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집단리뷰

파도를 수행하다, 파도를 조형하다: 초록고래의 〈조형하는 파〉

집단리뷰

Vol.122-1 (2025.10.5.)발행


필진_ 송준호, 장지원, 조성열, 최해리

편집_ 장지원, 최해리, ChatGTP

사진제공_ 초록고래


 

양병현 예술감독이 이끄는 초록고래는 최근 ‘파도-되기’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리서치와 공연을 전개해 왔다. 2024년 전통공연창작마루 광무대의 ‘젊은춤축전-온스테이지’에서 15분 분량의 3인무용으로 초연된 〈파(波)〉는 맴돌고 밀려나며 빛과 부딪히는 신체의 흐름을 통해 파도의 윤슬을 시각화한 소품이었다. 그러나 2025년 신작 〈조형하는 파(波), Coiling Wave〉는 이 실험을 전례 없이 확장하여, 일곱 명의 무용수와 네 시간의 러닝타임을 아우르는 대규모 작업으로 거듭났다. 이번 공연은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의 제1파워플랜트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이루어졌는데, 공연장이 아닌 공장형 노출 콘크리트 건물에서 전시 공연으로 시도한 자체가 관객의 기대를 자극했다.


 

사진 김하영 (@ha_iroo)

 

무대에는 시멘트 바닥 위에 겹겹이 쌓은 천이 파도와 모래사장을 상징하며 펼쳐졌다. 벽 쪽으로는 하늘거리는 블루톤의 천이 무대막처럼 걸려 있어 수평선과 맞닿은 하늘을 연상시켰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무용수 한 명이 바디톤 의상을 입고 무생물처럼 누워 있었고, 관객이 입장하면서 그 존재는 점차 파동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옆으로 구르고 밀려나며 파도에 휩쓸리듯 반복되는 동작은 차츰 다른 무용수들을 불러내어, 둘, 셋, 일곱 명으로 신체의 파동이 증식해 갔다. 남녀 구분 없이 동일한 의상과 자세로 수행하는 이 움직임은 파도의 집단적 에너지를 개인 신체의 반복에서 출발해 집합적 리듬으로 변주해 냈다.


이러한 전개는 흔히 파도를 모티프로 한 군무적 스펙터클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정확히는 ‘파도가 되는 수행’을 콘셉트로 하여 끝없이 반복되는 감기(coiling)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심상을 관객에게 전이하는 데 주력한다. 따라서 기술적 장치나 영상 효과에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몸과 공간, 그리고 관객의 체류만으로 파도의 물리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파도의 묘사’가 아니라 ‘파도가 되는 수행’에 집중하는 명확한 태도는 이 공연이 단순한 재현적 무용이 아니라 수행적 체화로 자리매김하는 지점을 잘 보여준다.


 

사진 김하영 (@ha_iroo)

 

〈조형하는 파〉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첫 3시간은 〈파〉라는 제목으로 관객에게 열려 있으며,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구조 속에서 무용수들의 ‘파도-되기’ 수행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은 특정한 서사를 배제한 채 호흡과 반복을 통해 자연의 리듬을 신체에 각인하는 명상적 체험을 지향했다. 관객은 때로는 무심하게, 때로는 몰입적으로 흐름을 따라가며 각자 다른 시간을 경험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마지막 1시간, 본 공연 〈조형하는 파〉에서는 입퇴장이 제한되었다. 안무가는 관객을 다시금 한 자리에 모아 놓고, 앞서 축적된 수행의 에너지를 농축된 안무로 재해석했다. 파도에 의해 ‘조형된’ 인간 존재가 극적으로 드러나며, 무용수의 신체는 파도의 충돌과 흘러내림 등의 역학을 최소화된 동작 스코어로 형상화되었다. 이때 파도는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무용수와 정면으로 조우하는 실체가 되었다. 개별 신체와 자연의 거대한 에너지가 교차하는 장면에서 지난한 시간의 체류가 만들어낸 의미를 체감하게 만들었다.


