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렉션
Vol.118-1(2025.6.5.) 발행
글·사진제공_ 이철주(문화기획자)
조선(북) 최고의 여류 화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인민 예술가 김승희(1939-2021)의 〈봉산탈춤〉 그림이다. “반통일적 걸림돌을 치워버리고 하나 됨을 가로막는 온갖 귀신들을 몰아내는 통일춤을 추자”라는 이 작품은 2006년 제9차 베이징 국제예술박람회에서 최고상인 금상을 수상했다. 그렇게 봉산탈춤을 조선(북)을 대표하는 춤으로 당당히 세계에 선포한 것이다.
조선(북)에서 봉산탈춤의 위치와 대우는 남다르다. 일찍부터 전문가와 아마추어 동아리(소조) 모두가 즐기는 ‘우량 오락’으로 자리매김했다. ‘향토예술의 정수’이자 ‘민속예술의 최고봉’으로서 ‘국보(國寶)적인 무용’으로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다.
탈춤의 배경은 “양반 통치계급을 직접적으로 타매(침을 뱉으며 꾸짖는다)할 수 없었던 인민들은 가면을 쓰고 그들의 위선과 반인민적 만행을 신랄히 발가내고 풍자 조소하는 이야기를 다양한 춤과 극형식으로 극화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인민들의 행복에 대한 지향과 봉건 통치배들을 반대하는 항거의 정신을 반영한 진보적인 내용과 인민적인 춤동작이 들어 있다”라고 그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반대한 72명의 고려 충신들이 세상을 등지고 들어간 곳이 송도 성거산 서쪽에 있는 ‘두문동’이다. 여기서 이들은 “요사스러운 것을 물리치고 경사스러운 것을 맞이한다”라는 뜻이 담긴 ‘탈’을 만들어 나라의 방방곡곡을 다니며 ‘귀신몰이’라는 행사를 했다. 이들 중 한 명이 당시 봉산군수로 있던 이유록에게 그 내막을 말하자 이유록은 그에게 “지금 나라의 정세가 복잡한데 그런 일을 하다가는 목숨이 위태로우니 탈을 자기에게 맡겨두고 빨리 돌아가라”라고 권했다. 이후 나라가 안정되자 이유록은 봉산의 아전들에게 그 탈을 가지고 탈놀이를 벌이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가 되었다고 조선(북)의 최고 연구기관인 사회과학원의 민속학연구소가 밝히고 있다.
봉산탈춤은 일제강점기 시절 연희공간이 반일 행사의 근원지로 지목받아 쇠락의 길을 걸었다. 김 주석은 해방 이듬해에 보천보전투(1937년) 9주년을 기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봉산탈춤의 복원을 지시하였다. 조소(朝蘇)문화협회의 ‘조소 예술교환의 밤’ 행사가 이유였다. 1946년 6월 4일 북조선공산당 중앙조직위원회 회의실(현 당창건사적관)에서 김 주석은 첫 공연을 친견한 후, “선조들이 남긴 유산들 가운데서 좋은 것을 찾아내어 우리 인민들의 사상 감정에 맞게 발전시켜야 한다”라는 지침을 밝힌다. 이해 11월 19일 사리원극장에서 봉산탈춤보존회 결성식 행사가 개최되었고, 여기서 김 주석이 보내준 특별상금과 보존사업비 전달이 이루어졌다.
민간에서도 지역의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봉산탈춤이 전승되었다. 1955년 7월 25일에 열린 8·15광복 10주년 경축 전국예술축전에 황해북도 봉산군 송산리 농업협동조합 소조(CIRCLE)에서 봉산탈춤 <첫목춤과 로승춤>을 출품한 것이다. 국립고전예술극장(현 국립민족예술단) 역시 1955년 말 무렵 무용부원들이 황해도 봉산 지대에 가서 탈춤을 조사 연구하여, 그 성과로 탈춤 <사냥꾼과 사자>을 창작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까지 주체사상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민속전통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취한 문예정책으로 인해 봉산탈춤은 한때 침체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1985년 9월 최초의 남북 이산가족의 만남 행사의 일환으로 열린 평양 공연에서 황해도 봉산 출신의 한국의 봉산탈춤 예능보유자인 김선봉과 당시 이수자였던 최창주가 출연해서 <팔목중춤>과 <사자춤>을 추었다.
