거의 순수예술 형태의 무용들이 구미를 끌지 못한다. 대중화를 위해서 빠른 변화에 발맞춘 신선한 콘텐츠의 개발이 없다면 무용은 계속적인 침체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그나마 코로나19 시기에 극장무대가 아니라 생방송 온라인 송출이나 그 밖의 루트로 생성되는 공연을 많은 관객들이 볼 수 있었던 것도 달리 보면 새로운 형태의 변화에 계기가 된 측면도 있다.
이밖에도 필자가 인식하지 못한 많은 대중화의 어려움이 있겠지만 무용계는 아직도 과거에 머물고 있는 느낌이다. BTS나 스우파처럼 엄청난 파급력과 인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끼리의 세계에 머물며 관객과는 동떨어진 채 일방적인 투정과 강요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부분들을 염두에 두고 깊은 고민과 점차적인 해결방안들을 마련한다면 한 걸음 더 관객과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무용, 무용계가 되지 않을까.
글_ 장지원(댄스포스트코리아 편집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