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리콜렉션

새날을 기다리는 한민족 춤이야기 돈돌라리(4) 춤을 책으로 추고, 컴퓨터로 창작한다

리콜렉션

Vol.118-2(2025.6.20.) 발행


글·사진제공_ 이철주(문화기획자)



조선(북)이 한국보다 춤에서 앞선 것은 무보(舞譜)를 통한 기록과 전승의 체계일 것이다. 일찍이 최승희가 조선무용기본을 문서화하였고, ‘조선춤’의 바이블로 통하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무용예술론’이 조선춤의 가치와 역할을 분명히 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조선(북)에서는 문서로 춤을 기록하고 있고, 무보로 춤을 배우고 있으며, 지금은 정보통신(IT) 기술을 활용한 무용보 편집프로그램까지 개발해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다. 조선(북) 무용의 ‘칼군무’가 가능한 이유이다.


한반도의 춤 역사에서 무보는 그리 오래지 않으며 많지도 않다. 조선시대부터의 기록으로, 한국에서는 『악학궤범(樂學軌範)』, 『진연의궤(進宴儀軌)』, 『진찬의궤(進饌儀軌)』, 『진작의궤(進爵儀軌)』, 『궁중정재무도홀기(宮中呈才舞圖笏記)』, 『시용무보(時用舞譜)』 등을 꼽고 있다. 조선(북)에는 『악학궤범』과 『시용무보』 정도를 무보로 보고 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춤 표기법으로는 발레와 현대무용 중심의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 1928)이 있다. 이 외에 조앤 베네쉬(Joan Benesh)와 루돌프 베네쉬(Rudolf Benesh)가 개발한 베네쉬(Benesh, 1956) 표기법과 노아 에슈콜(Noa Eshkol)과 아브라함 워크만(Abraham Wachmann)이 개발한 에슈콜-워크만(Eshkol-Wachmann, 1958) 기록법 정도가 있다.


공연예술의 기록과 전승에는 당연히 표기법이 기본이 된다. 음악에는 악보가 있을 것이며, 무용에는 무보, 즉 춤 표기법이 있어야 한다. 약속된 기호와 부호, 용어 및 그림, 문자 등으로 표기된 내용으로 소통이 이루어지며, 이것을 통해 학습과 공연, 계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에는 마땅한 춤 표기법이 없는 실정이다. 물론 그 노력이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본인의 기본춤을 무보로 기록한 김천홍과 살풀이춤, 일무, 처용무, 범무 등의 춤사위를 기호화한 정병호의 노력이 돋보인다. 그 외에 사진을 바탕으로 설명한 이은주, 산조춤을 무보화한 김진걸, 진쇠춤을 설명한 윤미라, 하회탈춤 등 몇몇 군무를 표기한 김희숙, 북청사자놀음을 3D 그래픽으로 무보화한 송경희, 호흡 표기법을 제시한 임학선 등이 있다. 다만 표기 방식이 개인(주관)적이며 제한적이라, 이들의 무보를 보고 바로 춤을 출 수 있는 정도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당연히 표준화도, 일반화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에 조선(북)에서는 일찍부터 무보에 관심을 기울였다. 조선무용을 ‘민족의 재보’라고 칭하면서 역대 지도자의 깊은 관심 속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상당 기간 춤 표기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출발에는 최승희가 있다. 최승희는 창작 시에 무용대본을 우선 작성했다. 그리고 이것의 주요 장면을 스케치하였고, 특히 의상과 소품의 경우 자신의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그려서 해당 부문별 일꾼들에게 설명했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 “민족적 정서가 짙고 우아한 춤가락들을 하나하나 찾아내고 정립하여 민족무용의 기본적이며 표준화된 춤동작들의 종합체”인『조선민족무용기본』이다.


