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유지를 위한 강력한 방법은 ‘타자’를 설정하고 그들을 배제함으로써 ‘우리’를 강조하는 것이다. 공동체와 다른 지향을 가진 대상을 설정할 때 성소수성은 분명하고 손쉬운 조건이다.
지난 10월 19일 해운대문화회관 해운홀에 올린 하야로비 무용단과 뽕잡화점이 협업한 〈민들레〉(연출 박소희, 공동안무 박소희·정승환, 작가 정승환, 출연 정승환·박소희·배진아·궁다빈·안혜연·이소희·이한이·장진솔·정희철)는 조금 다른 성정체성을 가진 한 남성이 소외당하고 배제당하지 않기 위해 고통스러운 자기 검열을 거듭하다가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이야기이다. 무대막이 열리기 전 어두운 객석 통로에 춤꾼들이 자리 잡는다. 음악이 시작되고 객석 조명이 점점 밝아지면서 춤꾼들이 춤을 춘다. 춤꾼들은 살색 타이츠에 가발 망을 덮어썼다. 의복은 사회가 규정한 정체성을 나타낸다. 최소한으로 치장한 채 몸매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춤꾼들의 차림은 옷을 갈아입을 준비가 된 상태, 다시 말해 정체성을 바꿀 준비가 된 상태이며, 그 상태로 인간의 몸이 가진 근원적 섹슈얼리티를 과시한다. 혼란스러운 성별과 차림으로 봐서 크로스드레싱(cross-dressing)인가 싶을 때, 코르셋을 착용한 남자(정승환)가 객석 뒤에서 두리번거리며 춤추는 춤꾼들 사이로 천천히 다가온다. 코르셋은 자기 억제를 상징하는 듯하다. 이처럼 〈민들레〉는 시작부터 무엇을 이야기하려는지 선명하게 드러낸다. 음악도 주제와 연관이 깊다. Donna Summer의 ‘On the Radio’의 가사는 ‘과녁이 되었던 지난날, 라디오에서 퍼지던 무성한 소문’(팸플릿)과 관련 있다.
객석에서 춤추던 무용수들이 무대로 향하면 막이 열리면서 매달린 거대한 거울 앞에 화려한 의상으로 치장한 한 인물이 잔뜩 뽐을 내며 서 있고, 바닥에는 거울 조각들이 세워져 있다. 매달린 거울은 마치 나이트클럽 미러볼처럼 조명을 강렬하게 반사한다. ‘희미한 안개 너머로 자유롭게 춤추는 화려한 공작새’(팸플릿)이다. 공작새와 민들레라는 대비적인 두 상징은 어떤 관계일까? 시놉시스에서 ‘눈부시도록 날개를 활짝 핀 형형색색의 공작새를 늘 동경해 왔지만, 사회로부터 평범한 민들레이기를 강요받아 왔다.’라고 두 상징의 의미를 설명한다. 라캉은 어린아이가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자신과 동일시하면서 자아(ego)가 구성된다고 했다. 거울 단계라고 하는데, 몸에 대한 실제 느낌과 통제력은 아직 성숙하지 않았지만, 이미지는 나르시시즘을 불러일으키는 완벽함으로 다가오는데 여기에서 최초의 분열이 발생한다. 이것이 자기의 욕망을 타자의 욕망에 기초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라캉의 타자는 나와 마주한 타자만이 아니라 거울에 반영된 자아 이미지를 동시에 포함한다. 공작새는 거울 이미지로써 나르시시즘을 불러일으키는 ’나‘이며 ’타자‘이다. 민들레는 사회가 강요하는 규범에 갇힌 평범한 ’나‘로 이 또한 ’나‘이자 ’타자‘이다. 공작새와 민들레는 진정한 자아의 분열을 일으키는 요소가 되는데, 결말에서 평범한 민들레를 폭발적 생명력을 잠재한 자유의 상징으로 해석한다.
70년생 남성이 10살 되던 해, 혼자 집에 남아 누나의 원피스를 입고 엄마의 화장대에서 화장하고, 구두를 신고 고모의 레코드판에서 울려 퍼지는 디스코 음악에 맞춰 자신만의 무도회를 열었다. 10살 소년이 처음으로 크로스드레싱을 한 모습은 자신이자 타자였다. 그의 정체성 분열이 이때부터 시작한 것이다. 소년이 춤추는 모습을 목격한 가족은 그를 철저히 외면했다. 노골적인 억압, 소리 없는 배제를 일찍 겪은 소년은 자기 안에 자리 잡고 있었던 소녀와 그날로 작별했다. 상징적 의미가 가득한 의상·소품으로 장면마다 70년생 남성의 소년 시절, 내면에 잠재한 소녀와 사회가 강요하는 젠더 역할의 갈등을 회상하는 방식으로 묘사한다.
