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6~17일 부산 민주공원 중극장에서 Dance Project EGERO(대표 강건, 이하 ‘에게로’)의 5번째 정기공연 <수구루지>(안무·연출 이용진)가 무대에 올랐다. 지난 공연들과 다르게 <수구루지>는 ‘오락 무용’을 표방한다. 에게로의 설명에 따르면 <수구루지>는 ‘처음 보지만 낯설지 않은 이야기, 동서양 이야기들이 그림과 판소리, 전통 연희와 어우러진 오락 무용’이다. ‘오락(娛樂)’은 사전적 의미로 ‘재미를 즐기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재미를 위한 춤이라지만 ‘오락 무용’이란 단어가 친근하지는 않다. 아마 ‘오락’이란 단어가 ‘예능’이나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라는 단어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기 때문이지 싶다.
생각해보면 종교·의례적 목적 말고는 대부분 춤을 즐기기 위해 춘다. 그러니 ‘오락’은 춤의 중요한 기능이다. 민속춤에는 여전히 ‘오락적’ 요소가 남아 있지만, 이른바 창작 춤(현대무용, 한국 무용)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오락’을 위한 춤은 특별한 주제 없이 동작을 위한 소재 정도면 충분하다. 이에 비해 창작 춤은 주제가 필요하다. 주제는 하나의 창작 춤이 지향하는 바이고 춤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도구가 된다. 여기에서 춤은 오락성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로 예술로 불린다. 예술의 속성에도 오락성, 즉 즐거움을 위한 것이 있지만, 많은 예술가는 그것을 선택하지 않는다.
에게로의 <수구루지>가 오락 무용을 표방한 것으로 의도했든 아니든 춤이 잃어버린 본래의 가치 중 하나를 찾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수구루지>는 여러 이야기가 얽힌 이야기이다. 이야기의 이야기인 셈이다. 여기에 들어 있는 이야기의 면면을 살펴보자, 에게로의 다른 작품인 <사자 who>에서 <북청 사자놀음> 부분, <별주부전>, <빨간 망토>, <수영야류 제3과장>, <심청전>, <오즈의 마법사>, <크리스마스 캐럴(스크루지)> 등이다. 자신들이 창작한 작품을 비롯해 소설, 판소리, 탈춤을 망라했다.
<수구루지> 이야기는 에게로의 전작 <사자 who>의 말뚝이에서 시작한다. 양반의 허세와 모순을 까발리던 말뚝이 집안이 세월이 흘러 말뚝이 3세에 이르렀다. 자수성가한 말뚝이 3세는 조상 말뚝이가 사회 권력층에 대해 통렬한 비판을 하던 자세를 잊고, 아랫사람을 업신여기며 오만하고 돈만 밝히는 속물이 됐다. 구두쇠 스크루지와 닮은 ‘수구루지’가 된 것이다. 어느 날 수구루지 말뚝이 3세는 비서 한 명만 데리고 해외여행을 떠났다가 비행기 사고로 이름 모를 숲에 떨어진다. 이 숲은 온갖 이야기의 등장인물이 사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장소이다.
숲에서 셀카를 찍으며 놀고 있던 토끼가 추락한 수구루지와 비서를 발견하고 심봉사(심청전의 심학규, 수영야류의 등장인물이 겹친)와 함께 기절한 두 사람을 깨운다. 여기서부터 빨간 망토, 별주부, 애착 인형과 그것을 사람으로 만들고 싶은 오덕후 박사 일행이 동행하면서, 각자의 소원을 풀어 줄 무녀가 사는 오주산으로 향한다. 수구루지 일행의 소원은 집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들의 떠들썩한 동행은 여러 에피소드를 만들고, 수구루지는 천신만고 끝에 고향으로 돌아가는 용선을 탄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수구루지가 비행기 안에서 꾼 꿈이었다.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