1986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의해 ‘조선민족제일주의’가 주창되면서 민속예술에도 새로운 변화가 시작된다. 과거 김 주석과 함께 봉산탈춤의 복원 공연을 관람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마련된 “민속무용 <봉산탈춤>을 보아주신 40돐에 즈음하여 전국 무용가들의 발표모임”을 통해 봉산탈춤은 다시 무대로 나왔고, 1989년 평양서 열린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을 계기로 전면에 등장했다. 2003년 6월 1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봉산군 은정리 현지 지도에서 이곳 농장원들이 출연한 봉산탈춤 관람 후, “우리 선조들이 창조한 우수한 문화적 재부를 옳게 계승 발전시키는 것은 민족의 주체성과 민족성을 고수하는 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라는 그의 평가가 부흥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해 황해북도 봉산군 정방리 당위원회는 봉산탈춤을 새롭게 창작해 보급하기도 하였다.
현재 연행되는 조선(북)의 봉산탈춤에 대해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의 김선영 무용학 박사의 설명이다.
“봉산탈춤이 강한 극적 구성과 세련된 춤 기법으로 예술화된 삼국시대 탈춤에 연원을 두고 있으며, 봉건사회에서 중이나 량반들의 부화방탕한 생활을 특색 있는 춤 형상으로 아주 신랄하고 날카롭게 풍자·조소한 것이 봉산탈춤의 인기 비결이다.
사상좌춤, 팔목춤, 법고춤, 로승춤, 신장사춤, 취발이춤은 중들의 파계상을 보여주는 춤들이다. 여기서 수십 년간 도를 닦았다던 늙은 중이 소무에게 반하여 파계하는 내용을 담은 로승춤은 당시 중들의 부화방탕한 생활을 신랄하게 풍자·조소한 춤으로서 극성이 강하였다. 량반춤, 포도비장춤, 미알춤, 남강로인춤은 량반들의 부패·타락한 모습을 형상한 춤들이다. 특히 량반춤에서는 병신탈을 쓴 3명의 량반과 그 하인 말뚝이의 극적 형상을 통하여 봉건통치배들의 부패 타락하고 부화방탕한 생활을 강한 풍자와 해학적인 형상으로 생동하게 보여준다.
이 탈춤의 고유한 춤 기법에는 팔동작, 황새걸음, 게걸음, 까치걸음과 같은 걷기 동작들이 있으며 이 밖에도 탈을 쓴 얼굴을 들어 좌우를 살피는 동작, 목을 앞으로 쑥 내미는 동작, 한삼 자락을 뿌리치거나 팔을 위아래로 흔드는 동작, 높이 올려 뛰는 동작 등이 있어 형상이 전반적으로 활달하고 기백이 있다. 봉산탈춤은 ‘탈춤영산’에 맞추어 추게 되는데 모든 춤들은 굿거리장단으로 시작해 타령장단으로 마무리된다.”
봉산탈춤의 보존 및 계승에는 1938년 봉산탈춤보존회를 창립하고 구술본을 남긴 이동벽(11과장)과 이장산(7과장), 김일출(12과장)의 역할이 주효했다. 보존 단체로는 1948년 7월 1일 황해도이동예술대로 발족되어 1952년 황해도도립예술극장을 거쳐 1972년에 거듭난 황해북도예술단이 담당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봉산과 사리원 지역의 만금협동농장 등의 탈춤조가 일 년에 여러 차례 경연하며 봉산탈춤을 보존 발전시키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평양음악무용대학이, 발굴과 보존 및 연구단체로는 조선민족음악무용연구소가, 학술단체로는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가 있다.
