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렉션
Vol.119-2(2025.7.20.) 발행
글·사진제공_ 이철주(문화기획자)
최승희에 대한 각별함은 재일 조선 민족무용계에서 특히 더하다. 제국주의 지배국이었던 서슬 퍼런 일본 땅에 사는 재일 조선인들에게 최승희는 희망과 긍지 그 이상이었다. 이에 대해 재일 조선 민족무용의 개척자인 임추자는 “최승희 춤을 보면 ‘용기를 내라, 조선사람 아직 살아 있다’고 말하는 것 같다”며, “그렇게 남에게 감동을 주는 그런 춤을 추고 싶었다”고 술회한 바 있다. 그래서 재일 조선 민족무용계는 최승희의 춤을 ‘순혈주의’로 지켜가고 있다.
특히 재일에서 조선춤의 정통성은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에 있다. 그 전신은 재일 조선중앙예술단이며, 1955년 6월 6일에 성악, 무용, 기악, 무대 예술인 20여 명으로 결성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조직되어 동포들의 우리말 교육과 민족예술의 보급을 위해 활동하던 제1문선대를 개편한 것이다. 당시 기동선전예술대로서 성격이 강했던 조선중앙예술단의 공연은 연간 200여 회였다. 일본 전역을 돌며 동포 사회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찾아가서 공연을 하였다.
근거리는 트럭에 장비를 싣고 버스로 이동하였지만, 원거리 공연은 열차로 이동했다. 단원들은 열차에서 내리기 전에 남성은 양복 정장으로, 여성은 치마저고리로 환복하였다. 이들이 하차하면 동포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조차 열렬히 환영을 해주었다고 한다. 지역의 시장이 영접하였고, 당시 스타였던 성악가 홍령월(현 금강산가극단 고문)과 임추자(무용부장) 등 주역 예술가들은 오픈카를 타고 시내를 한 바퀴 돌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지금은 조국(북)의 지원으로 장만한 대형 리무진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1959년 전국 조직인 재일 조선문학예술가동맹(약칭 문예동)이 발족하면서 재일 조선 민족무용계의 체계화가 시작되었다. 조선중앙예술단은 1964년 동경국제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북)의 대표선수단 환영 공연을 기점으로 민족무용에 집중하는 종합민족예술단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1973년 베를린에서 열린 제10차 세계청년학생축전에서 13개의 상을 받으면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듬해인 1974년 4월에는 김일성 주석의 탄생 기념으로 재일 조선지방가무단의 성원들과 함께 조국(북)을 방문하여 평양에서의 첫 공연을 실현하였다.
1974년 4월 14일은 재일 조선 민족예술사에서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이 된 날이다. 이날 재일 조선예술단의 공연을 직관한 김일성 주석은, 이 자리에서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를 ‘조국의 선물’로 전습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리고 주어진 기간은 2개월 남짓. 남포에 모인 이들은 당시 조국(북)의 최고 예술가들의 집중적인 지도를 받게 된다.
〈금강산의 노래〉의 연출자인 박진후(피바다가극단), 최승희 음악을 작곡한 신영철(국립민족예술단) 등으로부터 스타르타식 전수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마지막 평양대극장에서 연습 성과 발표회를 마치고 짐을 싸고 있을 때였다. 함흥지방을 현지 지도 중이던 김 주석이 전습된 결과를 친견하고자 귀경 중이니, 준비하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귀국 이틀 전의 상황이다.
6월 27일 평양대극장에서의 〈금강산의 노래〉 첫 공연의 결과, 예술단은 ‘김일성 훈장’을 수여 받았고, 단원들은 공훈배우, 인민예술가, 인민배우 등의 칭호를 수여 받았다. 그리고 김 주석이 직접 명명한 금강산가극단(Opera Troupe)으로 동년 8월 22일 동경 귀국 후 결단식을 하고 단체명을 개칭하였다. 조선(북)으로부터 유일한 국립해외예술단이라는 지위도 부여받았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은 한 이는 임추자(1936)이다. 열악한 시절에 임추자가 무용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은 만만치 않았다. 춤을 시작하자 목표이자 모델이 되었던 최승희를 무조건 따라 하기로 하였다. 이시이 바쿠 무용단에서 무용을 배웠다. 일본 발레협회 초대 회장을 지낸 핫토리 치에코(服部智恵子)와 일본 발레의 아버지라 불리는 시마다 히로시(島田廣, 백성규)에게 발레를 배웠다. 조택원에게 전통무용과 신무용을 배웠다. 그리고 1964년경 북행하여 황해도예술단 안무가로 활동한 김장안으로부터 전통무용을 배웠다.