이 작품은 분명 포스트휴머니즘적 맥락을 지닌다. 인간을 중심에 두기보다, 신체를 물리적 원리와 접속시켜 ‘자연-되기’를 수행하려는 시도는 행위적 실재론에 근접한 예술적 태도라 할 수 있다. 무용수는 단순히 파도를 모사하지 않고, 파도의 운동 그 자체로 자신을 동조시키며 자연과 공존하는 방식을 탐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적 지향은 모든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와닿지는 않았다. 긴 러닝타임 속에서 반복되는 느린 움직임은 몰입을 요구하지만 동시에 피로와 이탈을 초래했다. 마지막 1시간의 집중 관람은 의도적으로 에너지를 압축했으나, 자유로운 관람에서 폐쇄적 관람으로 전환되는 지점은 일부 관객에게 감정적 장벽으로 작용했다. 결과적으로 이 공연은 몰입과 피로, 사유와 추상, 열림과 닫힘 사이의 긴장을 관객에게 동시에 안겨주었으며, 그것이 성취이자 과제로 남았다.


공연 장소인 파워플랜트는 노출 콘크리트와 배관, 밸브가 드러난 공간이었다. 이는 파도의 유체역학적 개념과 맞닿으며 독특한 시각적 맥락을 제공했지만, 자연광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지적된다. 커튼을 활용해 빛의 변화를 시도했으나 자연광의 움직임과는 달리 제한적 효과에 머물렀다. 파도라는 주제에 걸맞은 시간성과 빛의 활용을 더욱 세밀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드러낸 대목이다.


 

사진 신민경

 

 

사진 신민경

 

최근 한국 컨템퍼러리댄스는 개념적 무용의 전성기를 지나 다시금 신체성과 움직임 자체로 회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초록고래의 〈조형하는 파〉는 이 흐름 속에서 신체 수행과 움직임의 힘을 집요하게 탐구한 사례로 기록될 만하다. 기술적 스펙터클이 아닌 신체의 반복과 변주로 파도를 환기한 시도는 젊은 안무가의 패기와 도전 정신을 드러내는 동시에 한국 현대무용의 새로운 지평을 제안한다.


〈조형하는 파〉는 관객에게 쉽지 않은 경험을 요구한다. 네 시간이라는 긴 시간, 반복되는 단순한 움직임, 추상적인 철학은 결코 친절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 속에서 공연은 한편으로는 지루함을, 다른 한편으로는 몰입과 각성을 동시에 선사한다. 그것은 바로 파도의 속성, 끊임없이 밀려오고 사라지는 자연의 리듬과 닮아있다. 초록고래의 이번 작업은 ‘파도 되기’라는 수행을 통해 무용이 단순한 표현을 넘어 자연과 세계를 사유하는 방식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향후 이 실험이 공간과 관객 경험의 설계, 감각적 완급 조절에서 더 정교한 성취를 보여준다면, 초록고래는 한국 현대무용의 중요한 좌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파도를 수행하고, 파도를 조형한 이 작업은 분명 지금 우리 무용계가 지향해야 할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Collective Review

Vol. 122-1 (2025.10.5.) Issue


Written by Song Jun-ho, Jang Ji-won, Jo Seong-yeol, Choi Haeree

Edited by Jang Ji-won, Choi Haeree, ChatGTP

Photos provided by Chorok Whale



Performing Waves, Sculpting Waves: Chorok Whale's 〈Coiling Wave〉



Leaded by Artistic Director Yang Byung-hyun, Chorok Whale has recently developed independent research and performances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becoming waves." 〈Waves〉, a 15-minute trio piece premiered at the 2024 "Young Dance Festival - On Stage" at the Traditional Performance Creation Maru Gwangmudae, visualized the fluidity of waves through the flow of bodies swirling, repelling, and colliding with light. However, the new 2025 work, 〈Coiling Wave〉 expanded this experiment to an unprecedented extent, transforming it into a large-scale work encompassing seven dancers and a four-hour running time. This performance took place in the unique space of the First Power Plant on the Gwanak Campu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very act of attempting this as an exhibition performance in a factory-style exposed concrete building, rather than a concert hall, piqued audience anticipation.