참고로 조선(북) 최초로 간행된 탈춤 해설서인 『우리나라의 탈놀이』(1957)를 집필한 신영돈이 수집한 봉산탈춤의 대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영돈은 보성학교 교원 출신으로 북행하여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민속학연구실에서 초기 민속학 연구를 주도한 탈춤 연구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 동벽본 (11과장, 이동벽 연행 시 사용하던 대본)
사상좌춤(四上佐舞), 팔목춤(八目舞), 법고춤(法鼓舞), 로승춤(老僧舞), 사자춤(獅子舞),
신장사춤(鞋商舞), 취발이춤(醉發舞), 량반춤(兩班舞), 포도비장춤(捕盜裨將舞), 미알춤,
남강로인춤(南江老人舞)
■ 수정, 성찬본(11과장, 김수정과 박성찬 구술기록)
상좌춤(上佐舞), 먹중춤(墨僧舞), 법고춤(法鼓舞), 사당춤(社黨舞), 로승춤(老僧舞, 사자춤 막간격 출연), 신장사춤(鞋商舞), 취발이춤(醉發舞), 량반춤(兩班舞), 포도비장춤(捕盜裨將舞), 미알춤, 남강로인춤(南江老人舞)
■ 장산본(7과장, 사리원역사박물관 소장의 이장산 구술기록)
상좌춤, 먹중춤, 사당춤, 로승춤, 사자춤, 량반춤, 미알춤
탈춤의 무대화에는 최승희를 빼놓을 수가 없다. 김 주석이 국가 차원에서 황해도에 봉산탈춤보존회 결성을 지시한 해인 1946년 10월 평양에 무용연구소를 개설한 최승희는 “민족의 춤인 봉산탈춤을 잘 연출해 달라”는 과업을 받았다. 최승희는 봉산탈춤보존회 구성원들과 함께 봉산탈춤의 원형을 찾아내어 그 성과물로 봉산탈춤을 토대로 한 〈풍랑을 뚫고〉라는 작품을 창작한다. 그리고 최승희 무용연구소는 봉산탈춤의 춤꾼을 초청해 꾸준히 강습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조선민족무용기본』(1958)에 봉산탈춤 12개의 사위를 무보로 남기게 되었다. 이러한 최승희의 각별한 관심은 이전부터 있었는데, 1936년 9월 일본 공연에서 <봉산탈춤에서>라는 작품을, 1938년 2월 뉴욕 공연에서는 〈봉산탈춤〉을 선보인 바 있다.
탈춤의 무대화는 1946년 봉산탈춤 공연을 관람한 김 주석이 “탈을 쓰고 하는 넋두리는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그만두고 춤을 기본으로 하여 형상해야 한다”라는 지적에 기인한다. 이후 봉산탈춤의 무대화는 극장에서 무용 소품이나 무용극으로 계승 발전한다. 1988년 국립민족예술단의 민족가극 〈춘향전〉의 농부가에서의 팔목중과 양반의 등장, 1992년에는 피바다가극단의 민속무용조곡 〈계절의 노래〉 제2경 봄 장면에 나온 팔목중춤과 양반춤 등이 대표적이다.
탈 제작의 경우에는 부침이 있었다. 2003년 6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봉산군 은정리에서 봉산탈춤을 관람하였을 당시 평양의 미술전문가를 동원하여 탈의 제작을 지시하였다. 훼손된 탈의 복원 작업은 평양미술대학 주체미술연구소가 주도하였고, 봉산탈춤의 전승자인 정민과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 조선민속박물관, 조선민족음악무용연구소 등의 방조와 고증을 거쳐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았는데, 이는 종이로 만든 탈을 매번 놀이 뒤에 소각하는 것이 관례여서 실물로 보존된 것을 찾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당시 복원된 봉산탈 22종은 “원전적 가치에 충실하면서도 현대적 미감과 요구에 적합하도록 조형화”했으며, 구체적으로 새 봉산탈은 지금까지의 봉산탈과 형태와 색조, 크기는 거의 비슷하지만 눈 동공에 구멍을 새로 뚫고, 말뚜기, 신장사, 종가집도령의 탈은 약간 미색으로 처리하는 등 변화를 추구했다. 탈 제작은 진흙으로 모형을 만들고 참종이를 8-10겹 풀로 붙여 말린 다음 흙을 파내고 채색하는 전통적 방법을 사용했다. 현재 김일성종합대학 역사박물관에는 먹중탈, 상좌탈, 취발탈, 소무탈, 맏량반탈, 미알할멈탈, 원숭이탈, 남강로인탈, 둘째량반탈, 말뚝이탈, 미알령감탈, 포도부장탈 등 총 12점의 봉산탈이 보존되어 있다.