최승희는 북행 후 김일성 주석 부부의 전폭적인 후원에 힘입어, 국립무용학교로 발전해 평양음악무용대학의 모체가 된 최승희무용연구소(1946)를 기반으로, 조선무용가동맹 중앙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무용계의 권력과 국회의원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1948)이라는 정치적 위상 등이 큰 힘이 되었겠지만, 무용을 대하는 그녀의 태도는 변함없이 학구적이었다. 해방 직후 민족문화 건설시기에 조선무용을 책임지는 중책을 맡게 된 그녀가, “옛것을 발굴하고 새것을 만들어” 기록으로 남기고자 궁리하고 애를 쓴 결과이다. 


최승희의 이러한 무용에 대한 탐구와 진지함은 최승희무용연구소의 정신으로 남아, 조선무용연구소(현 피바다가극단 소속)로 거듭난 이후인 1972년 새로운 무용표기법에 관한 연구를 촉발하였다. “과거 시범 동작의 전습이라는 방법만으로는 제때 정확하게 무용을 보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고 알려졌다. 그리고 “문학은 글로, 음악은 악보로, 미술은 선과 색으로 보급되고 전해지지만 무용은 그런 수단이 없는가”라며 강령적 과업을 제시한 이는 전문가 수준을 갖춘 예술 애호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다.


당시 조선(북)에서 참고한 것은 『시용무보』와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 안무이론(Choreographic Theory), 동작분석(Movement Analysis) 등이었다. 『시용무보』는 악보인 정간보(井間譜)에 춤사위 그림이 있어서 음악과 춤사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 동작을 묘사한 것에 불과하여 연속되는 춤(공연)을 재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라바노테이션 등 움직임 이론의 경우 “무용 률동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으며, 또한 복잡한 계산을 거쳐서야 동작을 익힐 수가 있는 것으로 하여 창작 실천에 크게 활용되지 못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조선무용연구소는 1987년 2월 9일에 “인간의 률동적 움직임을 기본으로 무용의 모든 형상적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자모식무용표기법 개발을 발표한다. 자모식 무용표기법은 조선어(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문자를 형성하듯이 자리 문자를 자음으로, 형태 문자를 모음으로 결합하여, 놀림(동작)과 가짐(모양)을 자리와 방향 문자(진행 위치와 방향)로 표현한다. 4개의 형태와 11개의 놀림, 12개의 자리와 7개의 방향 등 모두 34개의 기본 문자로 구성하였다. 


이후 조선(북)에서는 1988년 4월에 유네스코 주최로 15개국 무용가들과 춤 표기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자모식무용표기법에 대한 국제회의를 진행하였다. 1992년 9월 평양에서 열린 국제무용이사회 제10차 총회의 발표회에 참가한 80여 개 국가의 무용 관계자들에게서 호평받았다. 자모식무용표기법 연구에 협력한 단체와 기관은 조선무용가동맹 산하 조선민족무용연구실(무용표기분과)와 평양음악무용대학 음악무용연구소(무용표기연구실)이다. 주도한 이는 피바다가극단의 리병길, 평양음악무용대학의 우창섭 교수와 연구사들인 김미라, 리경희 등이었다.


“자모식무용표기법은 언어학에서 자모가 서로 결합하여 뜻을 나타내는 단어를 이루듯 무용문자를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무용동작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즉 한 단어가 자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듯이 무용동작을 기본표기 부호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가 있다. 기보는 가로로 된 삼선보에 놀림문자인 모음 부호와 자리와 방향 문자인 자음 부호 등 각종 표기 부호를 기보하는 방식으로, 무보의 윗부분에는 악보가 배치되고, 무보의 아래에는 무용 구도표가 배치되어 무용수들의 대형과 구도를 알 수 있게 한다. 자모식 무용표기법의 가장 큰 장점은 간편성과 보편성에서 찾을 수가 있다. 일단, 기호가 매우 단순하며 이 기호들은 근거를 가진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 춤의 본질에 대한 치밀한 분석으로 개발된 무용 표기라는 점도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라고 최해리 박사(한국춤문화자료원 이사장)는 평하고 있다.


