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칼럼

리콜렉션

새날을 기다리는 한민족 춤이야기 돈돌라리(6) 최승희의 후예들2: 조선가무단

리콜렉션

Vol.120-1(2025.8.5.) 발행

글·사진제공_ 이철주(문화기획자)




재일 조선무용가들의 마음은 무엇일까? 여기에 답을 준 이는 현재 오사카조선가무단에서 무용수로 활약 중인 서유희였다. 


2017년 7월 문예동 중앙위원장의 초청을 받아 교토부 나가오까기념문화회관에서 열린 제10차 무용경연대회(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 주최)를 참관하였다. 당시 오사카조고 무용소조의 고급부 3학년이었던 서유희는 독무 〈천안삼거리〉로 금상을 수상하였다. 학교의 무용소조 훈연 외에 지역의 마이조선무용연구소에서 반년 가까운 연습이 더한 결과였다. 신체적 조건도 좋고 기량도 돋보였으며 특히 작품이 담고 있는 의도와 의미를 잘 파악하고 있어서 학생답지 않은 실력을 뽐냈다. 


2000년 이후 재일 무용계의 스타 무용수인 송영숙과 리화선의 뒤를 이은 대형 신인의 출현으로, 당연히 조선대학교 무용학과에 진학하거나 금강산가극단의 오디션에 응할 줄 알았던 필자에게 서유희의 대답은 의외였다. “제 춤이 동포에게 기쁨과 행복을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졸업 후에도 전문 무용수로 더 높은 기량을 쌓아 동포들이 있는 곳으로 가까이 다가가 더 좋은 작품을 피로하였으면 합니다.” 결국 그녀는 오사카조선가무단의 무용가가 되었고, 지금은 지역에서 크게 사랑받는 훌륭한 무용수로서 그 목표를 이루었다. 


임추자가 민족성을 지키고 동포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자 조선춤을 추었다면, 그 후대인 서유희는 “대를 이어서 동포에게 기쁨을 주어 동포사회를 묶어내는 춤”을 추고자 한 것이다. 모든 조선가무단 출신들이 그러하듯 여기에 '내가 자라온 지역 사회에 보답하고 싶다'는 초심은 당연했다. 


재일동포 사회는 해방 직후 통일된 한반도로의 귀국을 준비하면서 조선말(한글)과 우리 문화를 배워 민족혼을 지키자는 캠페인을 전개한다. 그 결과로 1947년 재일본조선문화단체련합회(문예동의 전신)가 결성이 되었고, 총련 이전인 1948년 12월 ‘조련’ 중앙고등학원(예술학원)을 설립해 ‘문공대’ 지도자를 양성하여 1954년 2월 중앙문화선전대를 조직한다. 해방 직후 고국(한반도)으로의 귀국사업과 민족권 수호를 위해 결성된 ‘조련’은 당시 200만 명의 재일 조선인 거의 대부분이 가입한 동포 조직이다.


1965년 6월에 열린 '총련의 문화사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교토부 조선문화인대회'를 전후해 총련 결성 후 10년간의 문화사업을 총결산하고 이를 대중적으로 더욱 발전시킬 목적으로 각지에서 조선가무단(당시 명칭은 조선문선단)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 1965년 도꾜조선가무단, 오사카조선가무단, 교토조선가무단이 창설되고, 1966년 효고조선가무단, 1968년 야마구치조선가무단, 1969년 도호쿠조선가무단, 1970년 홋카이도조선가무단 등 일본의 12개 도도부현을 거점으로 최대 12개 단체가 만들어졌다. 당시의 주요 악기는 손풍금(Accordion), 장고, 가야금이었다.


처음에는 조선문선단으로 결성되었다가 1967년 말 히로시마 조선가무단 결성을 계기로 '가무단'으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그리고 1975년 3월 25일 조선회관에서 총련 지방가무단 창립 10주년 기념 모임이 개최되었다. 이 당시 가무단은 보통 십수 명의 단원이 활동을 하고 있었다.


