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기대와 우려가 뒤섞인 한국 발레의 새 출발: 서울시발레단 ‘봄의 제전’

 

〈ROSE〉(안성수 안무)

 

한국 발레에서 ‘클래식 발레’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압도적이다. 이는 가끔씩 시도되는 ‘모던 발레’나 ‘드라마 발레’가 그 양식 자체를 홍보 수단으로 매번 활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수단으로서만 그럴 뿐, 효과는 미미하다. 스타 안무가나 무용수의 참여는 화제가 되지만, 동시대에 창작된 발레의 양식적 변화나 차이는 클래식 발레의 정형화된 특징과 매력에 익숙한 기존 관객들의 취향과 인식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황에서 등장한 ‘컨템퍼러리 전문 공공 발레단’은 일단 그 자체로 고무적이다. 특정 장르에 편중되면서 질적, 양적으로 뒤처졌던 발레의 창작과 관람 환경은 이를 계기로 한층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컨템퍼러리 발레의 집중적인 보급은 이미 포화 또는 정체 상태에 이른 발레 관객층에 또 다른 취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새로운 관객들이 유입되면 한국 발레의 문화적 파이도 확장된다. 이 모든 청사진을 종합하면 기존 클래식 발레와 컨템퍼러리 발레가 동반 성장하는 장밋빛 전망도 가능하다.

  

〈NO MORE〉(유회웅 안무)

  

〈NO MORE〉(유회웅 안무)

 

서울시발레단의 창단 사전공연 ‘봄의 제전’은 그런 부푼 기대감과 혁명적 변화의 바람을 제목에 담아냈다. 다만 그 제목의 무게감과 혁신적 뉘앙스와 달리 안성수, 유회웅, 이루다의 세 안무가가 각자의 개성을 담아 보여준 트리플 빌은 익숙한 기존 작품의 냄새를 떨쳐내진 못했다. 이번 기획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ROSE〉는 안성수의 기존 작품인 현대춤 〈장미-봄의 제전〉을 발레로 재구성한 버전이다. 이루다의 〈Bolero 24〉 역시 지난해 한국발레협회 ‘올해의 작품상’ 수상작 〈Black Bolero〉를 기획 취지에 맞게 보완한 결과물이다. 컨템퍼러리 발레의 다양한 면모를 알리기 위해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선보이려는 의도는 좋지만, 이미 익숙한 작품들을 재편하는 시도는 ‘새 출발’의 정서와는 다소 멀게 느껴졌다. 


그럼에도 이날 선보인 세 단편은 컨템퍼러리 발레의 차별성을 보여주는 데서는 성과를 거뒀다. 공연의 포문을 연 유회웅의 〈No More〉는 드럼과 베이스가 빚어내는 강렬한 비트를 내세워 현대사회의 어떤 세태를 강렬하게 비판한다. 캐주얼한 블랙 슈트의 무용수들이 만드는 격정적인 움직임과 인간 군상은 춤으로 묘사한 사회학 연구서다. 동화적 판타지나 우아한 동작과는 거리가 먼 ‘동시대의(Contemporary) 춤’은 대중이 인식하는 발레의 범위를 순식간에 확장한다. 가령 포인트 슈즈를 신은 남성 무용수와 동성 파트너링의 적절한 활용은 그런 인식 변화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 금속성 질감의 배경 세트와 무용수가 그것을 뚫고 나가는 엔딩 역시 다소 전형적이지만 현대적인 연출법이라는 점에서 컨템퍼러리 공연의 일관된 철학을 보여준다.

 

〈Bolero 24〉(이루다 안무)

  

〈Bolero 24〉(이루다 안무)

 

