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3-1 (2025.1.5.) 발행
글_ 최해리(무용인류학자)
사진제공_ 전북도립무용단
전북도립무용단(예술감독 이혜경)은 〈진경〉(2022)과 〈고섬섬〉(2023)에 이어서 〈강〉(2024)까지 지난 3년간 전북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을 소재로 한 전북 브랜드 무용극 3부작을 발표하였다. 전작 2편인 〈진경〉과 〈고섬섬〉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수준 높은 공연으로 무용계로부터 큰 주목과 호평을 받았으며, 부산국악원, 경기아트센터, 나주축제에 초청되는 등 많은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작년 12월 12일에 제33회 전북도립무용단의 정기공연으로 올려진 ‘강’은 3부작의 종결판으로서 더할 나위 없는 수작(秀作)이었다.
역사, 문화, 자연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무용극으로 펼칠 때 자칫 협소한 주제로 소재와 풍광을 나열하는 식으로 진부하게 흐르기 쉽다. 그러나 이혜경 예술감독의 탄탄한 안무력, 무용수들의 안정된 기량, 전작 2편에서 다져진 대본와 연출(조주현), 영상(황정남), 조명(김철희), 의상(민천호) 등 협력 예술가들의 지역 특성에 대한 이해도로 ‘강’은 이런 우려를 비켜 갔다.
안무자 이혜경과 창제작진은 금강과 만경강이라는 전북의 대표적인 두 강의 자연과 생태를 스펙터클하면서도 고고하게 그려냈으며, 두 강을 배경으로 살아가는 지역민의 삶과 역사, 특히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라는 거대한 서사를 춤, 조명, 영상, 무대미술, 판소리, 합창, 의상 등 융복합 예술로 압축적이며 압도적인 힘으로 표현하였다. 무대 중간을 가로질러 가설한 긴 수평 무대, 무대 뒷면에 설치한 커다란 미러 무대, 장면마다 수시로 변화하는 영상과 수직으로 움직이는 조명은 압도적인 무대효과를 자아냈다. 그리고 나룻배, 볏섬 자루, 낚싯대, 갈대밭 등 수많은 소품과 무용수들의 캐릭터를 살려주는 분장과 의상 등은 작품의 주제와 안무자의 의도를 표현하는데 한 치의 모자람이 없었다. 특히 아름다운 자연의 정경(情景)은 영상과 무대미술을 통해, 농민과 어부들의 정한(情恨)의 삶은 음악, 조명, 의상을 통해, 일제강점기의 수탈과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이자 민중들의 정동(情動)은 소리와 움직임을 통해 여실히 드러내었다. 특히 전북의 생태와 역사의 시공간은 지역민들과 그들의 삶이 이끌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은 춤꾼들의 몸짓과 표현에 있었다. 춤꾼들의 몸은 때로는 역사, 생태, 물질이 되어 압축적으로 상징하고 은유하였으며, 안무자는 주제 전개의 희로애락을 솔로, 듀엣, 군무로 서정적이면서도 역동적으로 잘 표출하였다. 다만, 군무 구성의 수직성이 부족하다 보니 압도적인 무대 연출에 비해 민중성과 저항성이라는 상징적인 힘은 약해 보였다.
전북도립무용단의 〈강〉이 더욱 특별했던 이유는 음악에 있었다. 소리의 고장인 전주에 정주한 무용단답게 작품 전반에 판소리의 정체성을 강렬하게 부각했으며, 한국과 서양의 음률을 조화롭게 연주했던 창극단의 합창과 관현악단의 음악적 뒷받침은 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한껏 끌어 올렸다.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의 객석을 가득 채운 관객들은 역동적인 군무와 아름다운 이인무에 환호했고, 고아한 독창, 강렬한 합창, 장엄한 영상, 웅장한 무대미술로 펼쳐지는 장면들에는 숨을 죽였다. 지역민들이 태반인 관객의 대부분은 지역의 소재들이 빼어난 소리와 몸짓, 스펙터클한 무대로 표현되는 것에 큰 자부심을 가지는 듯 보였다.
전북 브랜드 무용극 시리즈인 〈진경〉, 〈고섬섬〉, 〈강〉은 전북의 자연, 역사, 예술, 삶을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으로 풀어내는 작업이다. 전작 〈진경〉이 호남평야, 농부, 농악을, 〈고섬섬〉이 부안 위도, 어부, 풍어제를 소재로 한 네오고전주의를 지향하는 작품들이라면, 이번 〈강〉이라는 작품은 금강과 만경강, 농부이면서 어부, 동학혁명의 정경과 서사를 부각한 한국 컨템퍼러리댄스였다. 전작 2편인 〈진경〉, 〈고섬섬〉과 더불어 이번 전북도립무용단의 신작 〈강〉은 국립무용단, 국립국악원 무용단, 서울시립무용단을 포함해서 국공립무용단들이 최근 몇 년간 펼친 공연 중에서 독창적 안무, 예술적 완성도, 동시대적 무대라는 측면에서 가장 성공을 거둔 한국무용 작품으로 기록하고 싶다. 이는 이혜경 예술감독이 그동안 세계 무대를 주유하며 키운 글로벌한 안목과 기획력이 뒷받침되고, 무용단장으로서의 탁월한 지도력 덕분일 것이다.