‘화선(火線)’ 예술의 총아인 문선대는 항일운동 과정에서 시작이 되었다. 치열한 전쟁터에서 지치고 힘든 전우이자 동지들을 위로하고 다시금 전투력을 고양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전통은 그대로 해외동포사에도 남아 재중 조선족들이 1938년 10월 중국 호북성 한구에서 창립해 광서성 계림으로 거점을 옮겨 활동한 조선의용대를 시작으로 안도, 장강예술단 등이, 그리고 재일의 지방가무단으로 이어진 것이다. 민족혼을 지키며 차별과 혐한에 대항해 싸워온 동포 사회를 위로하고 공동체를 묶어주는, 그래서 동포 사회에 민족혼이 살아있다는 ‘시금석’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과거 문화선전대(문선대)라 불렸고, 이후 위문공연 등을 담당했던 국군의 홍보 부대(해군 홍보단 포함)가 그 역할을 하였다. 조선(북)에서는 ‘예술선전대’ 내지는 ‘기동예술단’으로 이 전통이 이어졌다. 조선(북)의 예술론에서 기본 원칙으로 거론하는 ‘혁명성’이 기초가 된 예술단이다. 


조선(북)에서는 해방 후 체제 형성기부터 군중 계몽과 인민 교양 사업을 위해 ‘군중문화사업’을 조직화하였다. 즉 예술이 인민 속으로 들어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조직과 체제를 구축하였다. 공식적인 예술단체 외에 민청, 여맹, 직맹, 농맹 등의 직능단체들이 인민들에 대한 선전과 동원, 예술 소조 활동을 담당하였다. 예를 들어 음악 소조는 1949년 상반기에 직장의 경우 1,740개, 농어촌 지역에 12,098개가 활동을 하였다. 이렇게 조선(북)은 전국적으로 지역의 인민들을 대상으로 한 문예조직이 군면리 단위까지 조직이 되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전쟁 기간에는 전투지역에서 “전쟁 승리에 대한 확고한 신심과 혁명적 락관주의와 정신 도덕적 우월성”을 심어주는 ‘나팔전투원’이라 불린 화선예술선전대가 활동을 한 것이다. 


재일 동포 사회의 경우에도 유사한 경우로 발전하였다. 1965년 총련에 의해 조직되기 시작한 조선가무단은 먼저 각 지역의 조청문선대를 개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배경에는 정치적 이유가 있는데, 바로 한일 수교 조약의 체결이다. 1947년 시행된 외국인 등록령에 따른 국적 등록 시에 통일된 조국으로 가겠다는 일념으로 ‘조선적(무국적자)’을 선택한 재일 조선인 사회는 ‘협정영주권’이 부여되는 한국적 취득자보다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당장 총련과 민단을 선택해야 하는 분열과 갈등이 심화가 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보다 많은 동포들에게 조선의 노래와 춤, 그리고 말을 통해 총련의 노선을 선전하고 계몽할 목적으로 결성이 된 것이다. 


냉전과 분단이라는 역사적 상처의 결과물로 생겨난 조선가무단은 비록 정치적 이유가 있었다고 하여도, 칼바람 부는 이역의 땅에서 여전한 일본 정부의 황민화(皇民化) 정책과 일본 사회의 차별과 혐오 속에서 우리말과 민족예술을 통해 민족혼을 지켜온 순기능은 부정할 수 없으며, 이것은 민족권 수호라는 성과로 나타났다. ‘예술기동선전대’인 조선가무단의 존재적 가치이다.


조선가무단은 재일 조선인 사회에 뿌리는 두고 민족음악과 조선무용, 만담(재담) 등을 통해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시절 경트럭을 타고 다니면서 동포가 있는 지역이라면 방방곡곡을 찾아가면서 활동한 이들은, 현재도 지역의 동포들이 모이는 꽃놀이 등 각종 행사나 신년회와 송년회 등 모임, 결혼식 등 경조사, 조일 친선 교류 현장 등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조선학교와 각종 직능단체와 애호가들의 소조 활동에서 민족음악과 조선무용, 화술 등을 가르치고 보급하는 일은 이들의 주요 역할이다. 동포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밀착하여 생활 현장에 직접 들어가서 다채로운 활동을 하는 조선가무단은 그래서 동포들에게 큰 사랑과 지지를 받고 있다.  


현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 중앙본부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인 김혁순(성악, 공훈배우)이 단장으로 재직한 바 있는 도쿄조선가무단은 조선가무단의 ‘맏형’ 격 단체이다. 동경을 중심으로 동일본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1967년부터 시작한 조일 우호를 위해 ‘조일 우호 촉진 의원연맹’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일본인이 참석하는 신춘모임이 유명하다. 2024년 기준 무용수 하유리(20) 등 5명이 활동하고 있다.