두 번째로 무대에 오른 〈Bolero 24〉는 시청각적 연출을 적극 시도하는 이루다의 개성이 돋보이는 공연이었다. 이루다는 무대 위 전시되는 몸의 속성을 잘 활용하는 안무가다. 자신이 이끄는 ‘블랙토 댄스’의 상징성처럼, 이번 무대에서도 잘 발달된 신체의 표상과 블랙 콘셉트로 꾸며진 미장센이 멋진 조화를 이뤄냈다. 특히 이런 앙상블에서 인상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무용수의 신체와 바닥, 배경을 활용한 영상이다. 바닥에서 무용수의 몸으로 연결되는 강렬한 붉은 선, 강렬한 파도 영상으로 이어지는 미디어 아트 연출은 현대 공연 양식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컨템퍼러리 공연의 매력을 보여준다. 그중 하이라이트는 탑에서 프로젝션 된 이미지를 활용한 원형 안무로 눈의 홍채를 연상시키는 비주얼을 이끌어낸 후반부의 연출이다. 매력적인 선율과 반복되는 리듬으로 익숙한 볼레로의 매력은 이런 장면에서 더 배가된다. 자칫 클리셰로 전락하기 쉬운 음악을 수미쌍관의 구성으로 절제한 연출의 균형 감각이 돋보인 대목이다.


트리플 빌의 마지막을 장식한 〈ROSE〉는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과 춤의 관계를 오랫동안 고민해온 안성수의 고유한 시선과 개성이 오롯이 담긴 무대였다. 클래식 음악이 지닌 에너지를 다른 리듬의 동작 템포로 풀어내는 그의 방식은 이번 무대에서도 어김없이 재현됐다. 관습적이지 않은 동작들, 즉 잘게 나누어져 시시각각 에너지의 방향이 분산되는 복잡한 동작의 연속은 ‘컨템퍼러리’의 정신을 그대로 보여준다. 그것은 체계적이고 정교한 클래식 발레와 대비되는 탈장르적인 춤의 영역을 묘사한다. 그래서 어떤 지점에서는 더 이상 ‘발레’라고 부를 수 없는 동작들이 관객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가령 방송에서 볼 수 있는 대중춤의 흔적이나 단순히 ‘제스처’라고 할 만한 움직임들이다. 이처럼 발레와 발레가 아닌 것 사이의 자유로운 탐색을 통해 ‘컨템퍼러리 발레’의 광활한 영역은 어느 정도 가시화된다.

  

〈ROSE〉(안성수 안무)

 

이날 무대에 오른 작품들은 모두 어두운 조명과 검은 의상을 공유하는 ‘발레 느와르(Ballet Noir)’의 콘셉트를 통해 클래식 발레의 ‘발레 블랑(Ballet Blanc)’ 이미지와 직관적으로 대비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향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서울시발레단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좋은 전략처럼 다가온다.


다만 우려되는 지점도 남아있다. 여전히 클래식 발레에 집중돼 있는 무용수와 안무가의 편중 상황에서 역량 있는 인력을 어떻게 육성하고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다. 이번 트리플 빌에 참여한 세 안무가 외에 컨템퍼러리 발레의 영역에서 참신한 이름을 발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제다. 이번 무용수 선발에서도 우여곡절이 많았던 만큼 컨템퍼러리 발레의 위상과 인력에 대한 처우를 개선할 필요도 있다. 또 반드시 대중성을 반영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서울 시민을 위한 공립발레단의 특수성이 차후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가능성도 있다. 레퍼토리 확보는 그런 험난한 과정의 결과물이 될 것이다. 이번 공연은 단순히 개별 작품에 대한 평가보다는 이러한 한국 발레의 현실과 균형 있는 성장이라는 맥락에서 바라보게 하는 무대였다.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세종문화회관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A new start for Korean ballet with mixed expectations and concerns: Seoul Metropolitan Ballet’s ‘Rite of Spring’



The proportion of ‘classical ballet’ in Korean ballet is still overwhelming.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occasionally attempted ‘modern ballet’ or ‘drama ballet’ always uses the form itself as a means of promotion. Of course, it is only a means, and the effect is minimal. The participation of star choreographers or dancers becomes a hot topic, but the stylistic changes or differences in ballets created at the same time cannot overcome the tastes and perceptions of existing audiences who are accustomed to the standardized characteristics and charm of classical ballet.


The emergence of a ‘contemporary professional public ballet company’ in this situation is encouraging in itself. The environment for the creation and viewing of ballet, which had lagged behind in quality and quantity due to its focus on certain genres, is expected to improve further with this opportunity. Intensive dissemination of contemporary ballet can provide different tastes to ballet audiences who are already saturated or stagnant. In addition, as new audiences come in, the cultural pie of Korean ballet also expands. Putting all of these blueprints together, a rosy outlook is possible for existing classical ballet and contemporary ballet to grow together.