김장안은 해방 후 밀항해 일본에 들어와 동경중고급조선학교 근처에 살면서 그곳 학교의 무용강사로 활동하면서 학생들에게 조선무용을 지도하였다. 1953년 중앙예술학원 무용과장으로 활동하였고, 1955년 동경에 김장안무용연구소를 열었다. 1956년 동경에 있는 조선대학교에 무용강사로 출강하였고, 1959년 문예동 최초의 무용부장이 되었다. 이 당시 오사카 지역에서는 조봉희가 1954년 고베조선무용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57년 사카키바라 동경무용학교(榊原学園 東京舞踊学校)에서 조선무용 강사로 활동했다. 그는 1960년부터 총련의 문화소조지도원양성강습회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이후 조선(북)으로 귀국하였다.
1954년 8월 20일 조선(북)의 남일 외상이 공식적으로 재일 조선인이 조국(북)의 해외 공민임을 선포한 이래 조선(북)으로부터 무용의 전수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최승희 〈조선무용기본동작〉을 담은 무용영화 필름과 무대의상 및 소도구를 조선중앙예술단 무용부에 보내주었다. 그들은 “필름이 낡아서 끊어질 때까지” 보면서 춤을 익혔다. 또한, 〈환희〉, 〈목동과 처녀〉, 〈진주의 무희〉, 〈바다의 노래〉, 〈무녀춤〉, 〈부채춤〉, 〈농악무〉 등을 전수했다. 1960년 3월 처음으로 선상에서 이루어진 직접 전수 때에는 〈북춤〉, 〈사당춤〉, 〈도라지〉, 〈벽화의 무희〉, 〈두레놀이 북춤〉, 〈검무〉 등을 배웠다. 이후 〈고난의 행군〉, 〈3색춤〉, 〈양산도〉, 〈아리랑〉을, 그리고 1970년에는 조선(북)의 4대 명작무용인 〈눈이 내린다〉, 〈조국의 진달래〉, 〈키춤〉, 〈사과풍년〉을 전수하였다.
이때 지도를 위해 왔던 조선(북)의 선생들은 박경숙(〈진주의 무희〉), 정순희(〈선녀춤〉), 주혜덕(〈칼춤〉), 한금희(〈무녀춤〉), 차예진(〈목동과 처녀〉), 김숙자(〈뻐꾸기와 처녀〉) 등 당대 최고의 무용수들이었다. 이후에도 임추자는 교류의 창구가 되어 조국(북)의 최고 무용수와 안무가들인 김락영, 백환영, 백은수, 김은하, 김해춘, 엄영춘, 홍정화, 김영길 등과 협력하며 재일 조선 민족무용계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1973년 평양 만수대예술단의 일본 순회공연도 재일 조선 민족무용계의 발전에 큰 계기가 되었다. 만수대예술단의 순회공연을 도우면서, 전 기간에 안무가인 인민예술가 박남주와 무용단원들로부터 직접 전습과 지도를 받았다. 그리고 1974년 평양에서 〈금강산의 노래〉를 전수하였다.
임추자가 걸어온 길은 재일 조선 민족무용의 역사였다. 1957년 그녀는 재일 무용수 최초로 (임추자) 조선무용연구소를 설립하였다. 역시 재일 무용가 최초로 196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무용가동맹 정맹원으로 선출되었다. 1962년 조선중앙예술단에 입단해 첫 무용부장으로 문예동 중앙위원회 무용부장을 겸직한다. 1965년 공훈배우 칭호를 수여 받았으며, 1969년 재일 조선학생중앙예술경연대회에서 무용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1988년 인민배우 칭호를 수여 받았으며, 1992년 평양에서 개최된 국제무용리사회에 재일 무용가 대표로 참가했고, 금강산가극단을 퇴단한 다음 해인 1998년 임추자민족무용단을 설립하여 후학을 양성하고 창작 활동을 이어갔다.
임추자는 재일 민족예술사의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기록된 대음악무용서사시 〈조국의 햇빛아래〉(1966), 〈조국과 위대한 수령님께 드리는 노래〉(1967), 〈위대한 수령님께 영광을 드린다〉(1968)의 무용 총감독으로서 큰 성과를 내었다. 평생 5,000여 회에 이르는 공연과 500편에 가까운 작품을 창작한 그녀는, 2017년 필자도 직관한 임추자민족무용단이 주최하고 재일의 모든 무용가가 함께한 헌정 공연인 임추자 80돐 기념 ‘춤한길’에 출연한 것을 마지막으로 무대에서 내려왔다. 그녀는 2018년 필자와의 구술을 마치고, 이듬해인 2019년 6월 11일 오후 8시경에 평소 앓아 온 뇌경색에 의한 급환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2009년 정명자 주최의 〈할미의 노래〉 공연에 특별출연으로 초청받아 내한했던 그녀의 춤은 “우아하며 숭고하고 화려한 율동으로 조선 민족의 행복과 희망을 심어주는 예술”로 평가받고 있다.