사회적 억압과 자기 절제가 아무리 강하다고 해도, 침잠했던 소녀를 완전하게 억누를 수는 없었다. 작품이 진행할수록 억압적인 현실과 과거 그리고 무의식을 오가며 모티브를 풀어내는 동시에 쌓아간다. 검은 정장을 입히고 거부하는 장면은 사회적 역할과 내면의 자아가 갈등하는 상황을 표현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갈등이 고조되는 클라이맥스를 지나 무의식 저 아래로 가라앉혔던 소녀, 즉 여성성은 분홍 하이힐을 신는 것으로 의식의 표면으로 떠오른다. 인정하는 것이며, 받아들인다는 의미이다. 스스로 억압한 정체성 때문에 그가 얻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자존감은 피폐해졌고, 정체성 분열로 일어난 행동들은 사회적 고립을 가져왔을 뿐이었다. 처음 내 안의 소녀가 사라진 어린 시절 그의 가족이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50대에도 가족은 그를 외면하고 비난했다. 그의 선택은 잠재한 또 다른 나를 인정하고, 있는 그대로 그를 받아주는 이들과 함께하는 길이었다. ‘민들레’는 50대 남성으로 대표되는 ‘소수성’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갈망하는 자유, 그 자유를 향해 춤추며 날아가 뿌리내릴 가녀린 굳건함을 비유한다. 바람이 아무리 거칠어도 부서지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씨를 멀리 날리는 민들레는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를 정확하게 상징한다. ‘우리는 날개 달린 꿈을 꾼다. 어린 시절 내 머릿속을 가득 채운 꿈을’(‘블랙버드의 노래’ 중에서). 민들레는 어린 시절 내 머릿속을 가득 채웠던 꿈을 현실에 닿게 만들어 줄 자유를 갈구하는 의지이다.
〈민들레〉는 다루기 쉽지 않은 주제를 택해 몇 차례 수정을 거쳐 탄탄하게 완성했다. 가득한 상징, 때로는 직설적이고 때로는 은유적인 미장센, 파격적인 의상과 안무, 뚜렷한 극적 진행으로 주제 표현을 풍성하게 하면서도 집중력을 끝까지 놓치지 않았다. 죽음과도 같은 시간을 지나 자기 긍정으로 모든 혐오와 배제의 폭력으로부터 자유를 획득하는 결말은 비장하지 않고 경쾌하다. 〈민들레〉의 가장 큰 미덕은 소수자성을 지닌 채 살아온 50대 남성의 삶을 바라보면서 그의 선택이 존중받아 마땅하다는 것을 어설픈 공감이나 연민을 바라지 않고 당당하게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무대막이 닫힌 후 박소희, 정승환의 활동을 눈여겨보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들의 작업이 계속된다면, 독창적 형식이 완성될 것 같아서이다.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_ 박병민(사진가)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A heavy theme, a confident and cheerful ending: Hayarobi Dance Company + Bongjaphwajeom 〈Dandelion〉
A powerful way to maintain a community is to emphasize ‘us’ by establishing the ‘other’ and excluding them. When establishing a subject with a different orientation from the community, sexual minority is a clear and easy condition.
〈Dandelion〉 (directed by Park So-hee, co-choreographed by Park So-hee and Jung Seung-hwan, written by Jung Seung-hwan, starring Jung Seung-hwan, Park So-hee, Bae Jin-ah, Gung Da-bin, Ahn Hye-yeon, Lee So-hee, Lee Han-i, Jang Jin-sol, and Jung Hee-chul), a collaboration between Hayarobi Dance Company and Bongjaphwajeom, which was performed at Haeundae Cultural Center’s Haeundae Hall on October 19, is a story about a man with a slightly different sexual identity who painfully goes through self-censorship to avoid being alienated and excluded, and then finds his true self. Before the curtain opens, the dancers take their places in the dark aisles of the auditorium. As the music begins and the lights in the auditorium gradually brighten, the dancers begin to dance. The dancers wear flesh-colored tights and wig nets. The clothes represent the identity defined by society. The dancers’ outfits, which are minimally decorated and reveal their bodies, are ready to change clothes, or in other words, ready to change their identity, and in that state, they show off the fundamental sexuality of the human body. When the confusing gender and outfit make you think that it is cross-dressing, a man wearing a corset (Jeong Seung-hwan) slowly approaches the dancers who are dancing around the back of the audience. The corset seems to symbolize self-restraint. In this way, 〈Dandelion〉 clearly reveals what it is trying to say from the beginning. The music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theme. The lyrics of Donna Summer’s “On the Radio” are related to “the wild rumors that spread on the radio in the past when I was a target” (pamphlet).
