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신선(神仙)과 신선(新線) 사이, 희미해진 구심점: 국립무용단 〈신선〉


2022년 국립무용단의 ‘더블빌’의 일부로 선보였던 〈신선〉이 독립된 작품으로 돌아왔다. ‘더블빌’은 비교적 짧은 분량의 소품을 통해 작가주의적 실험을 시도할 때 흔히 활용된다. 그래서 2년 전의 공연은 ‘한국적인 춤’의 영역을 개척하던 국립무용단과 개성 있는 시각으로 존재감을 다져온 고블린파티 모두에게 유의미한 작업이었다. 그래서 40분 분량의 단편을 1시간 내외의 장편으로 확장한 이번 버전에서는 기존 작품의 미흡한 점을 어떻게 수정, 보완해 완성도를 끌어올렸을지에 이목이 집중됐다. 


초연에서도, 확장판에서도 중심적인 뼈대는 ‘신선놀음’이다. ‘신선들의 놀음’이라면 막연할 수 있지만, 〈신선〉은 술을 매개로 유유자적한 풍류를 그리며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데 집중한다. 고블린파티는 초연에서 그랬듯 ‘신선도(神仙圖)’의 여덟 신선들의 이미지를 모티프로 초탈한 놀음과 한국춤 특유의 움직임을 접목해 풀어낸다. 술에 취한 듯 비틀거리는 동작과 균형을 회복하는 몸짓으로 술에 취한 신선의 모습을 묘사하고, 이에 어깨춤과 굴신, 걸음을 접목해 한국적 컨템퍼러리의 목표를 무난히 이행한다.


이처럼 재해석된 신선들의 놀음이 의미하는 것은 일상 속 긴장감에서 벗어나자는 권유다. 휘청대고 흥청대는 이완(弛緩)의 난장은 삶의 경직성을 풀고 여유로움을 되찾자고 제안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초연에서는 이런 취지가 효과적으로 구현되진 못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기에 치러졌던 공연은 녹록지 않았던 제작 과정을 반영하듯 음악도 춤도 다소 진지하게 전개됐다. 이런 한계는 이번에 라이브 음악의 가세로 금세 해소됐다. MR(Music Recorded)을 썼던 초연에 비해 이번에는 퍼커셔니스트 김현빈과 가야금 연주자 김민정이 직접 무대에 올라 생생한 풍류와 유희의 장을 함께 연출했다. 이질적이면서도 잘 어우러지는 악무의 앙상블은 ‘신선’과 ‘놀음’이라는 환상의 영역을 공감각적으로 잘 표현했다. 


놀이에 대한 감각도 초연에 비해 한층 섬세하게 다듬어졌고 그 비중도 강화됐다. 핵심 키워드에 집중하여 이를 해체하고 놀이적 감수성으로 재해석하는 것은 고블린파티의 대표적인 스타일이자 강점이기도 하다. 〈신선〉에서 그 키워드는 ‘술’과 ‘신선’이며 이를 매개로 펼쳐지는 후반부의 춤/놀이판은 안무진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소반(小盤)’을 다양하게 무구(舞具)화해 선보이는 소반춤은 여전히 좋은 아이디어다. 현세의 짐을 상징하는 도구였다가 타악기로, 부채춤 대형의 군무에서 부채의 역할을 대신하는 무구로, 소반을 변화무쌍하게 활용하는 연계에서는 안무진의 재치가 단연 돋보인다.




그런데 이런 시도는 더블빌의 일부였던 버전에서는 파편적인 아이디어만으로도 충분했지만, 독립된 장편 버전으로서는 다소 물음표를 남긴다. 이 작품의 무게감은 여전히 후반부의 ‘소반 놀이’에 쏠려 있는데, 그에 앞선 구성은 대체로 단조로운 움직임으로 채워졌고 장면 간 개연성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상술했듯이 이 작품은 일상 속 긴장을 벗어나 이완의 몸짓을 통해 여유로운 삶 또는 ‘새로운 선(新線)’을 발견하자고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무형의 테마와 소반 놀이, 또는 다른 어떤 움직임에서도 인상적인 화학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소반 놀이는 고블린파티의 감각을 담고 있지만, 작품 전체적으로는 국립무용단만의 참신한 몸짓이 드러나지는 않는다. 디테일한 움직임 표현에서 안무자의 구체적 디렉팅보다는 무용수의 역량에 맡긴 안무진의 판단은 부분적으로는 옳았으나 전체적으로는 그렇지 않게 보인다. 개별적인 몸짓으로 분산되는 표현과 기교들은 후반부로 갈수록 초반의 동력을 잃는다. 


