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선명한 ‘컨템퍼러리’, 흐릿한 ‘한국적인 것’: 국립무용단 〈행 +-〉


이른바 컨템퍼러리 예술의 홍수로 장르 융합의 급진적인 시도들이 이어지면서 최근의 ‘춤’은 더 이상 신체적인 움직임이 주도하는 장르가 아니게 됐다. 영상 매체의 적극적인 사용과 강렬한 설정으로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연출의 유행에서 전통적인 춤 미학의 입지가 좁아지는 건 불가피했다. 이런 양상에서 ‘한국적’이라는 정체성의 정립과 ‘컨템퍼러리’라는 양식으로의 전환을 함께 추구하는 국립무용단과, 현대춤에 전통적 요소와 움직임 원리를 적용해온 안애순의 첫 만남은 충분히 기대감을 자아내는 것이었다. 그 결과인 〈행 +-〉는 예상대로 몸짓 중심의 기존 춤 미학과 재회하는 무대였지만, 동시에 국립무용단이 추구하는 ‘한국적 컨템퍼러리’ 작업의 현주소와 당면 과제를 환기하는 작품이기도 했다. 


물론 작품은 전통에 뿌리를 대며 그로부터 현대성을 끄집어내려는 안무자의 의지를 시종일관 보여준다. 청량한 새소리로 시작하는 도입부와 일무식 대형에서 절제된 움직임과 호흡을 선보이는 1장은 춘앵전이라는 모티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어둠 속 무대를 깨우는 것은 꾀꼬리의 울음소리다. 이후 열별로 선 춤꾼들이 규칙적인 메트로놈 소리에 맞춰 선보이는 군무는 춘앵전으로 대표되는 정재의 규칙성을 연상시킨다. 동양철학의 규범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전통춤의 한계를 화문석 위에서만 추는 춘앵전으로 응축해 재현한 것이다. 특히 같은 동작을 다른 박자로 어긋나게 표현하는 대열의 군무는 주목할 만하다. 화문석이라는 공간에서는 벗어났지만 ‘행렬’이라는 또 다른 체계에 갇힌 춤꾼들의 움직임 차이는 공동체 속 개인을 묘사한다. 이는 전통 원형의 특징과 현재에도 여전한 개인과 사회의 속성을 반영한 안무라고 할 수 있다. 






1장이 체계 안에서 존재하는 전통, 사회 속 개인의 삶을 은유했다면, 2장은 그런 구조를 해체하고 자유로워진 개인 또는 전통의 에너지를 마음껏 펼치는 무대다. 1장의 행렬 강박이 무색하게 다양한 형태로 이합집산하는 전개는 확실한 대조를 이룬다. 1장이 전통 몸짓의 재현을 보여준다면, 2장은 그마저 해체해 버린 움직임 형태소들의 난장이다. 전통의 은하(銀河)에서 흩어진 소우주들이 펼치는 각자도생의 몸부림이다. 그것은 박제되지 않은 날것의 생명 활동이다. 춤 원형을 재해석하는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병치(竝置)하는 이 구성은 전통적 질서와 컨템퍼러리화의 과제 사이에서 접점을 찾으려는 안무가의 의지와 타협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화문석이라는 공간에 속박된 춘앵전을 해방시켜 그 본질과 잠재력을 오늘의 무대에 펼쳐 보이려는 안무가의 야심이 발현되는 장면이다.


그런데 이처럼 기호화된 전통 요소와 오늘날 삶의 실존이 정교하게 배치된 〈행 +-〉의 세계는 대부분 관념적이고 관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춘앵전’이라는 전통의 모티프에서 안전하게 출발한 작품은 이후 그 존재감이 사라지자 추상적이고 파편화된 몸짓들만 남는다. 물론 이는 안무 의도대로 ‘획일화된 행(row)에서 움직이는 행(move)’을 구현한 것이지만, 그 ‘자유롭고 다채로운’ 몸짓에는 어떤 독창적인 형태나 뚜렷한 지향점이 보이지 않는다. 철저하게 ‘개인성의 발견’에 초점을 맞춘 채 마무리되는 후반부는 그저 춤꾼 개인의 기량을 뽐내는 시간처럼 느껴진다. 작가로서 방점을 찍어야 할 대목이 무대 곳곳의 산발적인 몸짓에 그치고 마는 셈이다. 전통에 대한 인식의 해체에는 성공했지만, 그것을 개인의 몸짓으로 다원화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려는 의도는 그렇게 매력적인 움직임으로 연결되지 못한다. 


