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리콜렉션

근현대 미디어 속의 한국무용(18) 영상과 음향자료 속의 봉산탈춤(2)

1945년 8월 해방과 더불어 봉산탈춤의 전승은 한반도의 분단과 그로 인한 “민족문화”의 단절, 그리고 좌우익 간의 대립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는다. 앞서 글에서 언급했듯, 봉산탈춤의 연희는 1936년 사리원 공연 이후 황해도 봉산이라는 원래의 지역을 떠나 이미 전국 각지를 순회하는 무대예술로 변화한 상황이었고, 봉산향토예술보존회를 주도했던 송석하를 비롯한 대부분의 연희자들은 이미 서울에 자리를 잡은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봉산탈춤의 연희는 해방과 남북분단 과정에서 고스란히 분단되어 남과 북에서 완전히 서로 다른 형태로 연희되어가기 시작했다.


먼저 봉산탈춤의 원래 연고지였던 북한 지역에서의 봉산탈춤의 연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북한 측의 기록을 정리한 연구자 박인수에 따르면1), 해방 직후 북한에서는 얼마 남지 않았던 연희자들이 이장산을 중심으로 결합하여 봉산탈연구소라는 단체를 결성해, 1946년 6월 4일 평양에 있던 북조선공산당중앙조직위원회 회의실에서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의 권력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해방 이후 첫 공연을 진행했다고 한다. 당시 김일성은 봉산탈춤보존회의 결성을 지시하고, 그 해 11월 사리원에 있던 사리원극장에서 봉산탈춤보존회의 결성식이 열린 뒤 한동안 봉산탈춤의 전승이 계속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전쟁기로 인해 봉산 일대가 쑥대밭이 되고, 1950년대 중반 이후 지역에 남아있던 옛 연희자들의 대부분이 사망한데다, 북한 정권이 1960년대 이후 민속문화를 봉건시대의 잔재로 평가절하하게 되면서 결국 원래의 봉산탈춤 향토 전승은 거의 명맥을 잃고 사멸하다시피 했다고 한다. 봉산탈춤이 북한에서 새롭게 복원되어 다시 연흥되기 시작한 것은 마지막 연흥이 있던 것으로 알려진 1962년 이후 25년이 지난 1987년의 일이며, 그 구성에서 “시대감각에 맞게 각색”했다고 하여 원형과는 더욱 더 거리가 멀어졌다는 것이 현대 학계에서의 주된 평가이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김일성은 1946년 말 월북하여 평양에 새롭게 무용연구소를 설립한 최승희에게도 “민족의 춤인 봉산탈춤을 잘 연출해 달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최승희는 1949년경 “풍랑을 헤치고”2)라는 작품을 새롭게 연출하여 공연하였다. 이 작품은 제주도 4.3 사건으로 희생된 이들을 기리고 제주도에서 벌어진 학살과 참상을 고발하기 위한 내용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최승희가 이를 중국에서 1951년 무렵에 공연했을 당시의 기록영상 일부도 발굴되어 소개된 바 있다. 이후 최승희는 1958년에 펴낸 『조선민족무용기본』에도 봉산탈춤 중 먹중춤의 무보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제강점기에 기록된 채록본이나 남한 지역의 연주자들이 지금까지도 이어가고 있는 장단이나 구성, 춤사위에 큰 차이가 있어, 최승희가 선보였던 “조선 춤”들 대부분이 그러했듯이 원래의 춤이 그대로 내려온 것이 아니라 최승희에 의해 크게 각색된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남한에서는 앞 글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일제강점기에 송석하와 사리원의 유지 출신이었던 이동벽 李東碧 등을 중심으로 한 이들에 의해 결성되었던 봉산향토오락보존회가 해방 후에 다시 결성되어 활동하였고, 일제강점기 봉산탈춤의 주요 연희자였던 김경석 등의 출연으로 하여 1947년 7월 8일부터 11일까지 서울 국도극장에서 해방 후 첫 공연이 올랐다. 당시 이 공연을 보도한 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때의 이 공연은 봉산향토예술보존회 주최로 미군정 문교부 예술과, 국립민족박물관, 국악원, 조선민속학회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봉산향토예술보존회는 말할 것도 없고, 국립민족박물관과 조선민속학회 모두 송석하가 관장과 회장 등을 맺고 있는 단체였기 때문에 봉산탈춤에 대한 송석하의 영향력이 일제강점기와 마찬가지로 매우 강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당시 신문 광고에서는 송석하 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의 연극인이자 극작가였던 서항석(徐恒錫, 1900-1985)과 이서향(李曙鄕, 1915-?)이 “감수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어, 봉산탈춤의 무대화는 해방 후에도 계속 현재진행형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봉산향토예술보존회는 서울 이외의 지역, 즉 대전과 대구, 부산 등지에서도 1948년 전반까지 여러 차례 공연을 가지며, 일제강점기에 끊어졌던 공연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1948년 8월 5일 송석하가 불과 44세의 나이로 급성 뇌일혈로 사망하면서, 봉산향토예술보존회는 그 동력을 잃고 활동을 중단하게 되었다. 급기야 1950년 한국전쟁 발발과 함께 기존 연흥자들의 사망과 실종, 이탈 등의 혼란을 거치며 봉산탈춤의 명맥은 거의 완전히 끊어져버리고 말았다.


