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트 요스는 독일의 현대무용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수년 전 타계했으나 현재까지도 탄츠테아터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피나 바우쉬의 스승이다.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신문은 요스를 두고 “독일 무용계에서 예술적으로 유의미하고 훌륭하며, 정석적인 것의 모범이 되는 안무가”이자 세계 무용계에 있어서는 “독일 안무가 그 자체(der deutsche Choreograph schlechthin)”였다고 쓴 바 있다.
1901년 슈투트가르트의 교외에 있는 바서알핑엔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요스는 가업을 물려받는 대신 슈투트가르트 음악학교에 진학하여 예술가의 길을 걷기로 한다. 재학 시절에 루돌프 폰 라반을 만나 무용계에 입문한 요스는 만하임, 슈투트가르트, 함부르크를 거치며 1919년부터 1924년까지 라반의 휘하에서 활동했다. 당시에 함께 했던 동료 지구르트 레더와 협업하여 스스로 안무를 창작하기 시작한다.
1924년 요스는 뮌스터 오페라의 예술감독이었던 한스 니데켄-게브하르트의 초빙으로 노이에 탄츠뷔네(die Neue Tanzbühne)라는 무용단을 설립한다. 당시의 공연들에 대하여 라반의 표현주의로부터 벗어나 움직임 안에 사회적 정체성의 코드화에 대한 풍자적이고 그로테스크한 해설을 담아냈다는 찬사를 받는다. 1926년 요스는 레더와 함께 파리와 빈에서 발레를 공부한다. 요스는 곧 발레를 진부하고 무력하다고 생각하게 되지만, 그 자신의 미학을 언제나 ‘표현주의 무용(Ausdruckstanz)’보다는 ‘새로운 발레(new ballet)’로 자처하였다.
파리와 빈 시기 이후 에쎈 주는 폴크방슐레를 설립하고 요스를 초빙하여 그곳에서 사사하도록 한다. 요스가 폴크방-탄츠뷔네(Tanzbühne, 댄스신)을 위하여 창작한 작품들로는 <아기의 죽음을 위한 파반느(Pavane auf den Tod der Infantin)>(1929), <대도시(Große Stadt)>(1932), <구 빈에서의 무도회(Ball im alten Wien)>(1932)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그린테이블(Der grüne Tisch)>(1932)가 파리의 국제무용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요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가져다 준다. <그린테이블>은 요스의 작품들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으로, 표현주의적인 가면의 사용, 재기 발랄하게 과장된 움직임, 폭력적인 장면 효과가 돋보이며 서구사회의 관료주의, 외교적 몸짓, 정치적 위선 등에 대한 강렬한 풍자를 담은 작품이다.
나치와 연관되었던 마리 뷔그만이나 루돌프 폰 라반 혹은 그렛 팔루카와는 달리 쿠르트 요스는 유대인 동료를 쫓아내기를 거부하고, 나치의 공격을 피해 1933년에 망명을 떠난다. 요스발레단라는 이름으로 그는 자신의 무용단과 함께 네덜란드를 거쳐 영국에서 활동한다. 전쟁 이후 그의 발레단은 전 유럽을 순회하며 공연하였고, 1946년에 뉴욕에 입성하게 된다. 1년 후 그는 무용단을 해산하고, 산티아고 데 칠레로 가서 칠레 국립발레단의 객원 강사이자 안무가로 일하다가 1949년 에쎈으로 귀환하여 폴크방슐레 무용학과를 맡게 된다. 1963년 폴크방슐레가 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쿠르트 요스는 교수직을 받게 되고 무용연구소의 소장으로 임명된다. 1968년에 퇴임 후 그는 얼마간 탄츠뷔네에서 활동하다가 1973년까지 잘츠부르크 축제극장에서 일한다. 독일 탄츠테아터의 단초를 세웠던 요스는 1979년에 자동차 사고로 운명을 달리하였다.