임추자가 재일에 조선 민족무용의 씨앗을 뿌리고 뿌리를 내리게 했다면, 그 줄기가 된 후배이자 제자들이 존재한다. 그녀의 동생인 임선희는 조선중앙예술단을 거쳐 동경 조선대학교 무용과의 개설과 동시에 교원으로 배치가 되어 무용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김영애가 그 뒤를 잇는다. 그리고 재일 최초의 인민배우 칭호를 받은 리미남이 있으며, 최근까지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장 겸 책임 안무가를 역임한 강수내가 있다. 남성으로는 리도수, 현계광이 있다. 현계광은 남자 무용수로는 드물게 오랫동안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장을 맡았으며, 현재까지도 현장에서 재일 조선 민족무용을 풍요롭게 하고 있다.
리미남(1940)은 임추자조선무용연구소 출신으로 1961년 조선중앙예술단에 입단한다. 그녀는 1973년 제10차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조선(북)의 대표로 참가하여 독무 〈북춤〉으로 금상을 수상하였다. 이 공로로 1974년 공훈배우 칭호를, 이후 금강산가극단(부단장)에서의 성과를 인정받아 1982년 인민배우 칭호를 수여 받았다. 퇴단 후 1999년 나고야에서 리미남무용연구회를 설립하였다. 남편인 리철우 윤이상음악연구소 이사의 조카가 광주시향의 김홍재 상임 지휘자이다.
리미남은 2006년 8월 제3회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심사위원 자격으로 내한했다. 동행한 연구회의 문하생들이 개막 공연에서 〈무녀춤〉과 〈물동이춤〉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녀의 춤은 “춤가락에서 흘러넘치는 민족적 정서가 돋보이고, 뛰어난 예술적 재능은 보는 사람에게 삶의 희열과 용기를 주며 민족의 슬기를 가슴 뿌듯이 안겨준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남성 안무가로 아직도 현역에서 활동 중인 현계광은 “우리는 최승희입니다”라며 조선춤을 계승하면서 특히 재일 조선인의 생활을 ‘종자’로 삼아 창작무용을 많이 만들었다. 일본의 민족교육 말살 책동에 항쟁한 ‘4.24 교육투쟁’을 ‘종자’로 한 〈민족의 넋〉이나 재일조선(민족)학교의 교복인 치마저고리를 칼로 찢는 일본인의 테러를 다룬 〈조선의 딸〉이 대표적이다. 특히 〈조선의 딸〉은 이후 조선(북)의 김락영에 의해 독무 〈치마저고리〉로 재창작되기도 하였다.
현계광이 1995년 문예동 중앙 무용부장에 취임한 후 가장 먼저 한 사업은 1996년부터 3년에 걸쳐 개최한 조선무용강습회이다. 일본 전역에서 전문 무용수부터 학생들까지 1,860명이 참가해 〈조선민족무용기본〉을 비롯한 조선춤을 전수하였다. 이때 초청을 받아 조선(북)에서 온 무용가들은 리인숙(평양음악무용대학), 현운실(피바다가극단), 김은하(조선예술교류협회), 정혜옥(국립민족예술단), 리영옥(만수대예술단)이다.
1965년 조선중앙예술단에 입단해 1977년 금강산가극단 무용부장으로 퇴단한 현계광은, 문예동의 동경지부 무용부장과 문예동 중앙 무용부장을 역임했지만, 전 기간에 걸쳐서 누구보다 열심히 조선(민족)학교 고급부(고등학교) 무용소조 지도와 재일 조선학생무용경연대회의 활성화를 통한 학생무용 발전에 노력하였다. 최승희 춤의 기본을 가르치면서도 동포 생활상을 반영한 재일 조선 민족무용의 창작 기반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2002년 재일 조선학생예술단의 책임 안무가 자격으로 내한하여 서울, 전주에서 공연하였다. 2003년에는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 받았다. 그의 춤은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의미에 걸맞게 재일 조선 민족무용에서 ’생활무용‘의 전형을 보여주었고, 특히 학생무용에 있어서 기반을 튼튼히 다졌다고 평가받는다.