이렇게 전승이 거의 단절되다시피 했던 봉산탈춤이 다시 되살아난 것은 1950년대 중후반의 일이었다. 1955년 6월에는 무용가 권려성이 일제강점기의 사진자료와 기타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한 “봉산탈춤”이 공연되었고, 1956년에는 민속학자 최상수가, 바로 다음해인 1957년에는 역시 민속학자 임석재가 차례로 기존의 송석하·오청 채록본에 의거한 채록본을 각각 학술지에 다시 발표했다. 이후 이렇게 다시 활자화된 채록본을 일부 차용하여 1958년에 있었던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이북5도청 인사들의 주도로 황해도 출신 월남민으로 “급조”한 “봉산탈춤” 공연이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면서 다시 명맥이 이어졌다. 한편 1960년대에는 서울에서 청구고전성악학원(靑丘古典聲樂學院)을 운영했던 국악인 이창배(李昌培, 1916-1983)가 자신의 학원에서 양주별산대놀이와 함께 봉산탈춤의 반주음악과 춤사위 일부를 다시 재현하여 가르치기도 했다.


그 이후 196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1936년 사리원에서의 공연에 참가했던 유일한 인물들인 김진옥, 이근성, 민천식의 세 사람이 국립국악원의 김천흥과 탈춤 연구자였던 서울대학교의 이두현 교수 두 사람의 도움을 받아 봉산탈춤의 본격적인 복원과 재구성에 나서게 되었다. 그리하여 봉산탈춤은 1965년 7월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에 이르렀고, 이후 1970년대까지 새로운 연희자들을 모집하여 계속 연희의 내용과 내실을 “보충”해가며 지금에 이른다.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봉산탈춤은 워낙 일찍부터 한국의 대표적인 탈춤으로 당대를 대표했던 만큼, 그 어떤 탈춤이나 민속무용, 혹은 민속연희들보다도 더욱 일찍 영상과 필름에 수록될 수 있었다. 물론 여러 가지의 기술적 한계나 문제로 인해 전 과장 전체가 기록되기는 어려웠으나, 대략적인 줄거리와 내용을 담은 축약본이 국립영화제작소의 기록영화와 각종 홍보영화 등에 삽입되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1966년에 이정실 감독에 의해 제작된 <봉산탈춤>과, 그로부터 12년 뒤인 1978년에 박순구 감독에 의해 다시 제작된 <봉산탈춤>이다. 이 가운데 1966년판 봉산탈춤은 1950년대 이후 새롭게 재구성되어 연흥되고 있던 <봉산탈춤>을 보여주고 있다면, 1978년판 봉산탈춤은 일제강점기 채록본을 토대로 하여 “살이 붙은” 정교한 형태로 다시 재구성된 “현행”의 봉산탈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 이후 한국의 전통무용과 민속이 무대화되고 “선별”되었던 과정을 직접 보여주고 있다.



글·자료제공_ 석지훈(한국음반아카이브·역사학)




[사진1]

1947년 7월 8일부터 11일까지 서울 국도극장에서 열렸던 <봉산탈춤> 공연. 남한에서는 해방 후 처음으로 열렸던 봉산탈춤 공연이었다. 공연 “총감수”로 송석하, 서항석, 이서향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민족문화수립의 봉화(烽火)”라는 광고문구에서 해방 후 민족주의가 발흥하던 당시의 시대상을 익히 짐작할 수 있다.