한편 김일성 주석이 최승희를 전면에 세워 무용을 기록화하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자모식무용표기법의 개발을 완성시켰다면 이것을 디지털화, 정보화한 이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다. 무용보 편집프로그램을 완성하고, 전문연구기관으로 조선자모식무용표기정보국을 설립한 것이다.


조선무용연구소는 자모식무용표기법에 기초한 무용보 편집프로그램인 ‘백학’을 개발해, 무용 총보(score)의 작성, 편집, 인쇄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백학’은 1989년 자모식무용표기법 타자기를 개발하고, 이어서 같은 해 세계지적소유권기구(WIPO) 상을 받은 무용표기 전용 전자계산기를 개발한 것의 연장이다. 


‘백학’은 무용보를 작성하고 편집 및 인쇄하기 위한 무용 전용 편집 소프트웨어이다. 이를 통해 자모식무용표기법의 디지털화와 정보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으며, 표준화·규격화에도 큰 진전을 이룩했다. 조선(북)은 이에 대해 “무용보 편집프로그램의 개발은 우리의 자모식무용표기법이 인체의 모든 운동을 표기할 수 있는 우월한 표기법으로서 첨단급의 인체운동 모의체계를 개발하는 데서 가장 유리한 표기 수단으로 된다는 것을 실천적으로 확증한 것”이라고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 


‘백학’의 개발에는 피바다가극단 조선무용연구소 길호철, 리경희, 우신향 등과 과학원 생물공학분원 생물정보연구소 장문일, 리기성의 과학자들과 1952년에 국립예술극장 발레단 배우로 발탁되어 활동하다가 1975년부터 무용표기 연구사로 전직해 『무용표기기초』를 집필한 박영훈이 참가했다.


조선자모식무용표기정보국은 무용표기법의 연구와 선전, 보급, 인재양성 사업 등을 총괄하는 문화성 산하기관으로 2022년 10월 27일에 설립되었다. 윤이상음악당이 입주해 있는 평양국제문화회관에 사무실이 있다. 


이 정보국은 아버지의 업적을 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로 만들어졌다. “자모식무용표기법의 우월성에 토대하여 무용문자와 그 결합 방식의 최적화, 최량화를 실현하여 표기법의 과학성과 통속성을 더욱 높여” 무용창작 지원체계인 ‘률동’을 2024년 1월에 개발 완성하였다. 무용 문자를 입력하여 춤동작의 서지화, 가시화를 실현하고 무용표기 교육을 쉽게 진행할 목적으로 개발된 ‘률동’은 무용문자 입력프로그램 ‘하나둘’, 무용보 편집프로그램 ‘백학’, 무용작품 모의(simulation) 프로그램 ‘무지개’, 무용표기 학습프로그램 ‘표기학교’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무용작품 모의 프로그램은 최첨단 기술로써 안무가의 구상을 자모식무용표기법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서 3차원적으로 현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정보국에서는 〈노들강변〉 등 조선무용뿐만이 아니라 발레무용극 〈돈끼호떼〉와 〈목신의 오후〉와 같은 해외 무용들도 표기하여 모의(imitation)함으로써 ‘률동’의 실용성을 검증하였다고 한다. 현재 정보국에서는 춤동작을 자동적으로 표기하기 위한 연구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하여 춤 종류별로 특성이 살아나게 하기 위한 연구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발전이 구체적으로 적용된 것은 무용예술 도서이다. 조선(북)의 문학예술출판사에는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무용예술 도서를 새롭게 출판하고 있다. 4대 명작 무용총보 〈조국의 진달래〉와 종합총보 〈강선의 노을〉, 〈부채춤〉, 〈목동과 처녀〉 등 대부분의 주요 작품들을 무보로 편집 출판하였다. 특히 혁명가극 〈피바다〉, 〈꽃파는 처녀〉, 〈당의 참된 딸〉, 〈밀림아 이야기하라〉 등과 민족가극 〈춘향전〉 등의 종합총보에는 음악총보, 무용총보, 무대미술총보, 의상소도구, 장면사진,대사에 이르기까지 무용 작품의 모든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어서, “보존하고 재현할 수 있게” 편집되어 있으며, 무용 형상에 필요한 음악과 의상, 소도구들도 구체적으로 표기되어 있다.