한편 조선(북)은 ‘비물질 문화유산’으로도 탈춤을 보존 발전시키고 있다. 강령탈춤, 봉산탈춤, 북청사자탈놀이, 해주탈춤, 은율탈춤 외에 최승희가 재구성한 팔목춤이 있다. 이는 ‘고전적 무용유산’으로 분류되는 민속춤은 민족무용을 발전시키는 원천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봉산탈춤이 중시되는 것은 조선(북)이 발생지이고, 반봉건적인 사상성과 계급성, 인민성이 잘 반영이 되어있으며, 여기에 고상한 인민의 낙천주의가 구현되었다고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도 사리원에 있는 경암루(景岩樓)와 근처의 사리원민속거리에서 추석 시즌에 봉산탈놀이 경연대회가 열리고 있으며, 단오절 즈음에는 전국적으로 봉산탈춤이 연행되고 있다.
2025년은 광복(해방) 80주년이자 한일 수교 60주년의 해이다. 여기서 가장 주목받은 이들이 바로 재일 ‘조선적(朝鮮籍)’ 동포들이다. 속칭 총련계로 분류되어 북한 국적으로 오해를 받는 이들이다. 하지만 칼바람 부는 차별의 땅인 일본에서 민족교육과 민족예술을 지킬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에는 조선(북)의 지원과 지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제와 해방, 분단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질곡이 재일 ‘조선적’ 동포의 탄생 배경으로, 여기서 ‘조선적’은 법적으로는 무국적자를 의미하며, 그 함의에는 분단 이전의 통일된 한반도였던 조선으로의 귀향의 염원이 담겨 있다.
축구선수 정대세처럼 김승희 역시 재일조선인 동포 즉 ‘조선적’ 동포이다. 제주도가 고향인 부모가 일본으로 이주해 김승희를 낳았고, 여기서 무사시노미술대학 출신인 김승희는 1959년 조선(북)으로 가서 평양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미술 부문 종합창작기지인 만수대창작사에서 조선화 부문의 최고 화가로 성장하였다. 평생 “북한을 조국으로, 남한을 고향”으로 여기는 재일조선인을 조선(북)의 “공민으로서 보듬어준 조국(북)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고 조선화의 발전에 헌신하고 성과를 내었지만, 그의 변하지 않은 마음은 조선(한) 반도의 평화와 통일이었다. 불편과 부당과 차별의 낙인인 ‘조선적’임에도 조선사람으로서의 민족성을 지키고자 한 부모의 마음을 이은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마음의 고향이자 재일조선인 공동체의 뿌리인 재일 조선학교에 다시 한번 눈길이 가는 2025년이다.
조선(북) 국립해외예술단인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의 대연습실에서의 봉산탈춤 관통(리허설) 모습
조선(북)에서 연행되는 봉산탈춤 모습(출처: 사이트 〈내 나라〉)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Collection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and photos provided by Lee Cheol-ju (Cultural Planner)
Dondolari, A story of Korean dance waiting for a New Day(3) Bongsan Mask Dance of Joseon (North) is a nationally treasured dance
This is a painting of Bongsan Mask Dance by Kim Seung-hui (1939-2021), a people's artist who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female painters of Joseon (North). This work, which says, "Let's dance a unification dance that removes anti-unification obstacles and drives out all the ghosts that block unification," won the gold medal, the highest award, at the 9th Beijing International Art Expo in 2006. In this way, Bongsan Mask Dance was proudly declared to the world as a dance representing Joseon (North).
The position and treatment of Bongsan Mask Dance in Joseon (North) is unique.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ood entertainment’ enjoyed by both professionals and amateur clubs (small groups) since early on. It is the ‘essence of local art’ and the ‘peak of folk art’ and is highly praised as a ‘national treasure dance’.
The background of the mask dance is explained as “the people who could not directly criticize the ruling class of the yangban class wore masks and dramatized stories of their hypocrisy and anti-people atrocities through various dances and theatrical forms.” It emphasizes its meaning by saying, “It contains progressive content and popular dance movements that reflect the people’s desire for happiness and the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feudal rulers.”