오사카, 나라, 와카야마 지역을 커버하는 오사카조선가무단은 재일 조선인 밀집 지역답게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공훈배우이자 전국 가무단 중 유일한 재담꾼인 조정심 단장(57)이 있어 더욱 유명하다. 무용 안무를 하는 채애리 부단장 등 8명의 단원이 활동 중이다. 


효고조선가무단은 지난 2016년 6월 25일 결단 50주년 기념 공연인 ‘꺼질 줄 모르는 민족의 넋’이란 공연에서 고베문화홀 대극장(2,000석)을 가득 채운 바 있었다. 합창과 무용 〈모란봉〉을 비롯해, 쌍무 〈행복의 니나니 난노〉, 독무 〈장고춤〉, 군무 〈소생〉, 군무 〈얄라리〉, 3인무 〈춤군들〉과 설장구와 오북놀이 농악 〈꺼질 줄 모르는 민족의 넋〉 등으로

큰 갈채를 받았다. 현재 2명의 단원이 효고현을 담당하고 있다.   


교토조선가무단은 5명의 단원들이 교토와 시가 지역을 담당하고 있다. 히로시마조선가무단은 무용수 황령실(24) 1명의 단원이 쥬시코구(中四国) 지역을 맡고 있다. 후쿠오카조선가무단은 단장 김윤기, 가수 서미향, 무용수 박리은 등 3명의 단원이 규슈와 야마구치 지역을 책임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후쿠오카조선가무단이 많이 알려져 있다. 부산의 시민단체들과 지역적,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해 후쿠오카조선가무단이 장기간 교류를 지속해 왔기 때문이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총 4년간 1억 2천여만 원을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교류 행사에 지원했다고 국민의힘 소속 모 의원이 이를 문제 삼기도 할 정도이다. 최근에는 무용수인 후쿠오카 조선가무단의 김묘수 전 단장이 〈아리아리 춤 길〉이라는 다큐 영화를 촬영하고 있다. 


조선가무단의 단원들은 지역의 조선학교에서 육성한 후진을 선발하여 체계적인 강습을 통해 예술적 기량을 조직적으로 높이고 있다. 조선(북)의 지방가무단 전습단 제도에 따라 매년 평양을 방문해 조선예술교류협회와 국립민족예술단, 조선민족음악연구소 등에서 1달여 이상을 체류하면서 교육을 받고, 그 성과를 평양연극극장 등에서 발표회를 통해 검증받고 있다. 변하는 정세와 상황, 그리고 지역의 현안 등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안무 창작과 공연 구성 및 콘티 작성은 기본적 소양이다.


생활은 그리 넉넉하지 못하다. 공연 수입과 소정의 출연료와 강사료 정도가 전부이지만 가무단 출신의 선배들과 동포들의 성금과 특히 후원회의 ‘덕질’로 가무단을 꾸려가고 있다. 조선가무단 도쿄 팬클럽의 경우 회원은 한 달 기준에 1인 1구좌 500엔을 월납하고 있다.  교토조선가무단은 ‘우리가무(urikamu) 和(하모니)’, 오사카조선가무단은 ‘얼씨구(オルシグ)’, 후쿠오카조선가무단 ‘후쿠가무(福カム)’ 등 모든 가무단의 팬클럽이 열성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재일 조선인 사회는 늘 민족의 노래와 춤이 함께 하고 있다. 그 바탕에는 조선학교의 민족교육이 있다. 그리고 1세부터 5세까지 이어져 온 민족예술의 중심에 가무단을 비롯한 많은 동포 예술가가 있다. 특히 조선가무단은 조선 민족의 가무(歌舞)로 언제 어디서나 동포들 곁에서 동포들과 마음을 나누며 함께 해왔다. 그래서 이들의 구호가 된 “기쁨도 슬픔도 함께 나누는, 동포들에게 보다 더 가까운 가무단”을 위해 지역 예술 활동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히로시마조선가무단 단장 출신의 하홍철(작곡)이 “학교에 꽃씨를 심었습니다. 땅이 흔들려도 뿌리내리는, 그런 의지로 우리 살자고”라며 노래하는 것도 바로, 절실하고 헌신적으로 동포 사회의 곳곳에서 우리의 노래와 춤과 시로 조선(한)민족이라는 ‘꽃씨’를 심고 있는 조선가무단의 신심(信心)과 정성이 아닐까 싶다. 60년 넘게 문선대의 기본 정신이었던 재일 조선인으로서의 ‘마음가짐’과 ‘진정성’을 올곧게 지켜온 조선가무단에 큰 박수를 보내는 이유이다.