2000년대를 책임진 이는 마지막 무용부장인 강수내이다. 그녀는 1961년 동경에서 출생해 조선(민족)학교에서 조선무용을 배웠고, 1979년 금강산가극단에 입단해 무용수로 활동을 시작한다. 이후 통신교육과 평양에서의 전습을 통해 기량을 키웠다. 1991년 조선(북) 최고의 전문 예술인 경연대회인 ’2.16 예술상‘ 개인 경연 부문에서 독무 〈도라지〉를 추어 재일 조선인 무용가로서는 최초로 입상하였고, 다음 해인 1992년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 받았다. 1994년 안무가로 변신해 주옥같은 창작작품을 선보이기 시작한다.
2007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 최초의 조선무용 공연인 ‘조선무용 50년: 북녘의 명무’ 공연의 성과는 제작자였던 필자와 강수내 안무가의 합작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 예술계에서 최고의 찬사라는 ’귀환‘ 공연이 동경에서 개최될 정도였다. 그리고 2015년 12월 15일 신주쿠문화회관 대극장에서 “한 길을 따라가는 무용수 강수내의 세계”란 부제가 붙은 ‘금강산의 무희들’ 공연이 열렸다. 그녀의 안무가 인생 20년을 축하하는 특별공연이었다.
여기서 2007년 평양의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에서 금상을 받은 독무 〈설죽화〉와 영통사 복원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고려삼신불춤〉, 신윤복의 그림을 소재로 한 〈쌍검단무〉가 올려졌다. 그리고 통일의 열망을 담은 군무 〈대하〉가 하이라이트로 연출되었고, 종장으로 2012년 금강산가극단 순회공연의 메인이었던 무용극 〈춘향전〉의 정수가 대미를 장식했다. 강수내는 이 작품을 계기로 2012년 최고의 영예인 인민예술가 칭호를 수여 받았다.
조선(북) 음악이 리듬보다는 선율을 강조하는 것처럼, 강수내의 춤은 기백이 있으면서도 유려하고 우아한 조선춤의 매력을 십분 드러내고 있다. 강수내는 최승희 춤체의 기본을 충실히 지키면서도 조선춤의 현대화를 통해 세계화의 가능성을 열어준 거장이라고 말해도 부족함이 없을 듯하다.
올해도 어김없이 6월 20일에 금강산가극단의 첫 공연이 열렸다. 금강산가극단은 결단식을 한 6월을 기념해 매해 첫 공연(시연회)을 6월에 가진 후에 전국 순회공연을 갖고 있다. 올해의 레퍼토리는 다음과 군무 〈오북춤: 설풍향고무〉, 독무 〈대홍단 삼천리〉, 군무 〈일편단심 붉은 마음 간직합니다〉, 군무 〈부채춤〉, 쌍무 〈장기놀이〉, 군무 〈박편무〉, 민속무용 〈농악무 2025〉이다. 오랫동안 인기가 있는 명무를 재공연한 것이지만, 〈오북춤〉은 무용부 부부장인 박수향이 창작한 작품의 초연이어서 더욱 시선을 끌었다.
금강산가극단의 무용부는 엄격한 오디션을 통해 단원을 선발한다. 현재 활동 중인 무용부의 인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안무가 없이 비전임 무용지도원으로 2019년부터 김영심(60)이 활약하고 있다. 그녀는 금강산가극단 무용부 출신으로 제2차 ‘2.16 예술상’에서 무용 부문 2등을 수상한 실력 있는 무용가이다. 2007년 서울 공연에 출연한 바 있는 박강부(남, 공훈 배우, 이하 입단일 2006) 무용부장과 최고 선임자로서 대를 이어주고 있는 윤선아(2005)를 비롯해 제22차 ‘2.16 예술상’ 수상자로서 안무가를 겸하고 있는 리화선(공훈 배우, 2006)이 있다. 안무가로 데뷔한 박수향(2011), 그리고 김사야(2015), 리리용(2017), 송세향(2019), 최용귀(남, 2021), 박주연(2022), 박유희(2022), 조휘나(2023), 강향리(2024), 장선려(2024) 등 총 13명의 무용부원이 재일 조선 민족무용의 개화기를 이어가고 있다.
최승희의 춤체를 지키면서 자신들만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담은 조선무용을 지키고 발전시켜 온 70년 재일 조선 민족무용사의 중심에는 금강산가극단의 무용수들이 있다. 안으로는 동포들에게 기쁨과 희망을 주는 재일 조선인 사회의 최고의 민족무용단으로, 밖으로는 ‘황금의 예술’이라고 명명한 조선무용의 한길로 달려온 조선(북)의 유일한 국립 해외예술단이다. 그래서 이들은 최승희가 그랬던 것처럼 ‘조선무용예술의 1번수’로서 세계 무대에서 우뚝 설 그날을 준비하고 있다.