물론 일정 부분 그 역할을 해내는 대목이 있다. 바로 국립무용단표 컨템퍼러리의 ‘시그니처’라고 할 수 있는 장현수의 격정적이고 기술적인 솔로다. 이는 ‘컨템퍼러리’라는 명분 아래 모던한 조명과 의상, 전자음악 등으로 복잡해진 무대 풍경을 일순간 정리하고 시선을 모으는 구심점 역할을 한다. 그것은 그동안 컨템퍼러리 성격이 진한 작품에서도 국립무용단이 독자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특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다만 이러한 시도가 작품의 테마에 녹아들지 못하고 개인의 춤 자체로만 어필하는 양상이 작품이나 단체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인가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적 컨템퍼러리’라는 영역과 ‘행’이라는 키워드는 모두 거대한 담론이다. 〈행 +-〉는 안무가의 시선과 특징적 스타일을 통해 그 담론을 몇 가지 시각적인 설정과 연출로 추려낸다. 결국 춘앵전이라는 모티프의 기능이 다하면, 작품의 초점은 더하고 빠지는 움직임 실험에 맞춰지는데, 이는 안애순이 늘 해오던 작업 스타일과 일맥상통한다. 이런 접근은 효과적일 수는 있지만, 안무의 독창적인 매력보다는 연출의 관념이 더 두드러지는 결과를 야기한다. 이 관념적인 성격을 소거하면 익숙한 집단 전시와 현대춤 문법을 차용한 후반부의 무대만 남게 된다. 그래서 이런 방식은 전통의 현대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서는 유효하지만, 국립무용단의 독립적인 레퍼토리로서는 평이하게 느껴진다. 이는 테마의 혁신적인 표현보다는 리서치 자체에 큰 의미를 두다가 그대로 마무리되는 근래 현대춤 일각의 경향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한국적 컨템퍼러리’라는 표현은 시대의 과제이자 유행처럼 수년째 한국춤 무대에서 부유 중이다. 그 개념은 광범위하고 추상적이어서 실체를 규정하기 쉽지 않다. 다만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양식과 무대 감각이 ‘적절하게’ 결합 되어 미학적 균형을 추구하는 여러 시도들이 그 개념의 사례가 됐다. 현대춤 안무가들이 주도한 이 실험의 여정은 공감할 만한 성과도 냈지만, 때로는 납득하기 어려운 일탈에 그칠 때도 있다. 이는 ‘전통의 모던한 재현’을 넘어 전통과 현대를 관통하는 ‘한국적인 것’을 탐색하는 과정의 부작용으로 보인다. 컨템퍼러리의 양식적 실험에 익숙해진 지금은 오히려 ‘한국적인 것’에 대한 표현이 새로운 과제로 떠오른 듯하다. 그렇지 못했을 때 관객이 목도하는 것은 재구성까지 가지 못한, 해체된 전통 관념의 잔해들 뿐일 것이다.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국립무용단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Clear ‘Contemporary’, Blurry ‘Koreanness’: National Dance Company’s 〈Haeng +-〉 