현대무용에 대한 요스의 새로운 인식은 유럽 무용계에 신선한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요스는 탄츠테아터를 통해 현대무용이 순수성이나 자율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연극성(theatricality)이 가진 장점들, 즉 가면, 소도구, 눈길을 사로잡는 의상, 강력한 조명 효과뿐만 아니라 ‘삶 자체로부터 나온’ 제스처들의 매혹까지도 온전히 흡수하기를 기대했다. ‘독일 안무가 그 자체’라는 찬사를 받았던 안무가 쿠르트 요스의 탄츠테아터는 어떤 것이었는지 잠시나마 엿볼 수 있도록 그의 딸 안나 마카드가 조프리발레단과 재연한 <그린테이블>(Kultur Films, 2000)의 영상을 첨부한다.
글_ 기자 심온
참고자료_
1. Karl Toepfer, ‘Jooss, Kurt (1901–1979)’,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first published 2004
http://www.oxforddnb.com/index/60/101060590/
2. Patricia Stöckemann, „Etwas ganz Neues muss nun entstehen – Kurt Jooss und das Tanztheater“, hg. vom Deutschen Tanzarchiv Köln/SK Stiftung Kultur, Verlag K. Kieser München, 2002, 478 S.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댄스포스트코리아는(은)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보호를 매우 중요시하며, 이용자가 회사의 서비스를이용함과 동시에 온라인상에서 회사에 제공한 개인정보가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있습니다. 이에 회사는 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관한 법률 등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가 준수하여야 할 관련 법규상의 개인정보보호 규정 및정보통신부가 제정한 개인정보보호지침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 취급방침을 통하여이용자들이 제공하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 드립니다
회사는 개정된 정보통신망법 제22조 1항, 제24조의2 제1항, 제25조 1항의 내용을 통해 댄스포스트코리아의 이용자들이 제공하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리고, 동의를 받기위해 아래 고지합니다.
자세히 읽어보시고 동의 여부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목적
"개인정보"라 함은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당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명, 연락처등의 사항에 의하여 당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당해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포함)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댄스포스트코리아 서비스는 별도의 사용자 등록이 없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상담서비스를 통하여 이용자들에게 맞춤식 서비스를 비롯한 보다 더 향상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 개인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이용자의 사전 동의 없이는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며, 수집된 정보는 아래와 같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첫째, 이용자들이 제공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더 유용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신규 서비스개발이나 컨텐츠의 확충 시에 기존 이용자들이 회사에 제공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개발해야 할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정하고, 회사는 이용자들이 필요로 할 컨텐츠를 합리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둘째,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과 수집 및 이용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명 , 이메일주소, 휴대폰번호 : 예약 및 상담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 확인 절차에 이용
-기타 선택항목 : 개인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
-IP Address, : 불량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와 비인가 사용 방지
2.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및 수집방법
회사는 이용자들이 상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담요청을 등록할 때 필수적인 정보들을 온라인상에서 입력 받고 있습니다. 상담입력할 때 필수적인 정보는 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입니다. 또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이용자들이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사항으로서 상담내용 등을 입력 받고 있습니다.
3.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이용자가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회사는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계속적으로 보유하며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이용합니다. 다만, 아래의 "6. 이용자 자신의 개인정보 관리(열람,정정,삭제 등)에 관한 사항" 에서 설명한 절차와 방법에 따라 회원 본인이 직접 삭제하거나 수정한 정보, 가입해지를 요청한 경우에는 재생할 수 없는 방법에 의하여 디스크에서 완전히 삭제하며 추후 열람이나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처리됩니다.
그리고 "2.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및 수집방법"에서와 같이 일시적인 목적 (설문조사, 이벤트, 본인확인 등)으로 입력 받은 개인정보는 그 목적이 달성된 이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재생이 불가능한 상태로 처리됩니다.
귀하의 개인정보는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달성되면 파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회사는 불량 상담의 부정한 이용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계약 해지일로부터 1년간 해당 상담고객의 연락처,이메일주소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회사는 귀중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며, 유출의 방지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위탁처리
댄스포스트코리아는(은)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 귀하의 개인정보를 어떠한 업체에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 개인정보의 처리를 위탁하거나 제공하는 경우에는 수탁자, 수탁범위, 공유 정보의 범위 등에 관한 사항을 서면, 전자우편, 전화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귀하에게 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