2007년 내한 공연에서 독무 <도라지>를 공연한 인민예술가 강수내
박순임 외 군무의 <쟁강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Collection
Vol.119-2 (2025.7.20.) Issue
Written and photos provided by Lee Cheol-ju (Cultural Planner)
Dondolari, A story of Korean dance waiting for a New Day(5) Descendants of Choi Seung-hee: Dance Department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in Japan
The specialness of Choi Seung-hee is especially greater in the Korean ethnic dance community in Japan. For Koreans living in the land of Japan, which was a icy imperialist ruling country, Choi Seung-hee was more than just hope and pride. Regarding this, Lim Chu-ja, a pioneer of Korean ethnic dance in Japan, said, “When I see Choi Seung-hee’s dance, it seems like she’s saying, ‘Be brave, Koreans are still alive,’” and “I wanted to dance a dance that would move others like that.” That’s why the Korean ethnic dance community in Japan is protecting Choi Seung-hee’s dance as a ‘pure-blooded movement.’
In particular, the authenticity of Korean dance in Japan lies in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dance department. Its predecessor was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in Japan, formed on June 6, 1955 with about 20 members of vocal, dance, instrumental, and stage artists. It was reorganized from the 1st Literary Arts Troupe, which was organized after liberation in 1945 and worked to educate compatriots in the Korean language and spread national art. At the time,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which had a strong character as a mobile propaganda art troupe, performed about 200 times a year. It traveled all over Japan and performed wherever there was a community of compatriots.
They loaded their equipment onto trucks and traveled by bus for short distances, but they traveled by train for long distance performances. Before getting off the train, the men changed into suits and the women into skirts and jackets. It is said that when they got off, not only their compatriots but even the Japanese people warmly welcomed them. The local market welcomed them, and the leading artists at the time, including Hong Ryeong-wol (current advisor to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and Im Chu-ja (head of the dance department), enjoyed such great popularity that they would drive around the city in an open car. Now, they use a large limousine bus that they purchased with support from the fatherland (North Korea).
In 1959, the national organization, the Korean Literary Artists' Alliance in Japan (abbreviated as Munye-dong), was launched, and the systematization of the Korean folk dance scene in Japan began.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transformed into a comprehensive folk art troupe focusing on folk dance, starting with the welcoming performance of the Korean (North) representative team participating in the 1964 Tokyo International Olympics. Its skills were recognized when it won 13 awards at the 10th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held in Berlin in 1973. The following year, in April 1974, he visited the fatherland (North Korea) with members of the Korean Regional Song and Dance Troupe in Japan to commemorate the birth of Chairman Kim Il-sung and held his first performance in Pyongyang.
April 14, 1974, is a day that has been recorded as a historical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art in Japan. On that day, Chairman Kim Il-sung, who watched the performance of the Korean Art Troupe in Japan, instructed that the revolutionary opera 〈Song of Geumgangsan〉 be transmitted as a “gift to the fatherland.” The period given was about two months. Those gathered in Nampo received intensive guidance from the best artists of the fatherland (North Korea) at the time.
They received a Star-like training from Park Jin-hu (Bada Opera Troupe), the director of 〈Song of Geumgangsan〉 and Shin Young-chol (National National Art Troupe), who composed Choi Seung-hui’s music. And it was when they were packing up after finishing the last rehearsal presentation at the Pyongyang Grand Theater. Kim Jong-un, who was on-site supervising the Hamheung region, was returning to Seoul to personally see the results of the attack, and news was delivered to prepare. This was the situation two days before returning home.
As a result of the first performance of 〈Song of Geumgangsan〉 at the Pyongyang Grand Theater on June 27, the art troupe was awarded the “Kim Il-sung Medal,” and the members were awarded titles such as Meritorious Actor, People’s Artist, and People’s Actor. Then, on August 22 of the same year,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named by Kim Jong-un himself, held a ceremony after returning to Tokyo and changed its name. It was also granted the status of the only national overseas art troupe by North Korea.