On stage, layers of fabric unfolded on a cement floor, symbolizing waves and sandy beaches. A fluttering blue-toned cloth hung like a curtain against the wall, evoking the sky touching the horizon. Before the performance began, a dancer, clad in a body-tone costume, lay there, seemingly inanimate. As the audience entered, this presence began to create ripples. The repetitive movements, rolling and pushing sideways, as if swept by the waves, gradually summoned other dancers, and the wave-like movement of the body multiplied into two, three, and then seven. Performed in identical costumes and postures by both men and women, this movement transformed the collective energy of waves into a collective rhythm, starting from the repetition of individual bodies.


This development stands out sharply from the common wave-themed corps spectacle. More precisely, it focuses on conveying to the audience the diverse imagery derived from the endless coiling movement, embodying the concept of "performance as a wave." Therefore, without relying on technical devices or visual effects, it explores the physicality of waves solely through the bodies, space, and the audience's presence. This clear focus on "performance as a wave," rather than "depicting the wave," clearly demonstrates how this performance positions itself not as a mere representational dance but as a performative embodiment.


〈Coiling Wave〉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three hours, titled 〈Wave〉 were open to the audience, allowing them to witness the dancers' "becoming-wave" performance within a freely accessible structure. This process, excluding specific narratives, aimed to create a meditative experience, imprinting the rhythm of nature on the body through breathing and repetition. The audience could follow the flow, sometimes absentmindedly, sometimes immersively, experiencing different moments in time. However, during the final hour of the main performance, 〈Coiling Wave〉 entry and exit were restricted. The choreographer brought the audience together again and reinterpreted the accumulated energy of the performance through concentrated choreography. The human being "formed" by the waves was dramatically revealed, and the dancer's body was shaped by the dynamics of the waves' crash and swell, expressed through a minimalist movement score. The waves were no longer a backdrop but a real entity that directly confronted the dancer. The interplay of individual bodies and the immense energy of nature made the audience tangibly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ir long stay.


This work clearly embodies a posthumanist contex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human, the attempt to connect the body to physical principles and perform "becoming-nature" can be considered an artistic approach akin to agential realism. The dancers didn't simply mimic the waves, but instead align themselves with the movement of the waves themselves, exploring ways to coexist with nature. However, this philosophical orientation didn't resonate directly with all audiences. The repetitive, slow movements throughout the long running time demanded immersion, but also led to fatigue and disengagement. The final hour of intense viewing intentionally compressed the energy, but the transition from free viewing to closed viewing acted as an emotional barrier for some. Ultimately, the performance simultaneously evoked tensions between immersion and fatigue, contemplation and abstraction, and openness and closure, which remained both an achievement and a challenge.


The performance venue, a power plant, was a space with exposed concrete, pipes, and valves. This provided a unique visual context, connecting with the fluid dynamics of waves. However, the lack of sufficient use of natural light was a disappointment. Curtains were used to alter the light, but unlike the movement of natural light, the effect was limited.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more meticulous research into the temporality and use of light appropriate to the theme of waves.


Recently, Korean contemporary dance has been moving beyond the heyday of conceptual dance and is returning to physicality and movement itself. Chorokgorae's "Formative Wave" stands as a remarkable example of this trend, persistently exploring the power of physical performance and movement. This attempt to evoke waves through physical repetition and variation, rather than through technical spectacle, demonstrates the young choreographer's passion and challenging spirit, while also suggesting a new horizon for Korean contemporary dance.


〈Coiling Wave〉  presents a challenging experience for the audience. The four-hour duration, repetitive simple movements, and abstract philosophy are by no means friendly. Yet, within these conditions, the performance simultaneously offers a sense of boredom, yet immersion and awakening. This resemblance to the nature of waves, the constant surging and receding rhythm of nature. Chorokgorae's latest work, through the practice of "becoming a wave," suggests that dance can transcend mere expression and become a means of contemplating nature and the world. If this experiment continues to demonstrate even more sophisticated achievements in the design of space and audience experience, as well as in the control of sensory pacing, Chorok Whale will establish itself as a significant landmark in Korean contemporary dance. This work, which performs and shapes waves, clearly poses questions about what the dance world should be pursuing toda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