자모식무용표기법은 무용학과의 정식 교과목으로, 학생들은 이것으로 작성된 무보를 보고 해당 춤을 실연해야 한다. 안무가들은 이제 자신의 창작 안무를 컴퓨터로 구현하면서 다양한 춤동작들을 시뮬레이션을 할 수가 있다. 최승희의 창작 노트가 ‘률동’으로 대체된 것이다. 우리가 국립무용원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조선(북)의 웹사이트 〈금수강산〉

3차원적으로 시뮬레이션한 발레 〈돈키호테〉  (조선예술 웹사이트)

재일조선문학예술가동맹 웹사이트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의 군무 연습 장면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의 군무 연습 장면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의 군무 〈김일성화〉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Collection

Vol.118-2 (2025.6.20.) Issue


Article and photos provided by Lee Cheol-ju (Cultural Planner)



Dondolari, A story of Korean dance waiting for a New Day(4) Dance in a book and create with a computer



The reason why Joseon (North Korea) is ahead of Korea in dance is probably because of the system of recording and transmission through dance scores. This is because Choi Seung-hee documented the basics of Joseon dance early on, and Chairman Kim Jong-il’s ‘Dance Art Theory’, which is considered the bible of ‘Joseon dance’, clearly defined the value and role of Joseon dance. As a result, Joseon (North Korea) records dance in documents, learns dance through dance scores, and is now developing a dance score editing progra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and using it on site. This is why Joseon (North Korea) dance’s ‘sword dance’ is possible.


In the history of dance on the Korean Peninsula, dance scores are not that old and are not numerous. Records from the Joseon Dynasty include 『Akhakgwebeom (樂學軌範)』, 『Jinyeonui-gwe (進宴儀軌)』, 『Jinchanui-gwe (進饌儀軌)』, 『Jinjakui-gwe (進爵儀軌)』, 『Gungjungjeongjaemudoholgi (宮中呈才舞圖笏記)』, and 『Siyongmubo (時用舞譜)』. In Joseon (North Korea), 『Akhakgwebeom』 and 『Siyongmubo』 are considered dance notations.


Labanotation (1928), which focuses on ballet and modern dance, is an internationally accepted dance notation system. In addition, there are the Benesh (1956) notation developed by Joan Benesh and Rudolf Benesh, and the Eshkol-Wachmann (1958) notation developed by Noa Eshkol and Abraham Wachmann.


Of course, notation is the basis for recording and transmitting performing arts. Music must have musical scores, and dance must have dance scores, or dance notation. This is because communication is achieved through content written in agreed symbols, signs, terms, pictures, and letters, and learning, performance, and inheritance are possible through this.


However, there is no proper dance notation in Korea.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was no effort.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efforts of Kim Cheon-hong, who recorded his own basic dances in dance scores, and Jeong Byeong-ho, who symbolized dance movements such as Salpuri dance, Ilmu, Cheoyongmu, and Beommu. In addition, there are Lee Eun-ju who explained based on photos, Kim Jin-geol who translated Sanjo dance into dance notation, Yoon Mi-ra who explained Jinsoe dance, Kim Hee-sook who translated several group dances including Hahoe Talchum, Song Gyeong-hui who translated Bukcheong Lion Dance into 3D graphics, and Im Hak-seon who suggested a breathing notation method. However, the notation method is personal (subjective) and limited, so it is no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nough to be able to dance right away by looking at their dance notation. Naturally, there was no standardization or generalization.


