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원천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작품들이 있다. 이때 작가는 기존의 텍스트의 특징을 편집하거나 재해석한다. 그리고 관객은 원 텍스트와의 비교를 통해 저마다 주석을 단다. 동작이나 이미지, 소품, 음악 등의 아이디어는 이러한 원 텍스트와 작품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재현 자체에 그치면서 각색된 장르만의 새로운 시선을 보여주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 결국, 연결돼 있지만 동시에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존재감을 보여주는 것이 이러한 상호텍스트적 작품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차진엽이 국립무용단과 함께한 〈몽유도원무〉 역시 제목에서 보이듯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園圖)〉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따라서 이 작품의 차별성은 ‘몽유도원도’의 강렬한 매력에 잠식되지 않고 작가의 독창적인 세계관을 펼치는 데서 얻을 수 있다. 2년 전 더블빌로 그 가능성을 내비쳤던 작품은 이번에 전체적인 흐름은 유지하되 이인무 등 일부 장면을 다듬어 한층 완숙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초연이나 이번 버전 모두 그림의 사상이나 독해를 무조건 따르기보다 시각적 표현의 레퍼런스로만 활용하면서 적절히 거리를 둔 것이 인상적이다. 무엇보다 ‘이상향’에 대해 관조적인 태도를 보인 그림과 달리, 〈몽유도원무〉는 실존적이고 체험적인 메시지를 통해 확실한 독자성을 증명해낸다.
〈몽유도원무〉의 고유한 행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시각적인 측면이다. 차진엽은 현실의 풍경과 이상 세계가 공존하는 그림의 구성을 무대에서도 재현하고 있다. 몽유도원도의 대표적인 표현법인 운두준(雲頭皴)을 영상과 춤으로 각색한 것이 대표적이다. 험준한 산세(山勢)를 구름이 피어오르듯 표현한 안견의 수법을 ‘굽이굽이’로 축약해 춤과 미디어아트로 구성한 연출은 차진엽의 시각화 역량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무대 뒤 산등성이 그림이 파도의 질감처럼 움직이는 영상은 원화의 환상성을 현대적으로 재현한다. 특히 이런 굴곡을 휘날리는 천이나 연기로 전환하는 아이디어는 한국적 정서와 초현실적 뉘앙스를 모두 담아낸 것이다.
시각적 측면에서 더 주목할 것은 이런 굴곡의 이미지를 활용한 안무다. 산맥이나 파도를 묘사한 듯한 스크린 속 실루엣이 무대 위 춤꾼의 행렬과 겹칠 때, 몽유도원도와 연결된 〈몽유도원무〉의 텍스트가 시작된다. 습기를 가득 머금은 수묵 담채의 굴곡은 무채색 복장의 춤꾼이 허리를 구부리고 이동하는 장면으로 중첩되며 텍스트 간 번역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런 구성은 점차 화사한 색감으로 발전하는 후반부 장면 연출과 궤를 같이하며 두 텍스트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이는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풀어낸 그림의 특징과도 흡사하다. 고난과 역경으로 점철된 현실의 삶을 어두운 음악과 함께 그려낸 고행의 움직임은 후반부 거문고와 앰비언트 사운드의 조합으로 한층 가볍고 환상적으로 연출되며 몽유(夢遊)의 콘셉트를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그림을 무대로 재현한 시각적 작업보다 그로부터 새롭게 창조해낸 철학적 메시지에 있다. 〈몽유도원도〉에는 현실의 장소와 이상적 공간이 공존하지만, 전반적인 시선의 무게 또는 종착지는 이상향의 환상성에 집중돼 있다. 그림에 대한 독해(讀解) 역시 안평대군의 정치적, 개인적 상황을 감안하여 이상향에 대한 동경으로 귀결된다. 반면 〈몽유도원무〉에서 그려지는 이상 세계는 관조의 대상이 아닌, 직접 부딪치며 체득해야 할 실존의 지향점이다. 즉 이 작품은 이상향까지의 여정을 환상적으로 묘사하는 데 주력하기보다, 굽이진 현실의 체험을 통해 일상의 의미를 재고하는 삶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이 지점에서 몽유도원무는 몽유도원도와 확실하게 다른 길을 선택한다. 거기에는 멀리서 볼 때 아름답고 완벽해 보이는 풍경(이상)도, 그 안으로 직접 들어가면 사실은 순탄치 않은 고된 여정이 있다는 현실의 감각이 담겨 있다.
이런 생각을 담아 작품 전반을 관통하는 동작이 ‘걷기’다. ‘걷기’는 그 삶의 체험을 형상화한 것으로, 전반부 춤꾼들의 지친 걸음이 후반부에 가서 생기 있게 연출되며 분위기를 쇄신하는 것이 그 방증이다. 공연 초반의 걷기는 그림 속 이상향을 향해 활보하는 낭만적 태도로도 볼 수 있지만, 종반에 몸의 물성(物性)을 반복하여 강조하는 동작과 춤 장면들을 배치해 점차 실존적 태도에의 지향성을 드러낸다. 특히 상수를 향해 나란히 선 춤꾼들이 각자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마지막 장면은 의미심장하다. 절대적인 성공의 기준은 없고 저마다의 리듬과 속도로 걸어가는 삶의 다양성을 찬양하는 연출이기 때문이다. 결국 차진엽은 미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이상)을 관조하는 것도 풍류이지만, 인생이라는 또 다른 자연을 저마다의 방식으로 걷는 것도 이 시대의 풍류라고 말하는 듯하다.