[사진2]

1966년 국립영화제작소가 제작한 기록영화 <봉산탈춤>의 제작 지시서 일부. 국가기록원 소장.




[영상1]

1949년 무렵에 북한에서 최승희가 봉산탈춤의 내용과 구성을 참조해 새롭게 창작했다고 알려진 작품 <풍랑을 헤치고(승풍파랑)> 영상. 1951년경 제작된 중국 뉴스영화에 수록된 내용이다. 제주도 4·3 사건을 소재로 하여 학살과 만행을 고발하는 의도로 기획된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중국전영자료관 제공.




[영상2]

1966년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봉산탈춤>의 미얄춤과 무당춤(종막) 부분. 해설 박종세 아나운서. 1966년 당시 재구성되어 연희되고 있던 봉산탈춤 내용을 자세히 들을 수 있다. 이 기록영화에 기록된 공연의 내용은 1930년대 말에 송석하에 의해 “정화”되어 1930-40년대에 봉산향토오락보존회의 순회공연에 사용된 이른바 “공연대본”본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갖는다.




[영상3]

1978년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봉산탈춤>의 미얄춤과 무당춤 (종막) 부분. 1965년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에 김천흥, 이두현 등의 감수를 통해 1930년대의 채록본과 가깝게 다시 재구성된 현대의 봉산탈춤 연희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 박인수, 북한 봉산탈춤의 전승양상 고찰, 한국예술연구35, 한국예술연구학회, 2022. 265-271. 참조.

 

2) 작품의 정확한 제목은 알려져 있지 않고, 중국에서 촬영된 뉴스필름에 기록된 제목인 승풍파랑(乘風破浪)”을 번역하여 풍랑을 뚫고혹은 풍랑을 헤치고라고 번역한 것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Korean dan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media(18) Bongsan Talchum in video and audio materials(2) 

 

 

With liberation in August 1945, the transmission of Bongsan Talchum underwent major changes due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sulting severance of “national culture,” as well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left and right wing and the Korean War.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rticle, the performance of Bongsan Talchum had already left its original area of Bongsan, Hwanghae-do after the performance in Sariwon in 1936 and had already transformed into a stage art that toured all over the country, and most people, including Song Seok-ha, who led the Bongsan Local Arts Preservation Society, The performers had already settled down in Seoul.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Bongsan Talchum was completely divided during the process of liberation and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began to be performed in completely different forms in the South and North.


Firs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erformance of Bongsan Talchum in North Korea, the original home of Bongsan Talchum. According to Park In-su, a researcher who organized North Korea's records related to this, 1)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few remaining performers in North Korea united around Ijangsan and formed an organization called Bongsan Mask Research Institute, which opened in Pyongyang on June 4, 1946. It is said that the first performance since liberation was held in the conference room of the Central Organizing Committee of the North Korean Communist Party, with North Korea's powerful figures, including Kim Il-sung, watching. At that time, Kim Il-sung ordered the formation of the Bongsan Talchum Preservation Society, and in November of that year, the formation ceremony of the Bongsan Talchum Preservation Society was held at the Sariwon Theater in Sariwon, and it is said that the transmission of Bongsan Talchum continued for a while. However, due to the Korean War, the area around Bongsan was devastated, most of the old performers who remained in the area died after the mid-1950s, and the North Korean regime devalued folk culture as a remnant of the feudal era after the 1960s, ultimately leading to the loss of the original Bongsan area. It is said that the local tradition of mask dance has almost lost its name and almost died out. Bongsan Talchum was newly restored in North Korea and began to be performed again in 1987, 25 years after the last known performance in 1962. In its composition, it is said to have been “adapted to suit the sense of the times,” making it even more distant from its original form. The main assessment in modern academia is that the world has become distant.


Meanwhile, Kim Il-sung also gave instructions to Choi Seung-hee, who defected to North Korea at the end of 1946 and established a new dance research institute in Pyongyang, to “produce the national dance, Bongsan Talchum, well.” Accordingly, Choi Seung-hee performed a dance called “Through the Storm” around 1949.2) The work was newly directed and performed. This work is known to commemorate the victim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o report the massacre and tragedy that occurred on Jeju Island. Recently, some documentary footage of Choi Seung-hee performing it in China around 1951 was also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re is. Afterwards, Choi Seung-hee recorded the dance performance of the Mukjungchum among Bongsan Talchum in 『Basic Joseon National Dance』 published in 1958.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rhythm, composition, and dance movements that were record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the rhythm, composition, and dance movements that performers in South Korea continue to this day, and like most of the “Joseon dances” performed by Choi Seung-hee, the original dance was not passed down as is. It is safe to say that it was largely adapted by Choi Seung-hee.


