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인간의 원초적 본능과 양성성의 표출이 돋보였던 - Ivgi & Greben,


 

 올해로 30회를 맞이하며 한국의 무용을 세계로 넓히고자 노력해 온 국제현대무용제(MODAFE)가 새로운 주제로 그 시작을 알렸다. 5월 18~5월 29일까지 국내외 무용단들의 작품, 다양한 부대행사들과 더불어 이뤄진 행사의 주제는 ‘Beauty. beyond Body…' 였다. 이중 필자는 23일 대학로 아르코극장에서 네덜란드의 Uri Ivgi와 Johan Greben의 작품 를 통해 신체의 움직임만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얼마만큼 제시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에 집중했다. 는 2011년 3월 26일 암스테르담에서 초연해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안무가 Uri Ivgi와 Johan Greben는 각각 1990~1997년 이스라엘 키부츠 현대무용단과 1985~1995년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서 활동하다가 안무가로서 데뷔했다. 이후 2002년 헝가리 Szeged Contemporary Ballet Company 초청으로, <카르멘>을 새로운 버전으로 선보이며 이들의 첫 공동 작업이 이뤄졌고, 다수 국제페스티벌에서 큰 성공을 가져다주었다고 한다.

 

 

 초연에서는 10분짜리로 제작된 것이었으나 큰 성공 이후 20분짜리 긴 작품으로 발전된 경우인데, 지난달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현대무용제에서 최고 안무가상을 받으며 유럽에서 차세대 주자 가운데 하나로 주목받았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무용의 본질인 신체와 움직임에 주목하며 다른 요소들을 배제했다는 점이다. 화려한 영상이나 조명, 음악, 전시, 콘서트, 퍼포먼스의 혼합양상을 수용해 ‘멀티디시플리너리(multidisciplinary, 여러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의 의미)’라는 단어로 포괄되는 무용의 최근경향에 반기를 든 것이다. 따라 서 이들의 작품은 또 다른 시각에서 ’Beauty. belong Body‘'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아름다움이란 미추(美醜)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가 가지는 본질적 아름다움을 의미했다. 또한 ’19세 미만 관람 금지‘라는 전제 하에 선정성을 기대했던 관객에게 작품은 또 다른 불순함으로 도전했는데 그것은 양성성의 개념에 근거한 듯하다. 우리가 무용에서 기대하는 아름다운 신체와 기존의 성역할에 충실한 무용수를 벗어나 무대 위에서 춤추는 존재는 하나의 대상 그 자체인 것이다.

 

 실제 공연에서 첫 도입부에서 어두운 무대 위에 검은 테이프로 입을 막고 포장 랩 같은 투명 비닐로 몸을 꽁꽁 둘러싸인 채 사람이 서있다. 이후 무음악에 동물적 움직임에 가까운 몸짓 혹은 과감한 성적 어필로(토플리스-topless와 거부감이 들 정도로 다리를 벌려 관객석을 향하는 등의 행위)보는 이를 당황케 하기도 했다. 탄탄한 근육질의 팔과 다리, 과격한 움직임만을 주목한다면 남성 같지만 신체는 분명히 여자의 몸이다. 그러나 뒤로 꺾인 팔을 사용치 않고 골반을 뒤틀리기도 하고, 바닥에 밀착한 상태에서 어깨만 붙이고 관절범위를 벗어난 동작들을 선보일 때 우리는 인간의 신체가 갖는 유연함과 격렬한 에너지, 그 자유로움에 남성과 여성의 구분을 할 사이가 없다. 음악이 배제돼 있는 순간의 몸짓에선 무용수의 거친 숨소리와 바닥에 부딪히는 소리가 배경음악이 되기도 하고, 빨라지는 음악에서는 역설적으로 미니멀하게 움직임으로 해서 주의를 집중시키며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그 이상의 무엇을 표출하는 경향을 보였다. 후반부 그녀는 입에 붙인 테이프를 떼어내고 상수 쪽에서 뒷모습으로 상체 비닐 옷을 찢어버린 채 에너지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 상체동작만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누군가는 기존 성역할에 근거해 Ivgi&Greben의 공연에서 여성무용수의 근육질 몸매와 과감하고 남성적인 힘에 성정체성을 의심할 정도였다. 또한 보수적인 관객들에게는 친밀감을 경험케 하기보다는 그 격정적인 몸짓으로 인해 불편한 상황을 연출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을 붕괴시키며 중성적 매력과 최고치의 에너지를 발산하는 그녀의 본질적 움직임들은 원초적 본능에 가까웠고, 양성성을 지닌 인간존재 자체로서 의미를 지녔다. 이처럼 신체가 보여주는 단순 명료한 움직임이 진솔하게 다가오는 것은 신체라는 대상에 집중해 다른 매체의 도움 없이도 그 무엇보다 강렬한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무대였고, 모호한 성 구분은 현대무용의 진보적 철학과도 부합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 난해함으로 인해 이들이 던지는 화두를 정확히 이해하기는 힘들었으나 저변에 깔린 의도를 희미하게나마 유추하고 되새길 수 있는 시간이었다.

 

 

글_ 장지원(무용평론가,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사진_ 모다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