One person who played a key role in this process was Im Chu-ja (1936). The process of Im Chu-ja growing as a dancer during these difficult times was not easy. When she began dancing, she decided to unconditionally follow Choi Seung-hee, who had become her model and goal. She learned dancing at the Ishii Baku Dance Troupe. He studied ballet from Hattori Chieko (服部智恵子), the first president of the Japan Ballet Association, and Shimada Hiroshi (島田廣, Baek Seong-gyu), who is called the father of Japanese ballet. He learned traditional and new dance from Cho Taek-won. Then, around 1964, he went north and learned traditional dance from Kim Jang-an, who worked as a choreographer for the Hwanghae Arts Troupe.
After liberation, Kim Jang-an entered Japan by smuggling and lived near the Tokyo Middle and High School of Korean Dance, where he worked as a dance instructor and taught Korean dance to students. In 1953, he worked as the head of the dance department at the Central Academy of Arts, and in 1955, he opened the Kim Jang-an Dance Research Institute in Tokyo. In 1956, he taught dance at Chosun University in Tokyo, and in 1959, he became the first head of the dance department at the Munye-dong. At that time, Cho Bong-hee established the Kobe Korean Dance Research Institute in the Osaka area in 1954, and worked as a Korean dance instructor at the Sakakibara Tokyo Dance School in 1957. He served as an instructor at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s Cultural Association Instructor Training Course from 1960, and later returned to Korea (North Korea).
On August 20, 1954, the South Korean Foreign Minister of Korea (North Korea) officially declared that Koreans in Japan were overseas citizens of the fatherland (North Korea), and the transmission of dance from Korea (North Korea) began. At first, a dance film containing Choi Seung-hee’s 〈Basic Korean Dance Movements〉 along with stage costumes and props, was sent to the dance department of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They learned to dance by watching it “until the film was worn out and broke.” In addition, he taught 〈Hwanhee〉, 〈Cowherd and Maiden〉, 〈Dancer of Jinju〉, 〈Song of the Sea〉, 〈Mother Dance〉, 〈Fan Dance〉, 〈Nongak Dance〉, etc. In March 1960, during the first direct training on board, he learned 〈Bukchum〉, 〈Sadang Dance〉, 〈Doraji〉, 〈Dancer of the Mural〉, 〈Dure Nori Bukchum〉, 〈Geommu〉, etc. After that, he taught 〈Arduous March〉, 〈Three Color Dance〉, 〈Yangsando〉, 〈Arirang〉, and in 1970, he taught 〈Snow Falls〉, 〈Azaleas of the Fatherland〉, 〈Kichum〉, 〈A Plenty of Apples〉, the four most famous dances of Joseon (North Korea).
At that time, the teachers from Joseon (North) who came to teach were the best dancers of the time, such as Park Kyung-sook (〈Dancer of Jinju〉), Jeong Sun-hee (〈Fairy Dance〉), Ju Hye-deok (〈Sword Dance〉), Han Geum-hee (Muna Dance), Cha Ye-jin (Cowboy and Maiden), and Kim Sook-ja (Cuckoo and Maiden). After that, Im Chu-ja continued to be a channel of exchange, collaborating with the best dancers and choreographers from the fatherland (North), such as Kim Rak-young, Baek Hwan-young, Baek Eun-soo, Kim Eun-ha, Kim Hae-chun, Eom Yeong-chun, Hong Jeong-hwa, and Kim Yeong-gil, and devoting herself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thnic dance scene in Japan.
The 1973 tour of Japan by the Pyongyang Mansudae Art Troupe also played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thnic dance scene in Japan. While assisting the Mansudae Art Troupe’s tour, she received direct training and guidance from choreographer and People’s Artist Park Nam-ju and members of the dance troupe during the entire period. And in 1974, she taught 〈Song of Geumgangsan〉 in Pyongyang.
The path that Lim Chu-ja walked was the history of Korean folk dance in Japan. In 1957, she was the first Korean dancer to establish the (Lim Chu-ja) Korean Dance Research Institute. She was also the first Korean dancer to be elected as a member of the Korean Dancers’ Un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1961. In 1962, she joined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and served as the first dance director and the dance director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Literary Arts Association. She was awarded the title of Meritorious Actor in 1965, and in 1969, she served as the head of the dance division of the Korean Students’ Central Art Competition in Japan. In 1988, he was awarded the title of People's Actor, and in 1992, he participated as a representative of Japanese dancers in the International Dance Association held in Pyongyang, and in 1998, the year after he left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he founded the Lim Chuja National Dance Troupe to train future generations and continue his creative activities.