 

5대 조선가무단의 온라인 특별공연의 성공에 힘입어 올해 개최되는 전국 조선가무단 연합공연 포스터

  

오사카조선가무단 동포 행사 모습(osaka-kamudan.com)

  

히로시마조선가무단 동포 행사 모습(히로시마조선가무단 페이스북)

  

후쿠오카조선가무단 동포 행사 모습(후쿠오카조선가무단 페이스북)

  

도쿄조선가무단의 1992년 조일친선 행사 모습(조선가무단 인스타그램)

 

교토조선가무단 신년 인사장(교토조선가무단 페이스북)


전국 조선가무단 무용 강습회 기념 사진 (뒷줄 가운데가 지도 강사인 리화선 금강산가극단 무용수, 앞줄 우측 끝이 오사카조선가무단 서유희 단원)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Collection

Vol. 120-1 (2025.8.5.) Issue

Written and photos provided by Lee Cheol-ju (Cultural Planner)



Dondolari, A story of Korean dance waiting for a New Day(6) Descendants of Choi Seung-hee 2: Joseon Dance Troupe



What are the thoughts of Korean dancers in Japan? The answer came from Seo Yu-hee, currently a dancer with the Osaka Joseon Dance Troupe.


In July 2017, at the invitation of the Central Committee Chairperson of the Literary Arts Association, Seo Yu-hee attended the 10th Dance Competition (hosted by the Alliance of Korean Writers and Artists in Japan) held at the Nagaoka Memorial Cultural Center in Kyoto Prefecture. At the time, Seo Yu-hee, a third-year student in the advanced division of Osaka Johoku High School's dance troupe, won the gold medal for her solo dance, 〈Cheonan Samgeori〉. This was the result of nearly six months of practice at the local My Joseon Dance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to the school's dance troupe training. She possessed excellent physical condition and outstanding skill. Her understanding of the work's intent and meaning was particularly evident, demonstrating a skill level that belied her student status.


With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dancer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star dancers Song Young-sook and Lee Hwa-seon in the Japanese dance scene since 2000, I assumed she would naturally pursue a degree in dance at Chosun University or audition for the Geumgangsan Opera Company. Seo Yu-hee's response was unexpected. "I hope my dance brings joy and happiness to my fellow Koreans. After graduation, I hope to further develop my skills as a professional dancer, reach out to my fellow Koreans, and present even better works." She eventually became a dancer with the Osaka Korean Dance and Dance Company, and today, as a highly respected dancer in the local community, she has achieved that goal.


If Lim Chu-ja performed Joseon dance to preserve her ethnic identity and inspire hope and courage in her fellow Koreans, Seo Yu-hee, her successor, aspires to "carry on the dance that brings joy to her fellow Koreans and unites the Korean community." Like all former members of the Joseon Song and Dance Troupe, the original intention was to "give back to the community where I grew up."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launched a campaign to preserve their national spirit by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Hangeul) and culture in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a unified Korean Peninsula.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the Korean Cultural Organizations Association in Japan (predecessor of the Munyedong) in 1947. In December 1948, before the establishment of Chongryon, the "Joryon" Central High School (Arts Academy) was established to train leaders for the "Bun-gong-dae," and in February 1954, the Central Cultural Propaganda Corps was established. Form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o support the return to their homeland (the Korean Peninsula) and protect their national rights, "Joryon" was an organization comprised of nearly all of the two million Koreans in Japan at the time.


Around the "Kyoto Prefecture Korean Cultural Personnel Conferenc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Chongryon's Cultural Projects" held in June 1965, Korean song and dance troupes (then called the Korean Music and Dance Troupe) were formally formed across Japan to summarize the cultural projects of the past ten years and further develop them for the general public. The Tokyo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Osaka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and Kyoto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were founded in 1965, followed by the Hyogo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in 1966, the Yamaguchi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in 1968, the Tohoku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in 1969, and the Hokkaido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in 1970. A total of twelve troupes were formed, based in each of Japan's twelve prefectures. The primary instruments at the time were the accordion, janggu, and gayageum.


