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과감하고 치열하게 내면과 전통을 파고들다: 서연수의 〈집 속의 집: 안팎〉


우리에게 집의 의미는 무엇인가? 누군가에겐 편안하고 안락한 삶의 터전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속박이나 폭력의 장소일 수 있다. 또 누군가는 자신의 마음을 집과 연관시켜 내면의 내가 머무는 공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겠다. 깊숙한 곳에서 만나는 타자라는 감각적인 문구를 통해 집의 이미지를 무대에 구현하면서 7월 6-7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서연수 안무의 〈집 속의 집: 안팎〉 공연이 있었다. 모헤르댄스컴퍼니를 이끌고 있는 서연수는 자신의 시그니처가 된 〈집 속의 집〉 시리즈를 통해 대중들에게 깊게 각인되었다. 이번 공연 역시 강요찬의 연출과 자신의 안무로 무대를 구성했고, 작가로 권태현이 참여했다. 70분의 관람시간은 긴장의 연속으로 몸이 움츠러드는 느낌을 갖게 했다. 계속해서 집중력을 요했기 때문이다.


초연 이후 세심한 터치로 다양한 버전을 내놓은 바, 〈집 속의 집: 안팎〉은 그녀 특유의 과감함과, 여성적이나 그로테스크하면서도 동시대적 춤사위로 컨템퍼러리 한국무용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서연수는 2020년 서울무용제 경연부문에서 〈집속의 집〉을 통해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그해 2020 한국춤평론가회 여자 부문 춤 연기상을 수상하며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이후 여러 수상을 통해 실력을 입증했고, 한국춤이 지닌 내밀함을 공연을 통해 분출하면서 치열하고도 스펙터클하게 주제를 풀어갔다. 동시대 가치를 반영한 작품들로 자신만의 춤 언어를 구사해오고 있는 것이다. 서연수가 살펴본 집의 안팎은 의식과 물리적 형태가 유기적으로 맞물리면서 조용함이나 편안함보다는 용암이 끓듯 강렬함과 열기가 있었다. 




집 속의 집의 모티브는 집에 대한 그리움으로 시작된 서도호 작가의 작품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작가가 유학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문화와 문화 간의 충돌, 문화적 이질감, 새로운 문화에 처음 정착하게 되면서 갖게 되는 복잡한 내면 심리를 다뤘다. 여기에 더해 서연수는 한국 춤의 컨템퍼러리화에 직면해 자신의 관점을 접목시켜 한국 춤의 뿌리를 지키면서도 자신만의 감각을 살리는 여정을 이어간다. 〈집 속의 집: 안팎〉은 그녀의 의식 속 ‘한국 춤의 컨템퍼러리화’란 충돌과 저항을 넘어서 타협과 포용이며 집이라는 공간은 안무가가 말하는 동시대 한국 춤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종착점’임을 확고하게 그려냈다. 그것이 곧 집 속의 집을 대하는 문장인 것이다.


서연수의 의외의 모습은 무대 위에서 또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린 외모의 그녀이지만 그녀의 춤과 개성 있는 춤사위를 사용해 구조화된 전체 공연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는 응집된 에너지가 폭발적으로 발산되면서 공기를 뜨겁게 과열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외유내강이란 단어가 적절한 안무가였다. 강요찬의 연출도 크게 작품에 기여했는데 감각적인 무대세트와 장면 간의 변환, 오브제의 효율적 사용이 그가 무대의 메커니즘을 잘 알고 있음을 드러냈다. 더불어 작품에 출연한 34명의 출연진들은 기량뿐만 아니라 열정을 바탕으로 춤에 집중하고 드라마틱한 장면들을 만드는데 진정성 있게 임했다.




각 씬에서 확연히 눈에 들어오는 대형 오브제를 이리 저리로 이동시키며 활용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사각형의 이동 구조물은 각자의 집이기도 하고 합체되었을 때 강력한 철옹성(鐵甕城)이기도 했다. 견고하지만 틀에 한정되어 있는 사각의 이미지는 닫힌 내 마음, 전통이라는 틀, 사회적 관념을 의미하기도 했다. 그 안에 갇혀 몸부림치고 저항하지만 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타협과 포용이라는 결말을 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전통 가장 깊숙한 곳에서 만나는 타자라는 취지를 갖고 그녀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은 집속의  시리즈의 세 번째 완성작은 이스라엘이나 벨기에의 현대무용을 연상시키며 때로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면도 일면 지녔다. 한국춤의 호흡과 전통적 춤사위의 원형을 기대하고 극장을 찾은 관객들은 그녀의 해체된 움직임과 아름답기보다는 일면 그로테스크한 장면들이 낯설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춤을 통해 내면 혹은 전통에 갇힌 자신에게서 벗어나고자 하는 외침이 편안하고 평온한 집에 안주하지 않고 그 안팎을 오가며 절충점을 찾는 현대인의 모습과 닮아있는 부분에서 공감을 끌어내며 시사점을 갖는 무대였다.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모헤르댄스컴퍼니 ©B.H.SON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Boldly and fiercely delving into the inner self and tradition: Seo Yeon-soo’s 〈House within a House: Inside and Outside〉