Lim Chuja achieved great success as the dance director of the grand musical dance epics 〈Under the Sunlight of the Fatherland〉(1966), 〈Songs for the Fatherland and the Great Leader〉(1967), and 〈Glory to the Great Leader〉(1968), which are recorded as monumental events in the history of Japanese national art. She performed over 5,000 times and created nearly 500 works throughout her life. Her last appearance was in 2017, when she appeared in the “Dance Path”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Lim Chu-ja, a tribute performance hosted by the Lim Chu-ja National Dance Company and participated by all Korean dancers in Japan. After her oral history with me in 2018, she passed away on June 11, 2019, at 8:00 PM due to a stroke she had suffered from for a long time.
Her dance, which she performed in Korea in 2009 as a special guest at the 〈Grandma’s Song〉 performance hosted by Jeong Myeong-ja, is evaluated as “an art that instills happiness and hope in the Korean people with elegant, sublime, and splendid rhythms.”
If Lim Chu-ja planted the seeds of Korean national dance in Japan and helped it take root, there are her juniors and disciples who became the stem. Her younger sister, Lim Seon-hui, went through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and was assigned as a teacher at the opening of the dance department at Tokyo Chosun University, laying the foundation for dance education. Kim Young-ae followed her. Then there is Li Mi-nam, who received the title of the first People’s Actor in Japan, and Kang Su-nae, who until recently served as the dance department head and chief choreographer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Among the male dancers, there are Li Do-su and Hyun Gye-gwang. Hyun Gye-gwang served as the dance department head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for a long time, which is rare for a male dancer, and he continues to enrich Korean folk dance in Japan to this day.
Li Mi-nam (1940) graduated from the Im Chu-ja Korean Dance Research Institute and joined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in 1961. She participated as a representative of North Korea in the 10th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in 1973 and won the gold medal for her solo dance, 〈Bukchum〉. For this achievement, she was awarded the title of Meritorious Actor in 1974, and later, in recognition of her achievements at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as vice-director), she was awarded the title of People’s Actor in 1982. After retiring from the troupe, she founded the Lim Minam Dance Research Society in Nagoya in 1999. Her husband, Lim Cheol-woo, the nephew of the director of the Yun Isang Music Research Institute, is Kim Hong-jae, the permanent conductor of the Gwangju City Orchestra.
Lim Minam visited Korea as a judge for the 3rd Seoul International Dance Competition in August 2006. The students of the research society she accompanied performed 〈Shaman Dance〉 and 〈Water Bucket Dance〉 at the opening performance. Her dance is evaluated as “excellent in the national sentiment flowing from the dance movements, and her outstanding artistic talent gives the viewers joy and courage in life and makes them feel proud of the wisdom of the nation.”
Hyun Gye-gwang, a male choreographer who is still active, has created many original dances, especially using the lives of Koreans in Japan as “seeds,” while continuing the tradition of Korean dance, saying, “We are Choi Seung-he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Soul of the Nation〉 which uses the “April 24 Educational Struggle” against Japan’s attempt to annihilate national education as its “seed,” and 〈The Daughter of Joseon〉 which deals with the Japanese terrorism of tearing the uniforms of Korean (national) schools in Japan, the chima-jeogori, with a knife. In particular, 〈The Daughter of Joseon〉 was later recreated as the solo dance 〈Chimajagori〉 by Kim Rak-yeong of Joseon (North Korea).
The first project Hyun Gye-gwang took on after taking office as the head of the Central Dance Department of the Munyedong in 1995 was the Korean Dance Training Center, which he held for three years starting in 1996. 1,860 people from all over Japan, from professional dancers to students, participated and taught Korean dance, including 〈Basics of Korean National Dance〉. At that time, the danc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by invitation were Ri In-suk (Pyongyang Music and Dance University), Hyeon Un-sil (Bada Sea Opera Troupe), Kim Eun-ha (Joseon Art Exchange Association), Jeong Hye-ok (National Folk Art Troupe), and Ri Yeong-ok (Mansudae Art Troupe).