Meanwhile, in South Korea,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article, the Bongsan Local Entertainment Preservation Society, which was 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people including Song Seok-ha and Lee Dong-byeok, a member of Sariwon, was reorganized and active after liberation, and the Bongsan Talch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reorganized. The first performance after liberation was held at the Gukdo Theater in Seoul from July 8 to 11, 1947, with the appearance of Kim Gyeong-seok, who was a major performer. According to a newspaper report that reported this performance at the time, this performance was hosted by the Bongsan Local Arts Preservation Society and sponsored by the Arts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and the Joseon Folklore Society. Among thes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Joseon Folklore Society, not to mention the Bongsan Local Art Preservation Society, were both organizations with Song Seok-ha as the director and president, so it can be assumed that Song Seok-ha's influence on Bongsan Talchum was very strong as it w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in newspaper advertisements at the time, not only Song Seok-ha but also Seo Hang-seok (徐恒錫, 1900-1985) and Lee Seo-hyang (李曙鄕, 1915-?), who were actors and playwrigh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listed as “supervisors,” and the staging of Bongsan Talchum began after liberation. You can see that it was still in progress afterwards.


Afterwards, the Bongsan Local Arts Preservation Association held several performances in areas other than Seoul, such as Daejeon, Daegu, and Busan, continuing the performance activities that had been interrup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when Song Seok-ha died of acute cerebral hemorrhage on August 5, 1948 at the age of only 44, the Bongsan Local Art Preservation Society lost its momentum and ceased its activities. In the end,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and the chaos caused by the deaths, disappearances, and departures of existing performers, the tradition of Bongsan Talchum was almost completely cut off.


It was in the mid-to-late 1950s that Bongsan Talchum, whose transmission had almost been cut off, was revived. In June 1955, “Bongsan Talchum” reconstructed by dancer Kwon Ryeo-seong based on photographs and other material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performed, followed by folklorist Choi Sang-soo in 1956, and the very next year, 1957, by folklorist Im Seok-jae. The transcripts based on the existing transcripts by Song Seok-ha and Oh Cheong were each re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fterwards, some of the reprinted copies were borrowed, and at the 1st National Folk Art Contest held in 1958, the “Bongsan Talchum” performance, “hastily created” by North Korean defectors from Hwanghae Province under the leadership of officials from the five North Korean provincial offices, won the Prime Minister’s Award, and it was performed again. The line continued. Meanwhile, in the 1960s, Lee Chang-bae (李昌培, 1916-1983), a Korean traditional musician who ran the Cheonggu Classical Vocal Music Academy in Seoul, recreated some of the accompanying music and dance movements of Bongsan Talchum along with Yangju Byeolsandaenori at his academy. I also taught it.


Afterwards, in the mid-1960s, three people, Kim Jin-ok, Lee Geun-seong, and Min Cheon-sik, who were the on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 in Sariwon in 1936, performed Bongsan with the help of Kim Cheon-heu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Professor Lee Doo-hye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 mask dance researcher. A full-scal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alchum began. Thus, Bongsan Talchum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July 1965, and new performers were recruited until the 1970s, and the content and substance of the performance continued to be “supplemented” to the present.


As mentioned earlier, Bongsan Talchum was a representative Korean mask dance from very early on and represented its time, so it was able to be included in videos and films earlier than any other mask dance, folk dance, or folk performance. Of course, it was difficult to record the entire section due to various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but an abbreviated version containing the approximate plot and contents was inserted into the National Film Studio's documentary film and various promotional films.


Among these, particularly noteworthy are produced by director Lee Jeong-sil in 1966, and produced again by director Park Soon-gu in 1978, 12 years later. Among these, the 1966 version of Bongsan Talchum shows that has been newly reconstructed and performed since the 1950s, while the 1978 version of Bongsan Talchum is a “current” version reorganized in a “fleshed out” and elaborate form based on transcript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at it shows Bongsan Talchum, it directly shows the process by which Korea's traditional dance and folklore were staged and “selected” after modern times.



Written and materials provided by Seok Ji-hoon (Korean Record Archive,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