Initially formed as the Joseon Munseondan, the name was unified as "Gamudan" (Gamudan) in late 1967 with the formation of the Hiroshima Joseon Song and Dance Troupe. On March 25, 1975, a gathering commemorating the 1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Chongryon Regional Song and Dance Troupe was held at the Joseon Hall. At the time, the troupe typically comprised around a dozen members.


Munseondae, the pinnacle of "hwaseon" (fire line) art, originated during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fierce battlefield, they served as comrades, comforting and rekindling the fighting spirit of their weary and exhausted comrades. This tradition continues in the history of overseas Koreans, beginning with the Joseon Volunteer Corps, founded by Koreans living in China in Hankou, Hubei Province, in October 1938 and relocating to Guilin, Guangxi Province. This tradition continues today with the Ando and Yangtze River Art Troupes, and then with regional song and dance troupes in Japan. It served as a "touchstone" proving the vitality of the national spirit in Korean society, providing comfort and unity for the Korean community that had fought against discrimination and anti-Korean sentiment while preserving the national spirit.


In South Korea, it was formerly known as the Cultural Propaganda Corps (Munseondae), and later, the military's public relations unit (including the Navy's Public Relations Corps), which was responsible for comfort performances, assumed this role. In North Korea (Korea), this tradition continued as the "Art Propaganda Corps" or "Mobile Art Troupe." These art troupes were found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revolutionary spirit," a principle espoused in North Korean art theory.


From the period of regime formation after liberation, North Korea organized "mass cultural projects" to enlighten and educate the masses. In other words, it established organizations and systems that enabled art to reach and influence the people. In addition to official art organizations,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Democratic Youth League, the Women's League, the Workers' League, and the Farmers' League were responsible for propaganda, mobilization, and art group activities. For example, in the first half of 1949, there were 1,740 music groups in workplaces and 12,098 in rural areas. In this way, North Korea (North Korea) established nationwide literary and artistic organizations targeting the people, even down to the county, township, and village level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Hwaseon Art Propaganda Corps, known as "Trumpet Combatants," operated in combat zones, instilling "firm faith in victory, revolutionary optimism, and a sense of spiritual and moral superiority."


Similar developments occurred i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The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organized by Chongryon in 1965, was initially formed by reorganizing the Chosun and Qing literary troupes in each region. This development was driven by political considerations, namely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who chose "Chosun-jeok" (stateless) status when registering nationality under the Alien Registration Ordinance implemented in 1947, with the sole intention of relocating to a unified homeland, inevitably found themselves at a disadvantage compared to those granted "conventional permanent residency." The immediate choice between Chongryon and Mindan deepened the division and conflict. For this reason, the Chosun Song and Dance Troupe was formed to promote and enlighten Chongryon's policies to a wider compatriot base through Korean song, dance, and language.


While the Chosun Song and Dance Troupe, born from the historical wounds of the Cold War and division, may have been politically motivated, its positive role in preserving the national spirit through Korean language and folk art in a foreign land swept by the harsh wind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imperialization policy and the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Japanese society cannot be denied. This has resulted in the protection of national rights. This is the very essence of the Chosun Song and Dance Troupe, a "mobile propaganda force."


The Joseon Song and Dance Troupe, deeply rooted i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engages in artistic activities through folk music, Korean dance, and mandam (comic comedy). In the past, they traveled by light truck, visiting every region where their compatriots were present. Today, they perform at various events where local Koreans gather, such as cherry blossom viewings, New Year's and year-end parties, weddings, and other celebratory occasions, as well as at events promoting Korea-Japan friendship exchanges. Their primary role is to teach and disseminate folk music, Korean dance, and Korean art through local Korean schools,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mall groups of enthusiasts. This close connection to the communities where Koreans live, directly engaging in diverse activities, and thus earning their deep affection and support, has earned them immense love and support.