Hyeon Gye-gwang, who joined the Korean Central Art Troupe in 1965 and retired as the dance director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in 1977, served as the director of the dance department of the Tokyo branch of the Munye-dong and the director of the central dance department of the Munye-dong, but throughout the period, he worked harder than anyone else to develop student dance by leading the advanced (high school) dance troupe of the Joseon (folk) school and activating the Japanese Joseon Student Dance Competition. This was to create a creative foundation for Japanese Joseon folk dance that reflected the lives of compatriots while teaching the basics of Choi Seung-hee's dance. In 2002, he visited Korea as the chief choreographer of the Japanese Joseon Student Art Troupe and performed in Seoul and Jeonju. In 2003, he was awarded the title of Meritorious Artist. His dance, in line with the meaning of ‘renovation from the past’, showed the typical example of ‘life dance’ in Korean folk dance in Japan, and is especially evaluated as having laid a solid foundation for student dance.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2000s was the last head of the dance department, Kang Su-nae. She was born in Tokyo in 1961, studied Korean dance at the Korean (national) school, and joined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in 1979 to begin her career as a dancer. She later improved her skills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training in Pyongyang. In 1991, she won the first prize as a Korean dancer in Japan for her solo dance 〈Doraji〉 in the individual competition category of the ‘2.16 Arts Award’, the best professional artist competition in North Korea. The following year, in 1992, she was awarded the title of Meritorious Artist. In 1994, she transformed into a choreographer and began to present exquisite creative work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f the first Joseon dance performance, “50 Years of Joseon Dance: Masterpieces of the North,” held at the National Gugak Center’s Yeakdang in 2007, was a collaboration between the author, who was the producer, and choreographer Kang Su-nae. The “Return” performance, which was considered the highest praise in the Joseon art world, was held in Tokyo. Then, on December 15, 2015, the “Dancers of Geumgangsan” performance with the subtitle “The World of Dancer Kang Su-nae Following a Single Path” was held at the Shinjuku Cultural Center Grand Theater. It was a special performance celebrating her 20th year as a choreographer.
Here, the solo dance 〈Seoljukhwa〉 that won the gold medal at the “April Spring Friendship Art Festival” in Pyongyang in 2007, 〈Goryeo Samsinbulchum〉 inspired by the restoration of Yeongtongsa Temple, and 〈Ssanggeomdanmu〉 based on a painting by Shin Yun-bok were performed. The group dance 〈Daeha〉 containing the desire for unification was performed as a highlight, and the essence of the dance drama 〈Chunhyangjeon〉 that was the main performance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s tour in 2012 was performed as the finale. Kang Su-nae was awarded the title of People’s Artist, the highest honor of 2012, for this work.
Just as Korean (North Korean) music emphasizes melody rather than rhythm, Kang Su-nae’s dance fully displays the charm of Joseon dance that is both spirited and elegant.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Kang Su-nae is a master who faithfully maintained the basics of Choi Seung-hui’s dance style while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Joseon dance. This year, the first performance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was held on June 20th as usual.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holds its first performance (demonstration) every year in June to commemorate the month of its founding, and then goes on a nationwide tour. This year’s repertoire includes the group dance 〈Obuk Dance: Seolpunghyanggomu〉, the solo dance 〈Daehongdan Samcheolli〉, the group dance 〈Ilpyeondansim Red Heart Preserves〉 the group dance 〈Buchaechum〉, the pair dance 〈Janggi Nori〉, the group dance 〈Parkpyeonmu〉 and the folk dance 〈Nongakmu 2025〉. Although it is a re-performance of a popular dance that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Obuk Dance〉 is the premiere of a piece created by Park Soo-hyang, the vice-chairman of the dance department, and it attracted even more attention.
The dance department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selects its members through strict auditions. The current composition of the dance department is as follows. First of all, Kim Young-shim (60) has been working as a part-time dance instructor without a choreographer since 2019. She is a talented dancer who came from the dance department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and won second place in the dance category at the 2nd ‘2.16 Arts Award’. There are Park Kang-bu (male, meritorious actor, hereinafter enlisted in the troupe in 2006), who performed in the Seoul performance in 2007, Yoon Seon-ah (2005), who is continuing the tradition as the head of the dance department and the most senior member, and Lee Hwa-seon (merited actor, 2006), who is also a choreographer and the winner of the 22nd ‘2.16 Arts Award’. Park Soo-hyang (2011), who debuted as a choreographer, and Kim Sa-ya (2015), Lee Ri-yong (2017), Song Se-hyang (2019), Choi Yong-gui (male, 2021), Park Joo-yeon (2022), Park Yu-hee (2022), Jo Hwi-na (2023), Kang Hyang-ri (2024), and Jang Seon-ryeo (2024) are a total of 13 members of the dance troupe who are continuing the flowering of Korean folk dance in Japan.
At the center of the 70-year history of Korean folk dance in Japan, who have preserved and developed Korean dance with their own uniqueness and identity while preserving Choi Seung-hee’s dance style, are the dancers of the Geumgangsan Opera Troupe. It is the best folk dance troupe i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that gives joy and hope to its compatriots, and the only national overseas art troupe in North Korea that has run along the path of Korean dance, which it calls the “golden art”. So, they are preparing for the day when they will stand tall on the world stage as the ‘number one dancer of Joseon dance art’ just like Choi Seung-hee did.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