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을무용단(예술감독 김수현)이 창단 40주년을 맞았다. 1984년 배정혜 선생에 의해 창단되면서 한국춤의 르네상스기에 정체성 강한 움직임과 시대를 담은 주제로 치열하게 춤췄던 리을무용단의 역사가 하나의 마침표를 찍고, 또 다른 도약을 맞이할 준비를 시작한 것이다. 9월 21-22일 대학로예술극장대극장에서 열린 리을무용단의 〈미혹〉 공연은 단어 그대로 무엇에 홀려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이라는 뜻에 많은 것을 담고 있다. 여기서 무엇에 홀렸을까? 그 의미는 바로 춤이다. 40년의 세월은 미혹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의미도 있지만 이들이 추구해 온 춤의 정신과 춤사위에 스스로 홀려 여기까지 오기도 했고, 관객들을 춤으로 미혹시키고자 하는 의지도 드러냈다. 이번 안무는 리을무용단의 단장을 맡고 있는 이희자가 담당했고,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외에 6장으로 구성되었다.
무대의 첫 시작은 배정혜 선생의 구술로 시작해 영상으로 확대되었다. 지금까지의 대표작과 안무작을 통해 우리는 리을무용단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었고 그 뭉클함이 확연히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 작품에서 또한 주목할 부분은 시인 이제니의 〈발견되는 춤으로부터〉에 기저를 두고 〈미혹〉의 주제와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흔들리는 사람들’이라는 부제는 현재의 리을이 닥친 현실에도 불구하고 세상이 나를 뒤흔들 때 그 흔들림을 춤으로 승화시키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작품 전반에 검은 양복을 입고 사당탈을 쓴 여인이 등장하는데, 사당탈은 전통유랑예인집단 중 여자 예인을 상징하는 탈이다. 오랜 시간 전통과 창작을 오가며 전통의 현대화를 꾀한 배정혜선생과 리을무용단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는 것으로 그녀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넘나든다. 빛과 어둠의 경계에서 빛은 그림자를 만들고의 대립 부분으로 넘어가면서 검은색과 흰색으로 대비되는 두 무용수는 마치 하나였다가 둘이 되는 형상으로 그 표현력이 우수했다.
전체적으로 15명의 무용수들(김수현, 이주영, 김정민, 최희원, 김지민, 이자헌, 홍지영, 김채린, 최소희, 유재성, 정철웅, 백승민, 한지혜, 신한서, 이하윤)은 리을무용단의 정체성을 담은 춤사위와 드라마틱한 구성을 소화해 내며 현재를 진솔하게 풀어냈다. 머리에 관을 쓴 5인의 무용수들은 기하학적인 바닥영상과 어우러지며 빠른 가락에도 느린 움직임으로 응수하며 전통적인 발디딤과 손사위로 한국춤을 강조하였다. 뒤이어 라이브 연주에 선비 의상을 입은 김수현이 출현해 남장여자로서 부채든 선비의 모습으로 늠름하게 춤춰 눈길을 끌었고 3인의 남성무용수들이 더해지면서 그 폭발력과 역동적인 춤으로 활력을 더했다. 또한 재등장한 사당탈 여인은 그루브한 몸짓으로 이후 검은 드레스의 7명의 여인들의 춤을 이끌었고 이들의 군무는 리을무용단 특유의 현대적인 춤어휘를 드러냈다.
이어진 11명의 군무와 바닷물이 밀려오는 영상에서의 기량이 뛰어난 이인무, 번개 치는 듯한 조명에 무용수들이 급박하게 뛰어다니는 모습, 정장에 탈을 쓴 여인들의 일상적인 걸음, 후반부 모두가 가로 일렬로 서서 어깨를 들썩이며 반복하는 춤사위 등 다양한 장면들은 각 장을 표현하기에 적합했다. 특히나 때로는 박진감이 넘쳐나고 때로는 극적이면서도 절제된 춤사위와 응집되었다가 활활 타오르는 불길 같은 뜨거움이 반복되며 리을무용단의 특성을 확연히 보여주었다.