The place where 72 loyalists of Goryeo who opposed Yi Seong-gye’s revolution turned their backs on the world is ‘Dumun-dong’ located west of Seonggeosan Mountain in Songdo. Here, they made a ‘tal’ (a mask) that meant “repelling evil and welcoming good things” and traveled all over the country to perform an event called ‘gwisin-chul-i’ (expelling ghosts). When one of them told the story to Lee Yu-rok, who was the governor of Bongsan County at the time, Lee Yu-rok advised him,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the country is complicated, and if you do something like that, your life will be in danger, so leave the mask with me and return quickly.” After the country stabilized, Lee Yu-rok had the Bongsan officials perform a mask dance with the mask, which is how the folklore research institu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the highest research institute in Joseon (North Korea), revealed that this is the origin of the na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ongsan mask dance was designated as the origin of anti-Japanese events as a performance space, and it went into decline. The year after liberation, Chairman Kim ordered the restoration of Bongsan mask dance as part of a project to commemorate the 9th anniversary of the Battle of Pochonbo (1937). The reason was the ‘Night of Sculpture Art Exchange’ event of the Joseon-Soviet Cultural Association. On June 4, 1946, Chairman Kim personally watched the first performance at the conference room of the Central Organization Committee of the North Korean Communist Party (currently the Party Foundation History Museum), and then announced the directive, “We must find good things from the legacies left by our ancestors and develop them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emotions of our people.” On November 19 of that year, the Bongsan Mask Dance Preservation Society was established at the Sariwon Theater, where the special prize money and preservation project funds sent by Chairman Kim were delivered.
Bongsan Mask Dance was also passed down in the private sector, centered around local cooperatives. On July 25, 1955, the Bongsan Mask Dance 〈First Mok Dance and Old Seung Dance〉 was exhibited by the Songsan-ri Agricultural Cooperative Society (CIRCLE) of Bongsan County, Hwanghaebuk-do at the National Arts Festival celebrating the 10th anniversary of the August 15 Liberation Day. The National Classical Arts Theater (now the National Folk Arts Troupe) also studied mask dances in the Bongsan area of Hwanghae Province around the end of 1955, and as a result, created the mask dance 〈Hunter and Lion〉.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Juche ideology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80s, Bongsan mask dance experienced a period of stagnation due to the negative view of folk traditions in the literary and artistic policy. Then, in September 1985, as part of the first reunion event for separated famili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Kim Seon-bong, a Korean Bongsan mask dance artist from Bongsan, Hwanghae Province, and Choi Chang-ju, who was a trainee at the time, appeared and performed 〈Palmokjung Dance〉 and 〈Lion Dance〉.
In 1986, when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Kim Jong-il advocated the ‘Korean People First’, a new change began in folk art. The Bongsan mask dance was brought back to the stage through the “National Dancers’ Presentation Meeting to Mark the 40th Anniversary of the Viewing of the Folk Dance Bongsan Mask Dance” organized by the instructions of National Defense Commission Chairman Kim Jong Il, who had watched the restored performance of Bongsan mask dance with Chairman Kim in the past, and it came to the forefront in 1989 at the 13th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held in Pyongyang. On June 13, 2003, National Defense Commission Chairman Kim Jong Il observed the Bongsan mask dance performed by the local farm workers during his on-site guidance at Eunjong-ri, Bongsan County, and his assessment that “properly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excellent cultural wealth created by our ancestor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upholding the subjectivity and national identity of the nation” became a decisive turning point for its revival. That year, the Jeongbang-ri Party Committee of Bongsan County, North Hwanghae Province, created and popularized the Bongsan mask dance anew.
This is an explanation by Dr. Kim Seon-yeong, a dance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Folklore Studies at the National Academy of Social Sciences, about the Bongsan Talchum of North Korea, which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Bongsan Talchum has its origins in the mask danc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ere artistically created with strong dramatic compositions and refined dance techniques. The secret to Bongsan Talchum’s popularity is that it satirizes and ridicules the debaucherous lives of monks and yangban in feudal society with unique dance forms.
Sangsangjwachum, Palmokchum, Beopgochum, Ro Seungchum, Shinjangsachum, and Chwibarichum are dances that show the debaucherous lives of monks. Among them, Ro Seungchum, which contains the story of an old monk who had practiced the Way for decades and debauchered after falling in love with Somu, was a dance that sharply satirized and ridiculed the debaucherous lives of monks at the time, and was very dramatic. Yangbanchum, Podobijangchum, Mialchum, and Namgangroinchum are dances that depict the corruption and decadence of the yangban. In particular, the Yangbanchum dramatically depicts the corruption and decadence of the feudal rulers through the dramatic forms of three yangban wearing sick masks and their servant Malttugi. It vividly depicts a debaucherous life with strong satire and humorous images.