On the other hand, Joseon (North Korea) paid attention to dance notation from early on. Joseon dance was called the ‘treasure of the nation’, and research on dance notation methods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ith the deep interest of past leaders.


Choi Seung-hee is the starting point. Choi Seung-hee first wrote a dance script when creating it. She then sketched the main scene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stumes and props, she is said to have drawn her ideas and explained them to workers in each department. The result was “Joseon National Dance Basics,” which is “a comprehensive body of basic and standardized dance movements of national dance, one by one, by finding and establishing elegant dance movements with strong national sentiment.”


After her trip to the North, Choi Seung-hee was elected as the first chairwoma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Korean Dancers’ Union, based on the Choi Seung-hee Dance Research Institute (1946), which developed into a national dance school and became the predecessor of the Pyongyang University of Music and Dance, thanks to the full support of Chairman Kim Il-sung and his wife. Although her power in the dance world and her political status as a member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1948), equivalent to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must have been a great help, her attitude toward dance was consistently academic. This is the result of her pondering and striving to “excavate the old and create the new” and leave a record of it, as she was entrusted with the important task of taking charge of Korean dance during the period of national culture construc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Choi Seung-hee’s exploration and sincerity in dance remained as the spirit of the Choi Seung-hee Dance Research Institute, and after it was reborn as the Joseon Dance Research Institute (currently affiliated with the Piba-da Opera Troupe), it triggered research on new dance notation methods in 1972. It is said that the motivation for the research was that “the method of passing down past demonstration movements alone could not spread dance accurately and in a timely manner.” And the one who proposed the programmatic task, saying, “Literature is spread and transmitted through writing, music through musical scores, and art through lines and colors, but is there no such means for dance?” was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Kim Jong-il, an art enthusiast with the level of an expert.


At that time, the references in Joseon (North Korea) were 『Siyongmubo』, Labanotation, Choreographic Theory, and Movement Analysis. 『Siyongmub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nderstand music and dance movements because it has dance movement pictures in the music score, Jeongganbo (井間譜), but it only describes specific movements and has limitations in reproducing continuous dance (performance). In the case of movement theories such as Labanot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rhythm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and also, since movements can only be learned through complex calculations, they were not greatly utilized in creative practice.” Therefore, on February 9, 1987, the Joseon Dance Research Institute announced the development of a Jamo-style dance notation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record all formal elements of dance based on human rhythmic movements.” The Jamo-style dance notation system combines positional characters with consonants and form characters with vowels, just as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Korean language (Hangul) combine to form letters, and expresses play (movement) and possession (shape) with positional and directional characters (progression location and direction). It consists of 34 basic characters in total, including 4 shapes, 11 stimuli, 12 positions, and 7 directions.


Afterwards, in April 1988, UNESCO hoste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with dancers and dance notation experts from 15 countries. It was well-received by dance professionals from 80 countries who attended the presentation at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International Dance Council held in Pyongyang in September 1992. The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that cooperated in the study of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were the Korean National Dance Research Lab (Dance Notation Division) under the Korean Dancers' Union and the Pyongyang Music and Dance University Music and Dance Research Lab (Dance Notation Research Lab). The leaders were Lee Byeong-gil of the Pibadaga Opera Troupe, Professor Woo Chang-seop of Pyongyang Music and Dance University, and researchers Kim Mi-ra and Lee Kyung-hee.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is a method of expressing various dance movements by combining dance characters, just as letters in linguistics are combined to form words that express meaning.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a method of combining basic notation symbols for dance movements in various ways, just as a word is formed by combining letters. The notation is written in a horizontal three-line notation, with various notation symbols such as vowel symbols and consonant symbols, which are position and direction symbols. The music scor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dance notation, and the dance composition chart is placed below the dance notation, allowing the formation and composition of the dancers to be known.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can be found in its simplicity and universality. First of all, the symbols are very simple, and these symbols contain a symbolism based on a basis.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is a dance notation developed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nd the essence of dance also increases its value,” commented Dr. Choi Hae-ri (Chairman of the Korean Dance Culture Archives). On the other hand, if Chairman Kim Il-sung put Choi Seung-hee at the forefront to document dance, and Chairman Kim Jong-il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it was Chairman Kim Jong-un who digitized and informatized it. He completed the dance notation editing program and established the Korean Alphabetical Dance Notation Information Bureau as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Dance Research Institute developed ‘Baekhak’, a dance notation editing program based on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making it possible to write, edit, and print dance scores. ‘Baekhak’ is an extens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typewriter in 1989 and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notation-specific electronic calculator that won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Award in the same year.


