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춘추시대 거문고의 명수 백아(伯牙)와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와의 고사(故事)에서 비롯된 ‘지음(知音)’이란 말이 있다. “상대의 음악을 알아준다”라는 뜻이며, “마음이 서로 통하는 절친한 친구”를 표현한다. 현재 국악(國樂)의 범주에 전통춤이 포함되고,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음악의 ‘악(樂)’이 춤을 포괄한 용어였기에 ‘시간의 춤, 정(情)을 나누다’(2024년 6월 29일, 서울남산국악당)에 참여한 무용인들을 ‘지음(知音)’이라고 해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굳이 ‘지무(知舞)’라고 조어(造語)한 이유는 그날 무대에 오른 춤이 20세기 이후에 등장한 전문적이고 근대화된 춤부터 21세기인 오늘날에 번안된 우리춤을 다루었기 때문이다. ‘시간의 춤, 정을 나누다’(이하 ‘시간의 춤’)의 기획자 장승헌과 예술감독 전은자는 보도자료와 프로그램북을 통해 “2024년 오늘날의 시점에서 대한민국 근대춤의 100년 역사를 전통춤, 신무용, 신전통춤으로 펼쳐 보이겠다”라고 했다.
안나경의 장고춤
‘시간의 춤’이 펼친 춤 레퍼토리를 살펴보면 100년이라는 시발점과 근대춤의 범위가 조금 모호하게 느껴질 것이다. 공연된 순서대로 열거하면 한성준제 강선영류 〈태평무〉(임성옥 출연), 김수악제 김경란류 〈교방굿거리춤〉(장인숙희원무용단 출연), 김백봉류 〈장고춤〉(안나경 출연), 윤혜정 안무 〈소고시나위〉(최희아 출연), 임관규 안무 〈춘풍화무〉(조성민 출연), 정혁준 안무 〈여백〉(정혁준 출연), 김경란류 장인숙 재구성 〈구음검무〉(장인숙희원무용단 출연), 김백봉류 〈부채춤〉(전은자 출연)이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제, 류, 안무, 재구성이라는 표현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현재 한국춤 공연의 분화 또는 확장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동시에 한국춤 개념의 난맥상을 노출하는 것이다. 용어에서 춤의 원류와 성격, 국악계의 분류방식 등을 참조해서 애써 정리한 기획자와 예술감독의 고심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비평가들과 이론가들이 전통춤과 신무용과 관련하여 용어, 개념, 역사 등을 좀 더 명확하게 구획을 짓고 정리해 가야 할 필요가 있다.
기획자 장승헌과 예술감독 전은자가 ‘대한민국 근대춤’의 기원이라고 좌표를 찍은 곳은 일제강점기였던 1926년에 일본인 현대무용가 이시이 바쿠가 서울에서 가졌던 신무용 공연이다. 대한민국의 근대춤의 뿌리가 왜 일본의 현대무용(신무용)인가 싶겠지만, 이 공연을 계기로 이시이 바쿠가 조선인 제자를 수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중 가장 성공한 인물이 최승희였다. 최승희는 일본의 신무용에 조선의 전통춤을 접합시켜서 조선 신무용을 개척했고, 그녀의 신무용 또는 조선춤은 대성공을 거두어 최승희는 세계적인 무용가로 등극하였다. 한국전쟁기에 최승희의 손아랫동서이자 수제자였던 김백봉이 월남하였고, 분단 이후 남한이 대한민국이라는 신생국가로 성장하면서 김백봉이 주도하여 발전시킨 춤이 한국 신무용, 즉 한국무용이다(여기서 한국무용이란 거시적인 한국춤이 아닌 양식과 장르 측면의 미시적 개념이다). 따라서 ‘시간의 춤’에서 중심된 인물은 대한민국의 한국무용을 개척했던 김백봉이다. 사실상 ‘시간의 춤’은 경희대 무용학과 출신으로 김백봉의 수제자였던 전은자 성균관대 무용학과 교수의 은퇴를 기념하기 위해 그녀와 여러 갈래의 인연을 맺었던 무용가들이 우정으로 출연하는 무대였다. 또한 전은자 교수의 경희대 동문으로 대학 시절부터 우정을 쌓았던 공연기획자 장승헌이 전은자 교수와 그녀의 스승에게 헌정하는 무대이기도 했다.