When the dancers dancing in the audience head to the stage, the curtain opens and a figure dressed in a gorgeous costume stands in front of a large hanging mirror, and pieces of mirrors are placed on the floor. The hanging mirror reflects the light intensely like a nightclub mirror ball. It is called ‘A gorgeous peacock dancing freely beyond the faint fog’ (pamphle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trasting symbols of peacock and dandelion? The synopsis explains the meaning of the two symbols as ‘I have always admired the colorful peacock with its dazzling wings spread wide, but society has forced me to be an ordinary dandelion.’ Lacan said that the ego is formed when a child identifies with his or her own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This is called the mirror stage, and although the actual feeling and control over the body are not yet mature, the image approaches as a perfection that evokes narcissism, and this is where the first split occurs. This is the cause of basing one’s desire on the desire of others. Lacan’s Other includes not only the Other facing me but also the self-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The peacock is the ‘I’ and the ‘Other’ that arouses narcissism as a mirror image. The dandelion is the ordinary ‘I’ trapped in the norms imposed by society, and this is also ‘I’ and the ‘Other’. The peacock and the dandelion become elements that cause the division of the true self, and in the ending, the ordinary dandelion is interpreted as a symbol of freedom with explosive vitality.
When a man born in 1970 was 10 years old, he was left home alone, wearing his older sister’s one-piece dress, putting on makeup at his mother’s dressing table, and wearing shoes, and he held his own ball to the disco music blaring from his aunt’s record. The first time the 10-year-old boy cross-dressed was as both himself and the Other. His identity division began at this time. The family that witnessed the boy dancing completely ignored him. The boy who experienced blatant oppression and silent exclusion early said goodbye to the girl who had been inside him that day. Using costumes and props full of symbolic meaning, each scene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the girl latent inside him and the gender role imposed by society during the boyhood of a man born in the 70s.
No matter how strong the social oppression and self-restraint were, they could not completely suppress the girl who had been submerged. As the work progresses, the motifs are unraveled and built up while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oppressive reality, the past, and the unconscious. The scene where he dresses her in a black suit and refuses her is an important point in expressing the conflict between social roles and the inner self. After the climax of the conflict, the girl, or femininity, that had been buried deep in the unconsciousness, rises to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by wearing pink high heels. It means acknowledging and accepting. He gained nothing because of his self-repressed identity. His self-esteem was ruined, and the actions that occurred due to the split identity only brought about social isolation. Just as his family did when the girl inside him disappeared in his childhood, his family also turned away from him and criticized him in his fifties. His choice was to acknowledge his other potential self and be with those who accepted him as he was. ‘Dandelion’ is a metaphor for the freedom that people suffering from ‘minority’, represented by men in their fifties, yearn for, and the delicate firmness that will fly toward that freedom and take root. The dandelion, which does not break no matter how strong the wind is but instead spreads more seeds farther, symbolizes exactly what this work aims for. ‘We dream of winged dreams. The dreams that filled my head as a child’ (from ‘The Song of the Blackbird’). Dandelion is the will to yearn for freedom that will make the dreams that filled my head as a child come true.
〈Dandelion〉 chose a difficult subject and went through several revisions to solidify it. Full of symbols, sometimes direct and sometimes metaphorical mise-en-scène, unconventional costumes and choreography, and clear dramatic progression, the theme is expressed richly, but it never loses focus until the end. The ending, where one gains freedom from all the violence of hatred and exclusion through self-affirmation after a time that is like death, is not tragic but cheerful. The greatest virtue of <Dandelion> is that it looks at the life of a man in his 50s who has lived with a minority identity, and confidently shows that his choice deserves respect, without expecting awkward sympathy or pity. After the curtain closed, I thought I should keep an eye on the activities of Park So-hee and Jeong Seung-hwan. If their work continues, I think they will complete their unique form.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graphed by Park Byeong-min (photograp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