As the so-called contemporary art flooded in and radical attempts at genre fusion continued, recent ‘dance’ is no longer a genre led by physical movement. It was inevitable that the position of traditional dance aesthetics would narrow due to the active use of video media and the trend of directing that conveys narratives with intense settings. In this context, the first meeting between the National Dance Company, which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identity and a transition to a ‘contemporary’ style, and Ahn Ae-soon, who has applied traditional elements and movement principles to modern dance, was sufficiently anticipated. The result, 〈Haeng +-〉, was a stage that reunited with the existing dance aesthetic centered on gestures as expected,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 work that reminded us of the current status and immediate tasks of the ‘Korean contemporary’ work pursued by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course, the work consistently shows the choreographer’s intention to root in tradition and draw modernity from it. The introduction, which begins with refreshing bird sounds, and the first act, which shows restrained movements and breathing in a large, one-piece form, clearly reveal the motif of Chunaengjeon. The sound of the cuckoo awakens the stage in the darkness. The group dance that the dancers perform in order of the regular metronome sound after that reminds us of the regularity of Jeongjae represented by Chunaengjeon.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ance, which cannot be free from the norms of Eastern philosophy, are condensed and recreated as Chunaengjeon performed only on Hwamun-Seok. In particular, the group dance in the line, which expresses the same movements in a different beat, is noteworthy. The differences in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who are free from the space of Hwamun-Seok but are trapped in another system called ‘procession’, depict individuals within a community. This can be said to be a choreograph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original and the attributes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at still remain today. If Chapter 1 was a metaphor for the tradition existing within the system and the life of an individual in society, Chapter 2 is a stage where such a structure is dismantled and the energy of the freed individual or tradition is freely displayed. The development where the obsession with the procession of Chapter 1 is disintegrated in various forms creates a clear contrast. If Chapter 1 shows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al gestures, Chapter 2 is a chaos of movement morphemes that have dismantled even that. It is the struggle of each microcosm scattered from the galaxy of tradition. It is a raw life activity that has not been stuffed. This composition, which juxtaposes two methods of reinterpreting the dance archetype without choosing one, makes us feel the choreographer's will and compromise to find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raditional order and the task of contemporaryization. This scene is where the choreographer's ambition to liberate Chunaengjeon, which is bound to the space called Hwamun-Seok, and to display its essence and potential on today's stage is revealed. However, the world of 〈Haeng +-〉, in which symbolic traditional elements and the reality of today’s life are intricately arranged, is mostly composed of conceptual and conventional structures. The work, which safely started from the traditional motif of ‘Chunaengjeon’, later loses its presence and only leaves behind abstract and fragmented gestures. Of course, this is the realization of ‘movement’ in a uniform row, as intended by the choreography, but there is no unique form or clear direction in the ‘free and colorful’ gestures. The latter half, which focuses thoroughly on ‘discovering individuality’, feels like a time for the dancers to simply show off their skills. The parts that the artist should have emphasized end up as scattered gestures all over the stage. Although the work succeeds in dismantling the perception of tradition, the intention to diversify it into individual gestures and discover new possibilities does not lead to such attractive movements.


Of course, there are parts that do play that role to some extent. This is Jang Hyun-soo’s passionate and technical solo, which can be called the ‘signature’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s contemporary. Under the pretext of ‘contemporary,’ it instantly organizes the complex stage scenery with modern lighting, costumes, and electronic music, and serves as a focal point that draws attention. It is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has allowed the National Dance Company to maintain its own identity even in works with strong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such attempts that fail to blend into the theme of the work and appeal only to the individual’s dance itself ar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k or the group.


The field of ‘Korean contemporary’ and the keyword ‘hang’ are both huge discourses. 〈hang +-〉 distills that discourse into several visual settings and productions through the choreographer’s perspective and characteristic style. In the end, when the motif of Chunaengjeon is exhausted, the focus of the work shifts to experiments with movement that add and subtract, which is in line with Ahn Ae-Soon’s usual work style. This approach may be effective, but it results in the concept of production being more prominent than the original charm of the choreography. If this conceptual nature is eliminated, only the familiar group exhibition and the latter half of the stage that borrows the grammar of modern dance remain. Therefore, this method is effective as a guideline fo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but it feels flat as an independent repertoire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 This reminds me of the recent trend of some modern dances that place great importance on the research itself rather than the innovative expression of the theme and then end it as is.


The expression ‘Korean contemporary’ has been floating around on the Korean dance stage for years as a challenge and trend of the times. The concept is broad and abstract, making it difficult to define its substance. However, many attempts to pursue aesthetic balance by ‘appropriately’ combining traditional elements, modern styles, and stage sense have become examples of the concept. This experimental journey led by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has produced some sympathetic results, but at times it ends up as an unacceptable deviation. This seems to be a side effect of the process of exploring ‘Koreanness’ that penetrates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beyond ‘modern reproduction of tradition.’ Now that we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stylistic experiments of contemporary, it seems that the expression of ‘Koreanness’ has emerged as a new challenge. If not, what the audience will see is nothing but the remnants of dismantled traditional ideas that have not been reconstructed.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