‘시간의 춤’에서 가장 주목받은 춤은 공연의 피날레를 장식한 전은자의 김백봉류 〈부채춤〉이었다. 전은자가 경희대 무용학과 은사였던 김백봉으로부터 전수한 그 춤, 무려 50년이 넘은 세월 동안에 전은자의 감성, 춤태, 내공으로 재창조된 춤을 통해 〈부채춤〉의 위대성이 다시 한 번 재발견된 순간이었다. 임성옥이 춘 한성준제 강선영류 〈태평무〉도 명기할만하다. 한성준은 조선춤의 전통을 내재적으로 충실히 계승해서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등을 당대의 신전통춤으로 창안했다는 점, 그리고 김백봉의 지무(知舞)이자 한성준의 제자였던 강선영이 자신의 춤태와 미학으로 국가무형유산인 〈태평무〉를 재창조했다는 점, 또한, 김백봉과 강선영이라는 양대 거장을 스승으로 모시고 춤을 수련한 임성옥이 춘 〈태평무〉라는 점을 두고 보았을 때 임성옥이 뿜어내는 아우라는 실로 대단했다. ‘시간의 춤’에서 유일했던 남성 춤꾼이었던 정혁준은 신무용과 한국창작춤의 경계에서 신선처럼 춤추던 최현의 제자이다. 그의 〈여백〉에서는 우리춤의 대표 남성 무용가였던 최현, 임이조, 정재만이 시도했던 신전통춤의 시도, 그들의 격조 높은 춤태와 발디딤새와 같은 춤의 동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외 안나경, 장인숙, 조성민, 최희아가 재구성 또는 재해석해서 추는 〈장고춤〉, 〈교방굿거리춤〉과 〈구음검무〉, 〈춘풍화무〉(부채산조), 〈소고시나위〉는 현재 한국춤 공연무대에서 인기 높은 신무용과 신전통춤 계열 레퍼토리이다. 특히 이들의 춤에서 주목되는 것은 전통춤과 신무용의 미를 자신들의 춤 스타일로 흡수하여 새로운 춤 양식으로 창출하였고, 현시대에 맞는 정갈한 무대구성과 세련된 춤태로 펼쳐 보였다는 점이다.
관록이 넘치는 무용가들, 서로의 춤을 인정하는 알아주는 지무(知舞)들이 펼친 공연 ‘시간의 춤’에는 그야말로 정(情)이 흘러넘쳤다. 작고한 무용평론가 김영태는 어느 시(詩)에서 기획자 장승헌을 ‘두부’로 표현한 바 있다. ‘두부’는 장승헌이 모나지 않은 사람이고 인성이 구수하다는 뜻을 함축한다. 8개의 춤 레퍼토리로 100년의 우리춤 역사를 직조하느라 숨이 벅차기도 했지만, 장승헌의 구수한 해설에는 출연한 무용가들과 벗 전은자에 대한 경외심이 그득했다. 대한민국 한국무용의 개척자 김백봉의 1세대 제자 전은자, 대한민국 1세대 무용전문 기획자 장승헌, 그리고 그들의 지무들이 지속해서 대한민국 근현대춤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 우리춤의 역사를 더욱 견고히 재창조해가길 기대한다.
글_ 최해리(무용인류학자)
사진제공_ 서울남산국악당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100 years of modern dance restored by generations of knowledgeable dancers:
‘Dance of Time, Sharing Emotion’ by Artistic Director Jeon Eunja
There is a word ‘Ji-eum (知音)’ that originated from the story of Baek-ah (伯牙), a master geomungo player, and his friend Jongjagi (鍾子期)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n China. It means “recognizing the other person’s music,” and expresses “a close friend with whom one shares a common mind.” Currently, traditional dance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until the Joseon Dynasty, 'ak' in music was a term that encompassed dance, so 'dance of time, sharing affection' (June 2024) It would be enough to call the danc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Namsan Gugakdang on the 29th of the month 'Jieum (知音)'. However, the reason why it was coined ‘jimu (knowledge dance)’ is because the dances performed on stage that day ranged from professional, modernized dances that appeared after the 20th century to Korean dances that have been adapted to today in the 21st century. Through a press release and program book, the planner Jang Seung-heon and artistic director Jeon Eun-ja of ‘Dance of Time, Sharing Aff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nce of Time’) said, “From today’s point of view in 2024, the 100-year history of modern dance in Korea will be divided into traditional and new dances. We will show it as a new traditional dance.”
If you look at the dance repertoire of ‘Dance of Time’, the starting point of 100 years and the scope of modern dance may feel a little ambiguous. List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performed, there are 〈Taepyeongmu〉 by Han Seong-jun and Kang Seon-yeong-ryu (featuring Im Seong-ok), Kim Su-ak-je and Kim Gyeong-ran-ryu's 〈Gyobang Gutgeori Dance〉 (featuring Jang In-sook Heewon Dance Company), Kim Baek-bong-yu's 〈Janggo Dance〉 (featuring Anna-kyung Anna), and Yoon Hye-jung's choreography 〈SogoSinawi〉 (featuring Choi Hee-ah), Lim Kwan-gyu's 〈Spring Flower Dance〉 (Jo Seong-min), Jeong Hyeok-jun's choreography 〈Yeobaek〉 (Jeong Hyeok-jun), Kim Gyeong-ran-yu's reconstruction of Jang In-sook's 〈Gueumgeommu〉 (with Jang In-sook Hee-won Dance Company), Kim Baek-bong-ryu's 〈Buchaechum〉 (featuring Jang In-sook's Dance Company) (starring Jeon Eun-ja). The first thing that catches your eye are the expressions: first, second, second, choreography, and reconstruction. These terms show the differentiation or expansion of current Korean dance performances, and at the same time expose the confusion of Korean dance concepts. From the terminology, you can read the painstaking efforts of the planners and artistic directors who have painstakingly organized it with reference to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dance and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orld. However,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ritics and theorists to more clearly distinguish and organize terms, concepts, and history related to traditional and new dance.