〈몽유도원무〉는 〈몽유도원도〉라는 텍스트와 나란히 읽히지만, 그에 종속되지 않고 내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끝내 고유한 길을 개척한다. 그것은 삶의 의미 또는 이상이 어딘가 멀리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각자의 몸으로 겪어내 발견하는 것이라는 메시지와 연결된다. 이렇게 보면 ‘몽유도원무’라는 몽환적인 제목은 그림의 독해와 달리 지극히 현실적인 철학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분히 반어적이다. 하지만 이 역시 제목과 콘셉트를 통해 텍스트의 유사성을 예상하고 탐색하려는 관객의 노력을 멋지게 배반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작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옛 그림의 특성에 상상력을 가미하고 이를 ‘오늘의 교훈’으로 변환해낸 실험은 국립무용단이 요구하는 한국적 컨템퍼러리 댄스의 한 성과로 남게 됐다.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국립무용단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From contemplation to existence, the philosophy of the body creat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s 〈Mongyudowonmu〉
There are works that are inspired by specific sources. At this time, the author edits or reinterprets the features of the existing text. And each audience member makes his or her own annot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text. Ideas such as movement, images, props, and music gain new meaning through the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work. However, there are also cases where it is limited to the reproduction itself and fails to show a new perspective unique to the adapted genre.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task of these intertextual works is to show a connected but at the same time individual and independent existence.
As the title suggests, Cha Jin-yeop's 〈Mongyudowondo〉 performed with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is also a work that originated from An Gyeon's 〈Mongyudowondo〉. Therefore, the differentiation of this work can be achieved by unfolding the author's original world view without being encroached upon by the strong charm of ‘Mongyudowondo’. The work, which showed its potential with a double bill two years ago, has returned in a more mature form this time by maintaining the overall flow but refining some scenes, including Lee In-moo. It is impressive that both the premiere and this version maintained an appropriate distance, using it only as a reference for visual expression rather than unconditionally following the idea or reading of the painting. Above all, unlike paintings that show a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utopia,’ 〈Mongyudowonmu〉 proves its distinct identity through its existential and experiential message.
The unique actions of 〈Mongyudowonmu〉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is the visual aspect. Cha Jin-yeop reproduces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in which the real landscape and the ideal world coexist on stage.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adaptation of Undujun (雲頭皴), a representative expression of Mongyudowondo, into video and dance. Cha Jin-yeop's visualization ability stands out in the production, which abbreviates An Gyeon's method of expressing the rugged mountain terrain as if clouds are rising, to 'bending' and consists of dance and media art. The video of the ridge behind the stage moving like the texture of waves recreates the fantasy of the original painting in a modern way. In particular, the idea of transforming these curves into flowing fabric or smoke captures both Korean sentiment and surreal nuance.
What is more noteworthy from a visual perspective is the choreography that utilizes these images of curves. When the silhouette on the screen, which seems to depict a mountain range or waves, overlaps with the procession of dancers on stage, the text of 〈Mongyudowonmu〉 which is connected to Mongyudowondo, begins. The curves of the moist ink-and-wash paint are overlapped with scenes of dancers in colorless costumes bending and moving, providing the pleasure of translation between texts. This composition is in line with the later scenes that gradually develop into bright colors, showing that the two texts are constantly interacting. This is also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that unfold the real world and the ideal world from left to right. The movement of penance, which depicts real life full of hardships and hardships with dark music, is made lighter and more fantastical by the combination of harp and ambient sound in the second half, effectively embodying the concept of dream travel.
However, what is most striking about this work is not the visual work that reproduces the painting on stage, but the new philosophical message created from it. In 〈Mongyudowondo〉, real places and ideal spaces coexist, but the overall weight or destination of the gaze is focused on the fantasy of utopia. The reading of the painting also results in a yearning for a utopia, taking into account Prince Anpyeong's political and personal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the ideal world depicted in 〈Mongyudowonmu〉 is not an object of contemplation, but a point of existence that must be experienced by directly encountering it. In other words, rather than focusing on a fantastical depiction of the journey to a utopia, this work emphasizes an attitude of life that reconsiders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curved reality. At this point, Mongyudowonmu chooses a path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Mongyudowondo. There is a sense of reality that even though the scenery (above) looks beautiful and perfect when viewed from a distance, it is actually an arduous and not smooth journey once you enter it.
With this thought in mind, the movement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work is ‘walking.’ ‘Walking’ embodies the experience of life, and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tired steps of the dancers in the first half become lively in the second half, renewing the atmosphere. The walking at the beginning of the performance can be seen as a romantic attitude towards the utopia in the picture, but towards the end, the movement and dance scenes that repeatedly emphasize the materiality of the body are arranged to gradually reveal an orientation toward an existential attitude. Particularly meaningful is the final scene where the dancers standing side by side towards Sangsu repeatedly advance and retreat. This is because it is a production that praises the diversity of life, where there is no absolute standard for success and each person walks at their own rhythm and pace. In the end, Cha Jin-yeop seems to be saying that contemplating nature (ideal) as an aesthetic object is a pungu, but walking through another nature called life in one's own way is also a pungu of this era.
〈Mongyudowonmu〉 is read side by side with the text 〈Mongyudowondo〉, but is not subordinate to it and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throughout, eventually carving out its own path. It is connected to the message that the meaning or ideal of life is not something that exists somewhere far away, but is something that is discovered through individual experiences. Looking at it this way, the dreamlike title 'Mongyudowonmu' is quite ironic in that it shows a very realistic philosophy, unlike the reading of the painting. However, this can also be said to be an interesting naming in that it nicely betrays the audience's efforts to anticipate and explore similarities in the text through the title and concept. In this way, the experiment of adding imagin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old paintings and converting them into ‘today’s lessons’ remained as an achievement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required by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