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춤의 추상성이 현실성과 만나는 접점: 판댄스 시어터 <이터널 The tunnel>

<이터널>(안무 허성준, 출연: 김민국, 김소이, 강건, 고은영, 박은지, 이혜수, 허성준. 2022.6.3. 해운대문화회관 해운홀)은 영원, 영생을 뜻하는 ‘Eternal’이 아닌 ‘The tunnel’이다. 정관사 ‘the’를 붙여 그야말로 바로 ‘이’ 터널이다. 이 터널은 어떤 터널인가? 비록 바로 앞에 보이지는 않지만, 누구나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터널. 모두 그 속에 있지만 있는지 몰랐던 터널. 어둠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서로 모습을 드러내고 나서야 자신이 터널의 어둠에 갇혀있었다는 사실을 알았던 그 터널 말이다. 그러니 <이터널>은 <이 터널>로 표기해야 옳지만, 띄어 쓰지 않음으로써 관객이 다른 의미를 떠올리도록 내버려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오독(誤讀)은 해석을 풍성하게 한다. 

 



‘터널’이 ‘동굴’과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터널’을 현대식 ‘동굴’로 보아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이럴 때 ‘동굴’하면 떠오르는 이야기가 있다. 플라톤이 이데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동굴의 비유’다. 태어날 때부터 손발이 묶인 채 뒤 돌아볼 수 없어 ‘실체(이데아)의 그림자를 실체로 믿는 사람들의 상황을 빗댄 이야기다. 반면 <이터널>은 양쪽이 뚫린 터널이다. 플라톤은 동굴에서라도 이데아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그것을 보기(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볼 수 없다. <이터널>의 터널에서는 어둠 속에서 서로의 존재를 알아채고 각 존재자가 이기심과 자기 환원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얼마든지 터널의 어둠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의 장소이자 그렇게 해야 하는 당위적 상황이며 현실이다.   

 

허성준은 뛰어난 춤꾼이고, 몸과 움직임에 천착한 작품을 꾸준하게 안무해왔다. 주제의 서사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편은 아니지만, 그만의 은유와 상징으로 내용을 전달하는데, <이터널>의 구성도 그렇다. 각 장의 관계가 긴밀하지는 않지만, 느슨한 연결은 관객이 자의적으로 해석할 여지를 제공한다. 그가 구성에 담은 의미를 이렇게 읽을 수 있다. ‘1장 오래된 길’은 이미 거기에 있어서 내 의지로 어찌할 수 없는 상황이며 터널이다. 또한 나만 처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 길 위에 서성일 수밖에 없다. ‘2장 7평짜리 피난처’에서 피난처는 자신을 닫고 평온을 찾아 숨어드는 장소이다. 오래된 길에서 목적 없이 서성이다가 마주치는 일들은 우리를 지치게 하고, 주눅 들게 하고, 감정과 에너지를 소비시키기 때문에 누구나 피난처가 필요하다. 그런데 피난처가 편하기만 할까? 자신과 오롯이 마주하는 상황은 오히려 고통의 순간일 수 있다. 넓은 세상의 혼란과 압박을 잠시 피할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은 겨우 7평이다. 평화와 고통이 뒤섞인 작고 은밀한 공간 말이다. ‘3장 익숙한 불청객’은 무대 하수 쪽으로 툭 던져진 얼굴 없는 마네킹으로 상징한다. 불편한 존재(관계)는 뜻하지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들이닥친다. 그래서 더욱 거부하기 어렵다. 어쩔 수 없이 포기하고 받아들이지만, 달갑지 않다. 이 당혹과 불편에 익숙해지는 것밖에 도리가 없다. ‘4장 노크’는 닫힌 문(관계)을 열고 싶어 문 반대편 존재의 의사를 타진하는 행위다. 내가 당신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하는 행위인 노크의 문제는 응답을 기다려야 한다는 점이다. 응답에 따라서 노크가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내 의지만으로 되지 않는다. ‘5장 나는 가끔 눈물을 흘린다.’를 보자. 눈물 흘리는 일은 지극히 사적이다. 감정이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이라 타인 앞에서 가능한 보이고 싶지 않은 행위다. 반면 눈물로 감정을 전달할 수도 있다. 가끔 눈물을 흘린다고 고백하는 것이라면, 눈물은 말로는 모자란 깊은 감정을 표출하는 것이다. 고백이 아닌 독백이라면, 주체하기 힘든 감정이 몰려올 때 자신에게 솔직해지는 순간을 의미한다. 눈물은 슬픔만 의미하지 않는다. ‘6장 고요한 축제’는 형용모순이다. 축제는 활기가 있고 떠들썩한 것인데, 고요한 축제라니. 축제가 고요해지려면 내면의 기쁨이나 흥을 밖으로 발산하지 않지만, 서로 느끼고 알아야 한다. 바라보기만 해도 충분한 축제 같은 상황을 고요하고 격렬한 춤으로 표현한다. 낯선 이에게 옷을 빼앗기지만 타인을 치유하려는 마음도 모순이다. 우리는 삶에서 논리적인 면 보다 모순적인 면과 더 자주 마주친다. 그렇다면 은유나 상징 그리고 형용모순 말고 삶을 표현할 더 적절한 방법이 있을까? 

 



<이터널>은 허성준의 지난 작품에 비해 밝고 가볍다. “추상적일 수 있는 주제가 관람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작품 흐름에서 각 캐릭터가 다른 의미를 가지며, 전체 구성에 시간성을 부여하고 과거에서 현재로 시간이 진행되면서 한 인간의 내면에 깊게 파고들어 보고자 했다.”라는 안무자의 의도대로 구성은 은유적이지만 캐릭터 구분이 있고, 선형적 시간 흐름을 반영했다. 개인이 타인과 관계를 조심스럽게 타진하고, 이윽고 타인을 향해 자신을 열어 보이는 과정, 즉 혼자 길을 잃고 서성이다 정처 없이 떠돌고, 낯선 이에게 자기 옷을 빼앗기기도 하지만, 나와 그(들) 모두 어두운 그 터널에 함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서로의 존재를 알아채고 닫힌 마음의 문을 열기까지의 여정은 누구도 익숙하거나 편하지 않다. 하지만 불편하고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쳐 내면의 어둠에서 빠져나오는 순간 서로의 모습을 확인한 존재들은 순수의 축제를 펼칠 수 있다.

 



판댄스 시어터(이후 ‘판댄스’)는 구성원 중 누가 안무한 작품이든 상관없이 성실하게 춤춘다는 인상을 준다. 여기서 성실하다는 것은 규칙과 틀에 충실히 적응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의지 실현에 믿음을 갖고 실천한다는 의미다. 소품이나 무대 장치를 이용해 상황을 설명하고 그 이미지로 분위기를 보충하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대부분 춤으로 승부한다. 춤이 있어야 할 지점에서 어김없이 춤을 풍성하고 치열하게 보여준다. 춤 작품에서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 방법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출연자의 기량과 의지가 균일해야 하고, 평소에 그렇게 연습하고 이런 창작 방식이 몸에 배어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이런 점이 판댄스가 다른 단체와 변별되는 지점이다. 판댄스는 언제나 단단한 춤으로 요란스럽지 않게 그들만의 작품을 보여주었다. <이터널>은 허성준식 은유와 상징이 판댄스 특유의 풍성한 춤과 성실함을 입어 춤의 추상성이 현실성과 만나는 접점을 보여주었다.   

 

 

글_ 이상헌(춤 비평가)

사진제공_ 박병민(사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