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DOCUMENT_ROOT - assumed 'DOCUMENT_ROOT' in /home/user/dancepostkorea/public_html/new/board/review/pfm_view.php on line 4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DOCUMENT_ROOT - assumed 'DOCUMENT_ROOT' in /home/user/dancepostkorea/public_html/new/board/review/pfm_view.php on line 5

Notice: Undefined index: search_pfm in /home/user/dancepostkorea/public_html/new/board/review/pfm_view.php on line 12

Notice: Undefined index: cmt in /home/user/dancepostkorea/public_html/new/board/review/pfm_view.php on line 22

Notice: Use of undefined constant DOCUMENT_ROOT - assumed 'DOCUMENT_ROOT' in /home/user/dancepostkorea/public_html/new/board/review/pfm_view.php on line 126
무용리뷰-공연비평

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한국적 컨템퍼러리 댄스의 성취 혹은 딜레마, 왜 ‘춘앵무’인가: 국립무용단 〈행+-〉


국립극장이 2024-2025 레퍼토리 시즌을 국립무용단의 〈행+-〉(8.29.-9.1. 국립극장 해오름극장)로 시작했다. 안무가 안애순을 초빙해 만든 신작으로, 국립무용단은 이로써 지난 시즌 폐막작과 새로운 시즌 개막작을 모두 현대무용가의 작품으로 올리며 시즌을 열고 닫는 인상적인 장면을 만들어냈다. 내년 6월로 예정된 시즌 폐막작 〈파이브 바이브〉(가제) 역시 예효승의 안무로, 국립무용단의 컨템퍼러리 방향성에서 현대무용과의 컬래버레이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컨템퍼러리 한국춤이라는 넓은 범위 안에서 현대무용과의 컬래버레이션은 여러 방법론 중 하나일 뿐이지만 한국무용의 흐름을 선도하는 국립무용단에서 전통춤의 호흡을 오래 수련해 온 무용수들의 몸을 재료 삼아 현대무용의 움직임 실험을 통한 결과물을 내어놓는 이 같은 방식이 신작 생산과 레퍼토리화의 주요 경로가 되고 있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이것이 대학무용의 삼분법이 지배해 온 무용 무대에서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경계를 흐리게 해 세계를 확장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한국무용의 ‘전형’을 확장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는지 관심을 갖고 주의 깊게 봐야 할 일이다.




안애순은 소위 ‘한국적 컨템퍼러리 댄스’를 대표하는 현대무용가로, 그가 해온 작업들을 생각한다면 국립무용단과의 만남은 오히려 너무 늦은 감이 있다. 그는 〈행+-〉를 통해 전통춤의 양식미를 완성하기 위한 퍼즐로 존재하던 개별 무용수의 몸과 움직임이 한 조각의 퍼즐이 아니라 하나의 온전한 세계가 될 수 있는지 질문했다. 이를 위해 그는 화문석이라는 좁은 세계에서 펼쳐지는 궁중무용 〈춘앵무〉를 44명의 군무진이 움직이는 국립극장 해오름의 넓은 무대로 옮겨놓았다.


2막으로 구성된 공연을 두 개의 키워드로 요약한다면 ‘펼침’과 ‘확산’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골적인 〈춘앵무〉 모티브로 전개되는 1막은 독무로 진행되는 〈춘앵무〉의 전형을 ‘복사 붙여넣기’ 하듯 펼쳐놓는 데 집중한다. 어두운 무대에는 꾀꼬리 울음소리가 청량감 있게 울려 퍼지고 무용수들은 메트로놈의 규칙적인 박자에 맞춰 질서정연하게 행과 열을 지키며 움직인다.

 

물론 동작을 균일하게 맞춘 일사불란한 움직임은 아니다. 무용수들은 행과 열을 바꾸고, 팔의 높낮이를 바꾸고, 발동작의 속도를 바꾸며 〈춘앵무〉의 전형적인 움직임을 완성하는 게 아니라 각자의 움직임으로 〈춘앵무〉를 추어낸다. 움직임이 전개될수록 이들의 춤은 춘앵무‘였던’ 것, 혹은 춘앵무를 ‘닮았던’ 무언가에서 점점 멀어지며 〈춘앵무〉를 과거에 남겨놓고 현대로 이동한다. 〈춘앵무〉는 무용수들의 몸을 ‘상여’ 삼아 ‘운구’되어 사라진다. 