Seoul Metropolitan Ballet’s pre-establishment performance ‘The Rite of Spring’ captured such high expectations and the wind of revolutionary change in its title. However, despite the weight and innovative nuance of the title, the triple bill, in which the three choreographers Ahn Seong-soo, Yoo Hoe-woong, and Lee Luda showed their individuality, could not shake off the smell of familiar existing works. 〈ROSE〉, which occupies the center of this project, is a ballet version of Ahn Seong-su's existing work, the modern dance 〈Rose - The Rite of Spring〉. Lee Luda’s 〈Bolero 24〉 is also the result of supplementing 〈Black Bolero〉, which won the Korean Ballet Association’s ‘Best Work of the Year Award’ last year, to suit the purpose of the project. Although the intention to present high-quality works to promote the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ballet is good, the attempt to reorganize already familiar works felt somewhat distant from the sentiment of a ‘new start’.


Nevertheless, the three short stories presented that day were successful in showing the differentiation of contemporary ballet. Yoo Hoe-woong's 〈No More〉, which opened the performance, strongly criticizes a certain state of modern society with an intense beat created by drum and bass. This is a sociological research book that depicts the passionate movements and human figures made by dancers in casual black suits through dance. ‘Contemporary dance’, which is far from fairy tale fantasy or elegant movements, quickly expands the scope of ballet as perceived by the public. For example, the appropriate use of male dancers wearing pointe shoes and same-sex partnering effectively contributes to changing that perception. The background set with a metallic texture and the ending where the dancer breaks through it are also somewhat typical, but in that they are modern production methods, they show a consistent philosophy of contemporary performance.


〈Bolero 24〉, which came on stage for the second time, was a performance that highlighted Lee Luda’s individuality as he actively attempted audio-visual production. Lee Luda is a choreographer who makes good use of the attributes of the body displayed on stage. Just like the symbolism of the ‘Black Toe Dance’ that he leads, on this stage, the well-developed representation of the body and the mise-en-scène decorated with a black concept achieved a wonderful harmony. In particular, what plays an impressive role in this ensemble is the video that utilizes the dancers' bodies, the floor, and the background. The media art direction, which includes a strong red line from the floor to the dancer's body and an intense wave image, shows the charm of contemporary performance that utilizes a variety of modern performance styles. Among them, the highlight is the production in the second half that creates a visual reminiscent of the iris of an eye through circular choreography using images projected from the tower. The charm of Bolero, which is familiar with its attractive melody and repetitive rhythm, is doubled in scenes like this. This is a part where the sense of balance in the production stands out, with the music easily falling into cliches through a epanalepsis composition.


〈ROSE〉, which marked the end of the triple bill, was a performance entirely filled with the unique perspective and personality of Seongsu Ahn, who has long pon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vinsky's music and dance. His method of expressing the energy of classical music through different rhythmic movement tempos was reproduced without fail on this stage. Unconventional movements, that is, a series of complex movements in which the direction of energy is divided into small pieces and distributed at every moment, clearly show the spirit of ‘contemporary’. It depicts a realm of post-genre dance that contrasts with the systematic and sophisticated classical ballet. So, at some points, movements that can no longer be called ‘ballet’ can confuse the audience. For example, these are traces of popular dances that can be seen on TV, or movements that can simply be called ‘gestures.’ Through this free exploration between ballet and non-ballet, the vast area of ‘contemporary ballet’ becomes visible to some extent.


All of the works on stage that day showed an intuitive contrast with the image of classical ballet’s ‘Ballet Blanc’ through the concept of ‘Ballet Noir’, which shares dark lighting and black costumes. As a result, this seems like a good strategy to emphasize the identity of the Seoul Metropolitan Ballet, which will begin full-scale activities in the future.


However, some points of concern remain. The problem is how to foster and secure competent human resources in a situation where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e still concentrated on classical ballet. In addition to the three choreograp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triple bill, discovering fresh name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ballet is by no means an easy task. As there were many twists and turns in the selection of dancers this tim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tatus of contemporary ballet and the treatment of its personnel. Also, although it does not necessarily reflect popularity, the uniqueness of a public ballet company for Seoul citizens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the future creative process. Securing repertoire will be the result of such a difficult process. This performance was a stage that allowed us to look at the reality of Korean ballet in the context of its balanced growth rather than simply evaluating individual works.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