이러한 구심점의 문제는 사실 공연 전반에 걸친 구성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초반부의 스탠드 마이크를 활용해 콘셉트를 설명하는 설정도 그중 하나다. 흥겨운 분위기를 돋운 후에 느닷없이 등장하는 마이크와 어색한 내레이션은 오히려 기껏 이완된 객석의 흐름을 다시 경직시킨다. 그 내용도 지나치게 지시적이고 설명적이어서 ‘신선’이라는 키워드가 지닌 환상성을 제한해 상상력을 반감시키는 것이다. 파격도 좋지만 그런 시도에도 유기적인 맥락은 있어야 한다. 이번 무대에 합류한 라이브 음악은 처음부터 일관되게 작품의 철학을 충실하게 이행하는데, 분절적인 아이디어와 장면으로 구성된 안무는 오히려 그 철학에 녹아들지 못하고 겉도는 느낌을 줄 때가 많다. 재치 있는 아이디어의 결합보다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묵직한 구심점을 보강해 정서적 연결을 재고해야 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이 작품의 방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풍류와 유희는 한국적 컨템퍼러리에서 다양하게 시도할 수 있는 매력적인 테마이기 때문이다. 한국춤의 방법론과 현대성의 연결을 고민한 대목도 여전히 높이 평가할 만하다. 전통과 현대라는 두 선(線)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선을 지향하는 것은 동시대 한국춤의 진행형 과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개성 있는 시각을 고수하며 실험을 지속하고 있는 고블린파티의 행보는 다음 버전의 〈신선〉을 주목하게 한다.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국립무용단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Between the immortal and the new, the blurred central point: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Sinsun〉


〈Sinsun〉, which was presented as part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Double Bill’ in 2022, returned as an independent work. ‘Double bill’ is commonly used when attempting an artist’s experiment using a relatively short amount of props. Therefore, the performance two years ago was meaningful work for both the National Dance Company, which was pioneering the field of ‘Korean dance’, and Goblin Party, which was strengthening its presence with a unique perspective. Therefore, in this version, which expanded the 40-minute short into a full-length version of about an hour, attention was focused on how to improve the level of completeness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work.


In both the premiere and the extended version, the central framework is ‘Taoist hermit's play’. The ‘play of Taoist hermit’ may be vague, but 〈Sinsun〉 focuses on expressing ‘Korean sentiment’ by depicting leisurely tastes using alcohol as a medium. As in the premiere, Goblin Party uses the images of the eight immortals of ‘Sinsundo (神仙圖)’ as a motif and combines them with detached play and unique Korean dance movements. It depicts the appearance of a drunken hermit with stumbling movements as if drunk and gestures to restore balance, and by combining shoulder dance, bowing, and walking, the goal of Korean contemporary is easily achieved.


The meaning of the play of immortals reinterpreted in this way is an invitation to escape from the tension in everyday life. The chaos of relaxation and revelry suggests loosening the rigidity of life and regaining leisure. Ironically, this purpose was not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premiere. The performance, which was held during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featured both music and dance rather seriously, reflecting the difficult production process. This limitation was quickly resolved with the addition of live music. Compared to the premiere for which MR (Music Recorded) was used, this time percussionist Kim Hyun-bin and gayageum player Kim Min-jeong went on stage and created a lively atmosphere of style and entertainment. The heterogeneous yet well-harmonized musical and dance ensemble well expressed the realm of fantasy called ‘Taoist hermit’ and ‘play’ in a synesthetic way.


The sense of play has also been refined more delicately compared to the premiere, and its importance has also been strengthened. Focusing on core keywords, deconstructing them, and reinterpreting them with a playful sensibility is Goblin Party's representative style and strength. In 〈Sinsun〉, the keywords are ‘alcohol’ and ‘sinsun’, and the dance/game scene in the second half that unfolds through these is a part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the choreographer. The Soban dance, which uses the ‘Soban’ (small table) with various weapons, is still a good idea. The choreographer's wit stands out in the varied use of the soban, which was once a tool symbolizing the burden of this world, then turned into a percussion instrument, and a weapon that replaces the role of a fan in a large fan dance.


However, this attempt was enough for the version that was part of the double bill with only fragmentary ideas, but as an independent full-length version, it leaves somewhat of a question mark. The weight of this work still centers on the ‘Soban play’ in the second half, because the composition preceding it is mostly filled with monotonous movements and lacks plausibility between scenes. As mentioned above, this work suggests escaping the tension of everyday life and discovering a leisurely life or ‘new line’ through gestures of relaxation. However, no impressive chemistry occurs between these intangible themes, Soban play, or any other movement. Although the Soban play contains the sense of a goblin party, the original movements unique to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re not revealed throughout the work. The choreography team's decision to leave detailed movement expression to the dancer's capabilities rather than the choreographer's specific direction was partially correct, but overall it does not seem to be the case. The expressions and techniques distributed through individual gestures lose their initial momentum towards the end.


This problem of central point is actually connected to the problem of composition throughout the performance. One of them is the setting that uses a stand microphone at the beginning to explain the concept. The microphone and awkward narration that suddenly appear after creating an exciting atmosphere actually stiffen the audience's already relaxed flow. The content is too prescriptive and explanatory, which limits the fantasy inherent in the keyword ‘fresh’ and reduces imagination. Unconventional things are good, but such attempts must also have an organic context. The live music that joined this stage faithfully implements the work's philosophy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but the choreography composed of segmented ideas and scenes often fails to blend in with that philosophy and often feels like it is going beyond the scope. This is why we need to reconsider the emotional connection by reinforcing the heavy central point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work rather than combining witty ideas.


Nevertheless, the direction of this work is still valid. This is because pungryu and entertainment are attractive themes that can be tried in various ways in Korean contemporary. The section that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dance methodology and modernity is still worthy of high praise. This is because pursuing a new line by combining the two lin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is an ongoing task for contemporary Korean dance. In that respect, the actions of Goblin Party, which continues to experiment while maintaining a unique perspective, draws attention to the next version of 〈Sinsun〉.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