작품의 전개와는 별개로 지난 시즌 마지막 무대였던 〈신선〉에서부터 금발로 무대에 오르기 시작한 박소영은 이번 공연에서도 금발을 선보였는데, 과연 전통춤 무대는 그의 금발 염색을 어디까지 수용할 수 있을지, 그가 의도치 않은 균열을 내고 있는 무대의 지속성을 관찰하는 것 역시 객석의 흥미로운 관전 거리다.




무용수들이 모두 퇴장하고 광활하게 빈 무대는 소리꾼 이승희가 등장하며 분위기가 바뀐다. 공기를 베어내는 듯한 맑고 날카로운 소리는 2막으로의 전환을 알리는 서곡이다. 다소 정적으로 흘러갔던 1막은 2막으로 넘어가며 돌연 활기를 띠기 시작한다. 1막의 흰색이 아니라 컬러풀한 색색 의상으로 갈아입은 무용수들은 화문석이라는 작은 새장에 갇혀 있던 꾀꼬리가 마침내 새장을 나온 것처럼 질서정연한 움직임을 벗고 몸에서 우러나는 자연스러운 리듬에 따라 움직인다. 의상에만 색채가 입혀진 게 아니라 움직임도 색을 얻은 것이다. 이때의 색은 무작위로 선택된 것이 아니라 조각보를 연상케 하는 붉은색의 다양한 변주로 이루어진 것이다.


무용수들이 각자의 리듬에 따라 등퇴장을 반복하는 동안 넓은 무대를 장악하는 장현수의 솔로는 판소리의 눈대목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듯한 강렬한 파동을 일으킨다. 그의 춤은 2막의 ‘확산’이 ‘분산’으로 산만하게 흩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구심점인 동시에 1막의 펼쳐진 군무를 〈춘앵무〉의 독무로 되돌리는 또 다른 전환점이 된다. 그러나 이 춤은 〈춘앵무〉로의 회귀는 아니다. 〈춘앵무〉의 독무는 화문석이라는 좁은 무대 위에서만 완성되는 닫힌 세계로 존재하지만 장현수의 솔로는 화문석을 벗어나 국립극장 해오름의 드넓은 무대를 홀로 채우며 세계를 확장한다.





이렇게 장현수라는 개인이 완성한 세계는 국립무용단이 〈행+-〉으로 도달한 성취인 동시에 딜레마이기도 하다. 안애순도, 국립무용단도 이 세계가 왜 〈춘앵무〉를 경유해야만 했는지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돈된 양식미를 자랑하는 전통춤 가운데 〈행+-〉라는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기 위해 왜 〈춘앵무〉가 선택되었는지도, 여성 독무로서의 〈춘앵무〉가 남녀 혼성 군무로 펼쳐짐으로써 새롭게 얻은 의미는 무엇인지도, 장현수가 솔로 무대로 완성한 작품의 대미가 무엇을 향해 있는지도 〈행+-〉는 말해주지 않는다. 이로써 컨템퍼러리 한국춤으로서의 〈행+-〉는 무용수들의 역량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완성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질문을 갈음하는 한국 무용무대의 ‘동시대적 경향성’을 새삼 확인시켜 주는 무수한 시도 중 하나가 되었다.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국립극장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Achievement or Dilemma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Why ‘Chun-Aeng-Mu’: National Dance Company’s 〈Haeng+-〉



National Theater of Korea began the 2024-2025 repertory season with the National Dance Company’s 〈Haeng+-〉 (August 29-September 1, National Theater of Korea, Haeoreum). With this new work created by inviting choreographer Ahn Ae-soon, the National Dance Company created an impressive scene that opens and closes the season by presenting both the closing work of the previous season and the opening work of the new season as works by contemporary dancers. The closing work of the season scheduled for June next year, 〈Five Vibe〉 (tentative title), is also choreographed by Ye Hyo-seung, showing that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contemporary dance is increasing in the National Dance Company’s contemporary direction.


