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서는 불상과 경전과 스님을 세 가지 보물로 여긴다. 흔히 주지삼보(住持三寶)라고 일컫는 말인데 불상은 석가모니(佛)를, 경전은 그가 깨달은 진리(法)를, 그리고 스님은 그 진리를 배우려는 사람(僧)을 상징한다. 안애순(국립현대무용단)이 불전이 아닌 공연 무대 위로 불상을 끌어들였다. 제목도 그냥 불상이 아닌 <불쌍> (2014.3.21~22, 토월극장)으로 고쳐서다. 불쌍해진 부처님이란 뜻이라면 그에게 불가에서 중요시하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를 다만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이라면 이는 불교를 종교적 차원이 아닌 가변적인 하나의 사회현상이라고 보고 있다는 증좌일 것이다.
막이 열린 무대 위에 수많은 불상들이 늘어 놓여 있다. 석가모니불과 관음보살상도 있지만 14개 불상 중에는 관우의 신상이나 수염을 길게 늘인 신선모습 조각상도 있고 심지어 예수와 마리아를 본 딴 불상도 보인다. 사람이 하나씩 불상마다에 붙어 있다. 합장한 채 부처님께 공손히 절을 올리는 이도 있고 불상을 옆에 끼고 이리저리 움직이기도 하고 장난감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만의 불상을 하나씩 간직한 채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지 모른다. 현대인에게 있어 불상은 단지 물신사회에서 살아가는데 갖춰야하는 액세서리나 부적으로 여겨질 뿐인 것은 아닐까. 이것이 <불쌍>이 주는 메시지일 것이다.
불상이 치워진 공간에서 춤이 시작된다. 태극권이나 오금희(五擒戱) 동작을 원용하고 있는 중국의 무예 춤은 삭발한 김동현의 몫이고 연이어 동양의 전통춤사위에 현대무용동작들이 접목된다. 머리에 떡을 이고 행진하는 여인들의 모습이 실루엣으로 나타난다. 불전에 올릴 공양물인가 했더니 한쪽씩 해체되어 공중에 날리는 놀이기구가 되기도 하고 이는 다시 모아져 불탑이 되고 담장이 된다. 한쪽 공중에 매달린 채 끊임없이 흔들리는 금빛 불상과 술집의 바텐더 뒷벽에 설치된 장식장 칸칸마다 안치된 미니어처 불상들...설치미술가 최정화의 감각적인 소품과 김종석의 무대디자인이 자연스럽게 춤과 어울린다. 시종일관 짧은 박자로 낮지만 명확한 기계음을 반복하는 음향 역시 물신시대의 문화적 코드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불쌍>의 초연을 본 것은 2009년 LG아트센터에서였다. 그 다음해 호암아트홀무대와 작년 가을 자카르타 아트 서미트 인도네시아(Art Summit Indonesia 2013)초청공연을 거치며 작품은 한결 세련되고 완성도가 높아졌다.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들 간의 충돌과 융합, 시간과 공간 변화에 따른 전통문화의 변용 등 작품의 스토리텔링성이 강화되면서 국립현대무용단을 대표하는 레퍼토리가 될 가능성도 농후해졌다. 2014년 무용단의 시즌프로그램주제를 ‘역사와 기억’으로 정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안애순은 <열한 번째 그림자>, <온 타임>, <비명-기억의 놀이> 등 창작을 통해 한국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 놀이문화의 해석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여왔다. 문화현상의 포착에 남달리 예민한 눈을 가지고 있는 그의 관심이 이제 한국에서 동양으로 확대되고 민속에서 종교로 확장되어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진전이다. ‘작은 몸의 카리스마’ 안애순이 국립현대무용단이라는 날개를 등에 업고 어디까지 비상할 수 있을까. 단지 문화현상의 예리한 포착이라는 단계를 넘어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작품으로 개화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작년 여름 단장 취임 이래 안애순 표를 달고 처음 선보일 5월의 신작 <이미 아직>공연을 기다린다.
글_ 이근수(무용평론가, 경희대 명예교수)
사진_ 국립현대무용단 제공
*이 글은 몸지 2014년 4월호에 게재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