‘Baekhak’ is dance-specific editing software for writing, editing, and printing dance notations. Through this, the foundation for realizing the digit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f the Jamo-style dance not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great progress was made in standardization and specification. North Korea expla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by saying,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notation editing program is a practical confirmation that our Jamo-style dance notation system is a superior notation system that can express all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nd is the most advantageous notation method for developing a cutting-edge human movement simulation system.”


The development of ‘Baekhak’ involved Gil Ho-cheol, Lee Kyung-hee, Woo Shin-hyang, and others from the Pibada Opera Company’s Joseon Dance Research Institute, Jang Moon-il and Lee Ki-seong, scientists from the Bioinformatics Research Institute of the Biotechnology Branch of the Academy of Sciences, and Park Young-hoon, who was selected as an actor at the National Arts Theater Ballet in 1952 and worked there before changing his career to a dance notation researcher in 1975 and writing ‘Basics of Dance Notation.’


The Chosun Alphabet Dance Notation Information Bureau is an organization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that oversees the research, propaganda, distribution, and talent development of dance notation. It was established on October 27, 2022. Its office is located in the Pyongyang International Cultural Center, where the Yun Isang Music Hall is located.


This information bureau was created under the direction of Chairman Kim Jong-un, who succeeded his father’s achievements. “Based on the superiority of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we will realize the optim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dance characters and their combination methods,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scientificity and popularity of the notation.” The development and completion of the dance creation support system ‘Ryuldong’ in January 2024.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nputting dance characters to realize the bibliographical and visualization of dance movements and to facilitate dance notation education, ‘Ryuldong’ consists of the dance character input program ‘Hanadul’, the dance score editing program ‘Baekhak’, the dance work simulation program ‘Rainbow’, and the dance notation learning program ‘Notation School’. In particular, the dance work simulation program is a cutting-edge technology that can realistically reproduce the choreographer's ideas in three dimensions on a computer based on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The Information Bureau verified the practicality of ‘Rhythm Movement’ by notating and imitating not only Korean dances such as “Nodul Riverside” but also foreign dances such as the ballet “Don Quixote” and “Afternoon of a Faun”. Currently, the Information Bureau is intensifying research on automatically notating dance movements an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o b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ance.


This development is specifically applied to dance art books. The literary and artistic publishing house of Joseon (North) is publishing new dance art books using these technologies. Most of the major works, including the four major dance compilations “Azaleas of the Fatherland” and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s “Gangseon’s Sunset”, “Fan Dance”, and “Mokdong and Maiden”, have been compiled and published as dance scores. In particular, the comprehensive scores of revolutionary operas such as “Bada of Blood,” “Flower Girl,” “The True Daughter of the Party,” and “Speak to the Forest,” as well as the national opera “Chunhyangjeon,” reflect all elements of the dance works, including the music score, dance score, stage design score, costume props, scene photos, and dialogue, and are edited “so that they can be preserved and reproduced,” and the music, costumes, and props necessary for the dance figures are also specifically indicated.


The alphabetic dance notation system is an official subject in the dance department, and students must perform the corresponding dance by looking at the dance scores written in it. Choreographers can now implement their own creative choreography on a computer and simulate various dance movements. Choi Seung-hee’s creative notes have been replaced with “Rhythm Movement.” This is also the reason why we need to create the National Dance Compan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