무지개빛 조명에 꽃가루가 날리는 엔딩은 앞으로 희망차게 이어갈 무용단의 미래를 암시했고 더 나아가 앞으로의 세기 동안 아름다운 사람에게서 가장 아름다운 춤이 나온다는 배정혜 선생의 정신과 자신들만의 현대적인 색채를 유지하면서도 동시대성을 담은 이들의 행보를 자축하는 이미지를 담았다. 리을무용단의 40년의 역사가 한국 창작춤의 역사와 함께 하듯 그 정신과 춤사위는 더욱 찬란하게 빛을 발하길…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옥상훈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Celebrating 40th Anniversary by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Bewitchment’: Leeul Dance Company’s 〈Mihok〉
Leeul Dance Company (Artistic Director Kim Soo-hyun) has celebrated its 40th anniversary. Founded in 1984 by Bae Jeong-hye, the Leeul Dance Company, which fiercely danced with strong movements and themes that contained the times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of Korean dance, has reached an end and is preparing for another leap forward. Leeull Dance Company’s 〈Mihok〉 performance held at the Daehangno Arts Theater Grand Theater on September 21-22 contains a lot in the literal meaning of being bewitched by something and not being able to come to one’s senses. What was it that was bewitched by? The meaning was dance. The 40 years of time not only mean that they are not shaken by bewitchment, but they also revealed their will to bewitch the audience with dance, having been bewitched by the spirit of dance and dance moves that they have pursued. This choreography was directed by Lee Hee-ja, the director of the Leeul Dance Company, and consists of six chapters, including a prologue and epilogue.
The first part of the stage began with Bae Jeong-hye’s oral history, which was expanded into a video. Through the representative works and choreography to date,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Leeul Dance Company, and its touching feeling was clearly felt. Another notable aspect of this work is that it is based on poet Lee Je-ni’s 〈From the Dance Discovered〉 and greatly influenced the theme and image of 〈Mihok〉. The subtitle 〈People Who Shake〉 also means that, despite the current reality facing Leeul, when the world shakes me, I will sublimate that shaking into dance.
Throughout the work, a woman wearing a black suit and a sadang mask appears, and the sadang mask is a mask that symbolizes a female entertainer among a group of traditional traveling entertainers. It symbolically contains the image of Bae Jeong-hye and Leeul Dance Company, who have been trying to modernize tradition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radition and creation for a long time. Sh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t the boundary between light and darkness, light creates shadows and moves to the opposite part, and the two dancers, contrasting black and white, are excellent in their expressiveness as if they were one and then two.
In total, 15 dancers (Kim Soo-hyun, Lee Joo-young, Kim Jeong-min, Choi Hee-won, Kim Ji-min, Lee Ja-heon, Hong Ji-young, Kim Chae-rin, Choi So-hee, Yoo Jae-sung, Jeong Cheol-woong, Baek Seung-min, Han Ji-hye, Shin Han-seo, Lee Ha-yoon) sincerely expressed the present by digesting the dance movements and dramatic composition that contained the identity of Leeul Dance Company. The five dancers wearing crowns on their heads responded to the fast rhythm with slow movements in harmony with the geometric floor images, emphasizing Korean dance with traditional footwork and hand movements. Following this, Kim Soo-hyun, dressed in a scholar’s costume, appeared in the live performance and danced manfully as a man-woman with a fan, drawing attention. The addition of three male dancers added to the explosive power and dynamic dance. In addition, the Sadang mask woman who reappeared led the dance of the seven women in black dresses with her groovy gestures, and their group dance showed the modern dance vocabulary unique to the Leeul Dance Company.
The following 11-member group dance and the outstanding skill of Lee In-mu in the video of the sea water rushing in, the dancers running around hurriedly in the lightning-like lighting, the everyday steps of the women in suits and masks, and the dance moves in the latter half where everyone stands in a line and shakes their shoulders repeatedly were various scenes that were suitable for expressing each scene. In particular, the dance moves that were sometimes full of excitement and sometimes dramatic yet restrained, and the heat that was like a blazing fire that was condensed and then ignited,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eul Dance Company. The ending, with pollen flying in rainbow-colored lights, hinted at the future of the dance troupe, which will continue with hope, and furthermore, it contained an image celebrating the spirit of Bae Jeong-hye, who believed that the most beautiful dances would come from beautiful people in the coming century, and their own modern colors while maintaining contemporaneity. Just as the 40-year history of the Leeul Dance Troupe goes hand in hand with the history of Korean creative dance, I hope that its spirit and dance moves will shine even brighter…
Written by Jang Ji-w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Ok Sang-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