What does home mean to us? For some, it may be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place to live, and for others, it may be a place of bondage or violence. Another person may associate their mind with home and set it as a space where their inner self stays. The performance of 〈House within a House: Inside and Outside〉choreographed by Seo Yeon-soo was held at the Arko Arts Theater Grand Theater on July 6-7, embodying the image of home through the sensuous phrase of the other encountered in a deep place. Seo Yeon-soo, who leads the MujerDance Company, was deeply imprinted on the public through the 〈House within a House〉 series, which has become her signature. This performance was also staged with Kang Yo-chan's direction and his own choreography, and Kwon Tae-hyun participated as a writer. The 70-minute viewing time was so tense that it made me feel like my body was shaking. This is because it required continuous concentration.


Since her premiere, she has presented various versions with her meticulous touch, and 〈House within a House: Inside and Outside〉 showed the epitome of contemporary Korean dance with her unique boldness and feminine, grotesque yet contemporary dance moves. Seo Yeon-soo won the grand prize in the 2020 Seoul Dance Festival competition category for 〈House within a House〉  and that year, she was recognized for her work and acting skills by winning the 2020 Korean Dance Critics Association Women’s Dance Acting Award. She has since proven her skills by winning several awards, and she has unleashed the intimacy of Korean dance through her performances, unraveling her subjects in a fierce and spectacular way. She has been speaking her own dance language through her works that reflect contemporary valu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e that Seo Yeon-soo examined was filled with intensity and heat, like boiling lava, rather than quietness or comfort, as consciousness and physical form intertwined organically.


The motif of the house within a house began with the work of artist Do-ho Seo, who began with a longing for home, and dealt with the clash between cultures that the author felt while studying abroad, the sense of cultural heterogeneity, and the complex inner psychology that comes with settling for the first time in a new culture. . In addition to this, Seo Yeon-soo continues her journey of incorporating her own perspective in the face of the contemporaryization of her Korean dance, preserving her Korean dance roots while bringing her own unique sensibility to it. 〈Home within a House: Inside and Outside〉 clearly depicts that in her consciousness, the 'contemporization of Korean dance' is a compromise and acceptance beyond conflict and resistance, and that the space called home is the 'end point' of finding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Korean dance, as the choreographer calls it. paid it That is a sentence about a house within a house.


Seo Yeon-soo's unexpected appearance can be clearly seen on stage. Although she has a delicate appearance, the image felt throughout the entire structured performance using her dancing and unique dance moves was overheating the air as her concentrated energy was released explosively. Therefore, the word 'outer-inner-gang' was appropriate for the choreographer. Kang Yo-chan's directing also contributed greatly to the work, and his sensuous stage set, transitions between scenes, and efficient use of objects revealed that he was well aware of the mechanics of the stage. In addition, the 34 cast members who appeared in the work focused on dancing and sincerely created dramatic scenes based on not only their skills but also their passion.


In terms of utilizing the large objects that are clearly visible in each scene by moving them here and there, the square mobile structures were both individual houses and, when combined, a powerful iron fortress. The image of a square, solid but limited to a frame, also symbolized my closed mind, the frame of tradition, and social concepts. Trapped within it, it struggles and resists, but it does not stop there; it brings about an outcome of compromise and acceptance within it.


The third completed work in the series of Households,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her representative work with the intention of meeting others in the deepest part of tradition, is reminiscent of modern dance from Israel or Belgium, and at times has aspects that can be controversial. This is because the audience who came to the theater expecting the harmony of Korean dance and the prototype of traditional dance moves were unfamiliar with her deconstructed movements and scenes that were somewhat grotesque rather than beautiful. Nevertheless, it was a performance that had implications and drew sympathy from the fact that the cry to escape from oneself trapped within or by tradition through dance resembles the appearance of modern people who do not settle in a comfortable and peaceful home and find a compromise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it.



 Written by Jang Ji-w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MujerDance Company ©B.H.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