Of course, within the broad scope of contemporary Korean dance, collaboration with modern dance is only one of many methodologies, but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is method of using the bodies of dancers who have trained in the breathing of traditional dance for a long time as material and producing results through movement experiments of modern dance at the National Dance Company, which leads the trend of Korean dance, is becoming the main route for producing new works and forming a repertoire. It is worth paying close attention to whether this can expand the world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Korean and modern dance on the dance stage, which has been dominated by the tripartite division of university dance, and further expand the ‘typical’ of Korean dance. Ahn Ae-soon is a modern dancer who represents the so-called ‘Korean contemporary dance’, and considering the work she has done, her meeting with the National Dance Company seems too late. Through 〈Haeng+-〉, she asked whether the bodies and movements of individual dancers, which existed as puzzles to complete the formal beauty of traditional dance, could become a complete world rather than a single piece of the puzzle. To this end, he transferred the court dance 〈Chun-Ang-Mu〉, which unfolds in the narrow world of Hwamun-Seok, to the wide stage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Haeoreum, where 44 dancers move.


If we were to summarize the two-act performance with two keywords, it could be summarized as ‘unfolding’ and ‘spreading.’ Act 1, which unfolds with a blatant 〈Chun-Ang-Mu〉 motif, focuses on unfolding the typical form of 〈Chun-Ang-Mu〉, which is performed as a solo dance, as if ‘copying and pasting.’ The sound of a cuckoo’s cry resonates refreshingly on the dark stage, and the dancers move in orderly rows and columns to the regular beat of the metronome.


Of course, the movements are not uniform and unison. The dancers do not complete the typical movements of 〈Chun-Ang-Mu〉 by changing rows and columns, changing the height of their arms, and changing the speed of their footwork, but rather perform 〈Chun-Ang-Mu〉 with their own movements. As the movement unfolds, their dance gradually moves away from what was or was not Chun-Ang-Mu, leaving Chun-Ang-Mu in the past and moving to the present. Chun-Ang-Mu disappears as it is ‘carried’ using the dancers’ bodies as ‘bier’.


Separately from the development of the piece, Park So-Young, who started performing on stage with blonde hair in the last season’s final stage, 〈Shin-Seon〉 also performed with blonde hair in this performance. It is also interesting to observe how far the traditional dance stage can accommodate her blonde hair and the continuity of the stage that she is creating unintentional cracks.


After all the dancers leave the stage, the atmosphere of the vastly empty stage changes with the appearance of singer Lee Seung-Hee. The clear and sharp sound that seems to cut through the air is the prelude to the transition to Act 2. Act 1, which had been somewhat static, suddenly becomes lively as it transitions into Act 2. The dancers, who changed from the white of Act 1 to colorful costumes, finally break out of the cage of a small bird called Hwamunseok and move according to the natural rhythm of their bodies, shedding their orderly movements. It is not only the costumes that are colored, but also the movements. The colors at this time are not randomly selected, but are made up of various variations of red reminiscent of a patchwork. While the dancers enter and exit repeatedly according to their own rhythms, Jang Hyun-soo’s solo, which dominates the wide stage, creates powerful waves that seem to visually embody the eye-catching part of pansori. His dance is the center that keeps the ‘spread’ of Act 2 from being distracted by ‘dispersion’, and also becomes another turning point that returns the group dance of Act 1 to the solo dance of 〈Chun-Ang-Mu〉. However, this dance is not a return to 〈Chun-Ang-Mu〉. The solo dance of 〈Chun-Ang-Mu〉 exists as a closed world that is completed only on the narrow stage of Hwamun-Seok, but Jang Hyun-Soo’s solo expands the world by leaving Hwamun-Seok and filling the wide stage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Haeoreum alone.


The world completed by an individual named Jang Hyun-Soo is both an achievement that the National Dance Company reached with 〈Haeng+-〉 and a dilemma. Neither Ahn Ae-Soon nor the National Dance Company has been able to provide a clear explanation as to why this world had to go through 〈Chun-Ang-Mu〉. 〈Haeng+-〉 does not tell us why 〈Chun-Ang-Mu〉 was chosen to create a new world called 〈Haeng+-〉 among traditional dances that boast a refined and formal beauty, what new meaning 〈Chun-Ang-Mu〉, a female solo dance, gained by being performed as a mixed-gender corps dance, or what the finale of the work completed by Jang Hyun-Soo as a solo stage is aimed at. As such, 〈Haeng+-〉 as a contemporary Korean dance has become one of countless attempts to reaffirm the ‘contemporary tendency’ of Korean dance stages that change questions by demonstrating a certain level of perfection through the dancers’ capabilities.



Written by Danwoo Yoon (Performing Arts Columnist)

Photo provaded by National Theater of Korea


Notice: Undefined index: b_idx in /home/user/dancepostkorea/public_html/new/inc/ad_banner.php on line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