The place where planner Jang Seung-heon and artistic director Jeon Eun-ja identified the origin of ‘Korean modern dance’ was a new dance performance held in Seoul by Japanese modern dancer Baku Ishii in 1926,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You may wonder why the roots of Korea's modern dance are Japanese modern dance (new dance), but it is because this performance led Baku Ishii to begin accepting Korean students. The most successful person among them was Choi Seung-hee. Choi Seung-hee pioneered Joseon's new dance by combining Japanese new dance with Joseon's traditional dance, and her new dance, or Joseon dance, was a great success, making Choi Seung-hee a world-class dancer. During the Korean War, Kim Baek-bong, Choi Seung-hee's younger brother-in-law and best disciple, defected to South Korea, and after the division, as South Korea grew into a new nation called the Republic of Korea, the dance led by Kim Baek-bong was developed as a new Korean dance, or Korean dance (here, Korean dance is a macro Korean dance). It is not a micro concept in terms of style and genre). Therefore, the central figure in ‘Dance of Time’ is Kim Baek-bong, who pioneered Korean dance in Korea. In fact, ‘Dance of Time’ was a stage in which dancers with whom she had various ties appeared in friendship to commemorate the retirement of Professor Jeon Eun-ja of the Department of Dance at Sungkyunkwan University,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Dance at Kyung Hee University and was Baek-bong Kim’s best student. It was also the stage where performance planner Jang Seung-heon, who was Professor Eun-ja Jeon's alumnus at Kyung Hee University and had developed a friendship with her since their college days, paid tribute to Professor Eun-ja Jeon and her teacher.
The dance that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in ‘Dance of Time’ was Jeon Eun-ja’s Kim Baek-bong’s 〈Buchaechum〉 which marked the finale of the performance. It was a moment when the greatness of 〈Buchaechum〉 was rediscovered once again through the dance that Eunja Jeon learned from Baekbong Kim, a teacher at Kyung He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and the dance that was recreated with Eunja Jeon’s emotions, dance style, and inner skills over a period of more than 50 years. Han Seong-junje’s 〈Taepyeongmu〉 performed by Lim Seong-ok is also worth mentioning. Han Seong-jun faithfully inherited the tradition of Joseon dance and created 〈Seungmu〉, 〈Salpuri chum〉, and 〈Taepyeongmu〉 as new traditional dances of the time, and Kang Seon-yeong, Kim Baek-bong's master dance and Han Seong-jun's stud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recreated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Taepyeongmu〉 with his own dance form and aesthetics, and the fact that Lim Seong-ok, who trained dance with the two great masters Kim Baek-bong and Kang Seon-young as teachers, Lim Seong-ok performed, Lim Seong-ok exudes The aura it gave off was truly amazing. Jeong Hyeok-jun, who was the only male dancer in ‘Dance of Time’, was a disciple of Choi Hyeon, who danced like a immortal at the border between new dance and Korean original dance. In his 〈Yeobaek〉, we were able to see the attempts of neo-traditional dance by Choi Hyeon, Im I-jo, and Jeong Jae-man, the representative male dancers of Korean danc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ance, such as their elegant dance form and footstep. In addition, 〈Janggochum〉, 〈Gyobanggutgeorichum〉, 〈Gueumgeommu〉, 〈Chunpunghwamu〉 (Buchaesanjo), and 〈Sogosinawi〉, reconstructed or reinterpreted by Anna-kyung, Jang In-suk, Jo Seong-min, and Choi Hee-ah, are currently performed in Korean dance. It is a repertoire of new dances and new traditional dances that are popular on stage. What is especially noteworthy about their dance is that they absorbed the beauty of traditional and new dances into their own dance style and created a new dance form, and showed it with a neat stage composition and sophisticated dance form suitable for the current era.
The performance ‘Dance of Time’ performed by experienced dancers and knowledgeable dancers who recognized each other’s dance was truly overflowing with emotion. The late dance critic Kim Young-tae described planner Jang Seung-heon as ‘tofu’ in a poem. ‘Tofu’ implies that Jang Seung-heon is an honest person and has a good personality. Although I was out of breath trying to weave 100 years of Korean dance history through eight dance repertoires, Jang Seung-heon's exquisite commentary filled me with awe for the dancers who appeared and his friend Jeon Eun-ja. We hope that Jeon Eun-ja, a first-generation disciple of Kim Baek-bong, a pioneer of Korean dance in Korea, Jang Seung-heon, a first-generation dance professional planner in Korea, and their instructors will continue to take time to look back o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and recreate the history of Korean dance more solidly.
Written by Choi Haeree (Dance Anthropologist)
Photo provided by Seoul Namsan Gugakd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