The unique dance techniques of this mask dance include walking movements such as arm movements, stork steps, crab steps, and magpie steps, and in addition, there are movements such as lifting the masked face and looking left and right, sticking the neck forward, shaking the hem of the hansam or shaking the arms up and down, and jumping high, so the overall appearance is lively and spirited. Bongsan mask dance is performed to the ‘Talchum Yeongsan’, and all dances start with the gutgeori rhythm and end with the taryeong rhythm.”
The role of Lee Dong-byeok (11th section chief), Lee Jang-san (7th section chief), and Kim Il-chul (12th section chief), who founded the Bongsan Mask Dance Preservation Society in 1938 and left behind oral records, was instrumental in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Bongsan mask dance. As a preservation organization, the Hwanghaebukdo Art Troupe, which was established on July 1, 1948 as the Hwanghaedo Mobile Art Troupe, moved to the Hwanghaedo Provincial Art Theater in 1952, and was reborn in 1972, is in charge. In the private sector, mask dance groups from the Bongsan and Sariwon regions, such as the Mangeum Cooperative Farm, perform several times a year to preserve and develop Bongsan mask dance.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re is the Pyongyang Music and Dance University, as an excavation, preservation, and research organization, the Korean National Music and Dance Research Institute, and as an academic organization, the Institute of Folklore Studies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For reference, let’s look at the script of Bongsan mask dance collected by Shin Yeong-don, who wrote the first commentary on mask dance published in Joseon (North Korea), 『Our Country’s Mask Dance』 (1957). Shin Yeong-don was a former teacher at Boseong School, and he went north to lead early folklore studies at the Folklore Studies Lab of the Academy of Sciences’ Archaeology and Folklore Studies Institute, and is a representative figure in mask dance research.
■ Dongbyeokbon (11 chapters, script used when performing on the Dongbyeok)
Sangjwa dance (四上佐舞), Palmok dance (八目舞), Beopgo dance (法鼓舞), Roseung dance (老僧舞), Lion dance (獅子舞),
Sinjangsa dance (鞋商舞), Chwibari dance (醉發舞), Yangban dance (兩班舞), Podobijang dance (捕盜裨將舞), Mial dance (ミ알舞),
Namgangroin dance (南江老人舞)
■ Revised, Seongchanbon (11 chapters, oral records of Kim Su-jeong and Park Seong-chan)
Sangjwa dance (上佐舞), Meokjung dance (墨僧舞), Beopgo dance (法鼓舞), Sadang Dance (社黨舞), Old Monk Dance (老僧舞, performed between lion dances), Shinjangsa Dance (鞋商舞), Chwibari Dance (醉發舞), Yangban Dance (兩班舞), Podobijang Dance (捕盜裨將舞), Mial Dance, Namgang Old Man Dance (南江老人舞)
■ Jangsanbon (Chapter 7, Oral Records of Lee Jang-san in the Collection of Sariwon History Museum)
Sangjwa Dance, Meokjung Dance, Sadang Dance, Old Monk Dance, Lion Dance, Yangban Dance, Mial Dance
When it comes to staging mask dances, Choi Seung-hee cannot be left out. In October 1946, the year that Chairman Kim ordered the formation of the Bongsan Mask Dance Preservation Society in Hwanghae Province at the national level, Choi Seung-hee, who opened a dance research institute in Pyongyang, was given the task of “directing the Bongsan Mask Dance, the national dance.” Choi Seung-hee, along with members of the Bongsan Mask Dance Preservation Society, discovered the original form of Bongsan Mask Dance and created a piece called “Through the Wind and Waves” based on Bongsan Mask Dance as a result. In addition, Choi Seung-hee’s dance research institute invited dancers of Bongsan Mask Dance to provide continuous training, and as a result, 12 Bongsan Mask Dance movements were recorded as dance scores in “Basics of Korean National Dance” (1958). Choi Seung-hee’s special interest had been there before, and she presented the piece “In Bongsan Mask Dance” in a Japanese performance in September 1936 and “Bongsan Mask Dance” in a New York performance in February 1938.