The Tokyo Joseon Song and Dance Troupe, formerly led by Kim Hyeok-soon (vocalist, distinguished actor), currently Vice Chairman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Central Headquarters of the Korean Literary and Artists' Alliance in Japan, is the "elder brother" of the Joseon Song and Dance Troupe. It operates in eastern Japan, centered in Tokyo. The New Year's gathering, attended by many Japanese, including members of the "Parliamentary League for the Promotion of Korea-Japan Friendship," which began in 1967 to promote Korea-Japan friendship, is particularly well-known. As of 2024, five members, including dancer Ha Yuri (20), are active.


The Osaka Korean Dance Troupe, covering the Osaka, Nara, and Wakayama regions, is actively engaged in activities befitting a regio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Koreans in Japan. Its fame stems from its director, Cho Jeong-sim (57), a distinguished actor and the only comedian among the national dance troupes. Eight members, including Vice Director Chae Ae-ri, a choreographer, are active.


The Hyogo Korean Dance Troupe filled the Kobe Cultural Hall Grand Theater (2,000 seats) with a performance titled "The Undying Spirit of the Nation,"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on June 25, 2016. The chorus and dance 〈Moranbong〉, the duo dance 〈Happiness's Ninani Nanno〉, the solo dance 〈Janggo Dance〉, the group dance 〈Sosang〉, the group dance 〈Yalari〉, the trio dance 〈Chumgundeul〉, and the seoljanggu and Obuknori 〈The Unquenchable Spirit of the Nation〉 were among the many performances that received rave reviews. Currently, two members cover Hyogo Prefecture.


The Kyoto Korean Music and Dance Troupe, with five members, covers the Kyoto and Shiga regions. The Hiroshima Korean Music and Dance Troupe, with dancer Hwang Ryeong-sil (24), covers the Chushikoku (Central Four Provinces) region. The Fukuoka Korean Music and Dance Troupe, with three members—leader Kim Yun-gi, singer Seo Mi-hyang, and dancer Park Ri-eun—covers the Kyushu and Yamaguchi regions.


The Fukuoka Korean Music and Dance Troupe is well-known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Fukuoka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has maintained long-term exchanges with civic groups in Busan due to their regional and historical uniqueness. A lawmaker from the People Power Party even raised the issue of the Arts Council Korea providing approximately 120 million won (approximately $100,000 USD) in support of exchange events over a four-year period from 2019 to 2022. Recently, Kim Myosu, a dancer and former director of the Fukuoka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is filming a documentary titled 〈Ariari Dance Road〉.


The members of the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select young talents from local Korean schools and systematically cultivate their artistic skills through systematic training. Under the North Korean system of training troupes in local song and dance, they visit Pyongyang every year to receive training at institutions such as the Korean Arts Exchange Association, the National Folk Arts Troupe, and the Korean Folk Music Research Institute, where they receive over a month of training. Their achievements are then validated through performances at venues like the Pyongyang Theater. Choreography, performance composition, and storyboard writing are fundamental skills for agile response to changing political situations, circumstances, and local issues.


Living is not particularly comfortable. Performance income, small appearance fees, and lecture fees are all they have. However, they sustain the troupe through donations from former troupes, fellow compatriots, and especially the "fan service" of supporters. The Tokyo fan club of the Joseon Gamudan pays a monthly fee of 500 yen per member. Fan clubs for all troupes, including the Kyoto Joseon Gamudan's "Urikamu (Uri-mu) Harmony," the Osaka Joseon Gamudan's "Orshigu (Orshigu)," and the Fukuoka Joseon Gamudan's "Fuku-gamu (Fuku-gamu)," are actively engaged.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has always been alive with national song and dance. This is rooted in the national education of Korean schools. At the heart of this national art, passed down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fifth, lie numerous Korean artists, including song and dance troupes. The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in particular, has always stood by its compatriots, sharing their hearts with them through Korean song and dance. Therefore, they are dedicated to regional artistic activities, striving to become a troupe that shares both joy and sorrow, closer to our compatriots.


Ha Hong-chul (composer), former director of the Hiroshima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sings, "We planted flower seeds in the school. Let us live with the will to take root even when the ground shakes." This, I believe, reflects the sincerity and dedication of the Korean Song and Dance Troupe, which, with their earnest and dedicated efforts, is planting the "flower seeds"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song, dance, and poetry throughout Korean communities. This is the reason why we give a big round of applause to the Joseon Dance Troupe, which has uprightly maintained the ‘attitude’ and ‘sincerity’ of Zainichi Koreans, which have been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Moonsun University for over 60 years.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