The staging of the mask dance originated from the observation by Chairman Kim in 1946, who watched the Bongsan mask dance performance, that “since the ramblings of those wearing masks are not heard well, we should stop and focus on the dance.” Since then, the staging of the Bongsan mask dance has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into dance props and dance dramas in theater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appearance of the eight-legged monk and the nobleman in the farmer’s song in the National Folk Arts Troupe’s folk opera “Chunhyangjeon” in 1988, and the eight-legged monk and nobleman dance in the spring scene of the second act of the folk dance suite “Song of the Seasons” by the Pibada Opera Troupe in 1992.
There were ups and downs in the production of masks. In June 2003, when Chairman Kim Jong-il watched the Bongsan mask dance in Eunjeong-ri, Bongsan County, he mobilized art experts from Pyongyang and instructed them to produce the masks.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masks was led by the Juche Art Research Institute of the Pyongyang University of Fine Arts, and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assistance and verification of Jeong Min, the successor of Bongsan Mask Dance, the Folklore Research Institu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the Korean Folk Museum, and the Korean National Music and Dance Research Institute.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as it was customary to burn the masks made of paper after each performance, making it difficult to find the actual ones preserved.
The 22 Bongsan masks restored at that time were “reshaped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value while also being suitable for modern aesthetics and needs.” Specifically, the new Bongsan masks were almost the same in shape, color, and size as the existing Bongsan masks, but new holes were drilled in the pupils of the eyes, and the masks of the horse, the shinjangsa, and the Jonggajipdoryeong were slightly beige, seeking changes. The masks were made using the traditional method of making a model out of clay, gluing 8-10 layers of real paper together, drying it, and then digging up the dirt and coloring it. . Currently, a total of 12 Bongsan masks are preserved in the Kim Il-sung University History Museum, including the Meokjung mask, Sangjwa mask, Chwibal mask, Somu mask, Malyangban mask, Mial Halmeom mask, Monkey mask, Namgang old man mask, Second nobleman mask, Malttugi mask, Mialryeonggam mask, and Podobujang mask.
Meanwhile, Joseon (North) is also preserving and developing mask danc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o Gangnyeong mask dance, Bongsan mask dance, Bukcheong lion mask dance, Haeju mask dance, and Eunyul mask dance, there is the Palmok dance reconstructed by Choi Seung-hui. This is because folk dances classified as ‘classical dance heritage’ are considered the source for developing national dance. In particular, Bongsan mask dance is valued because it originated in Joseon (North), and it is evaluated that it well reflects anti-feudal ideology, class nature, and people’s character, and that it embodies the noble optimism of the people. Even now, the Bongsan Mask Dance Competition is held during the Chuseok season at Gyeongamnu (景岩樓) in Sariwon and the nearby Sariwon Folk Street, and Bongsan Mask Dance is performed nationwide around Dano Day.
2025 is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and the 60th anniversary of Korea-Japan diplomatic relations. The most notable people here are the ‘Korean-identified’ compatriots in Japan. They are commonly classified as members of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are mistaken for North Korean nationals. Howev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eing able to preserve national education and national arts in Japan, a land of discrimination and harsh winds, was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Joseon (North Korea). The historical twists and turns of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and division are the background to the birth of ‘Korean-identified’ compatriots in Japan. Here, ‘Korean-identified’ legally means stateless, and its implications include the desire to return to Joseon, the unified Korean Peninsula before division.
Like soccer player Jeong Dae-se, Kim Seung-hui is also a Zainichi Korean, or “Joseon-jeok” compatriot. Her parents, who are from Jeju Island, immigrated to Japan and gave birth to her. Here, Kim Seung-hui, who graduated from Musashino Art University, went to North Korea in 1959, graduated from Pyongyang University of Fine Arts, and grew into the best painter in the Joseon painting category at Mansudae Art Studio, a comprehensive creative base in the art field. She devoted herself to the development of Joseon painting and achieved results without forgetting the “gratitude to the fatherland (North) that embraced her as a citizen” of North Korea, a Zainichi Korean who considered “North Korea as her fatherland and South Korea as her hometown” throughout her life, but her unchanging heart was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the stigma of “Joseon-jeok”, which is inconvenient, unfair, and discriminatory, she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her parents who wanted to preserve her ethnicity as a Joseon person. Therefore, in 2025, we will once again look to the Zainichi Korean School, the hometown of their hearts and the root of the Zainichi Korean community.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