다만, 무대 뒷면에 미러 판을 설치해서 반사작용으로 강의 흐름을 생동감 있게 확장한다거나 기다란 낚싯대를 활용해서 동양 무술처럼 유려하게 움직인다든가 나룻배를 탄 삿갓 쓴 어부의 등장 등 여러 장면과 움직임 구성은 일면 독창적으로 보이지만, 동양적 컨템퍼러리댄스의 클리셰(상투적 표현)처럼 다가왔다. 마치 유럽과 북미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아시아 현대무용의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 잡은 대만의 클라우드게이트 무용단이 오래전에 선보였던 셀프 오리엔탈리즘적 무대 전개와 연출 기법을 수용한 듯싶었다. 안무자의 클라우드게이트 무용단의 창시자 린화이민에 대한 오마주(경외감)에서 기인한 것인지, 작품의 세계진출을 위한 전술인지는 가늠되지 않았다. 한국 컨템퍼러리댄스의 앞날을 위해서 안무자와 전북도립무용단의 또 다른 도전을 기대해 보겠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3-1 (2025.1.5.) Issue
Written by Choi Haeree (Dance Anthropologist)
Photos provided by Jeonbuk Provincial Dance Company
Jeonbuk Brand Dance Theater Trilogy Final Edition 〈Gang〉: Jeonbuk Provincial Dance Company 33rd Regular Performance
Jeonbuk Provincial Dance Company (Artistic Director Lee Hye-kyung) has presented a trilogy of Jeonbuk brand dance theaters based on the history, culture, and nature of the Jeonbuk region, from 〈Jingyeong〉 (2022) and 〈Goseom Island〉 (2023) to 〈Gang〉 (2024)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previous two works, 〈Jingyeong〉 and 〈Goseom Island〉, received great attention and acclaim from the dance world as high-quality performances that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chieved many results, such as being invited to the Busan Gugak Center, Gyeonggi Arts Center, and Naju Festival. ‘River’, which was performed as the 33rd regular performance of the Jeonbuk Provincial Dance Company on December 12th last year, was a masterpiece as the final version of the trilogy.
When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nature are presented in a dance drama, it is easy to flow in a trite way by listing materials and scenery with a narrow theme. However, thanks to the solid choreography of artistic director Lee Hye-kyung, the stable skills of the dancers, and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ng artists such as the script (Cho Ju-hyun), video (Hwang Jeong-nam), lighting (Kim Cheol-hee), and costume (Min Cheon-ho)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previous two works, ‘River’ avoided such concerns.
Choreographer Lee Hye-kyung and the creative production team depicted the nature and ecology of the two representative rivers of Jeollabuk-do, Geumgang and Mangyeonggang, spectacularly and sublimely, and expressed the lives and history of the local people living with the two rivers as the background, especially the great narrativ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f 1894, with a condensed and overwhelming power through a fusion of arts such as dance, lighting, video, stage design, pansori, choir, and costumes. The long horizontal stage constructed across the middle of the stage, the large mirror stage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stage, the video that changes constantly with each scene, and the lighting that moves vertically created an overwhelming stage effect. In addition, the numerous props such as a ferry boat, rice straw sacks, fishing rods, and reed fields, as well as the makeup and costumes that bring the dancers’ characters to life, were not lacking in expressing the theme of the work and the choreographer’s intentions. In particular,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was vividly expressed through video and stage design, the lives of farmers and fishermen with their emotions were vividly expressed through music, lighting, and costumes, and the historical events of exploi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s well as the emotions of the people, were vividly expressed through sound and movement. In particular, the message that the ecological and historical space of Jeollabuk-do was led by the local people and their lives was conveyed through the gestures and expressions of the dancers. The dancers’ bodies sometimes became history, ecology, and material, symbolizing and metaphorizing them in a compressed manner, and the choreographer expressed the joys and sorrows of the theme development lyrically and dynamically through solos, duets, and group dances. However, because the verticality of the group dance composition was lacking, the symbolic power of the people and resistance seemed weak compared to the overwhelming stage direction.
The reason why Jeollabuk-do Provincial Dance Company’s 〈Gang〉 was even more special was because of the music. As a dance troupe based in Jeonju, the home of sound, the identity of pansori was strongly highlighted throughout the work, and the musical support of the choir and orchestra of the Changgeuk troupe, which harmoniously played Korean and Western melodies, greatly enhanced the artistic perfection of the work. The audience that filled the seats of the Moakdang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heered for the dynamic group dance and beautiful two-person dance, and held their breath for the scenes that unfolded with elegant solos, powerful choruses, magnificent images, and magnificent stage design. Most of the audience, who were mostly local residents, seemed to take great pride in the way local materials were expressed through excellent sounds, gestures, and spectacular stages.
The Jeonbuk brand dance drama series, 〈Jingyeong〉, 〈Goseo Island〉, and 〈Gang〉, are works that interpret Jeonbuk’s nature, history, art, and life in a classical yet modern way. If the previous work, 〈Jingyeong〉 was a neoclassical work based on the Honam Plain, farmers, and Nongak, and 〈Goseo Island〉 was a work based on Buan Wido, fishermen, and the harvest festival, then this work, 〈Gang〉 is a Korean contemporary dance that highlights the Geumgang and Mangyeonggang Rivers, farmers and fishermen, and the Donghak Revolution. Along with the previous two works, 〈Jingyeong〉 and 〈Goseom Island〉 this new work by the Jeonbuk Provincial Dance Company, 〈Gang〉 is the most successful Korean dance work in terms of original choreography, artistic perfection, and contemporary staging among the performances by national and public dance companies, including the National Dance Company, National Gugak Center Dance Company, and Seoul Metropolitan Dance Company, in recent years. This is likely due to the global vision and planning skills that Artistic Director Lee Hye-kyung has cultivated while traveling around the world, as well as her outstanding leadership as the dance company director. However, the various scenes and movement compositions, such as the mirror plate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stage to dynamically expand the flow of the river through reflection, the use of a long fishing rod to move gracefully like oriental martial arts, and the appearance of a fisherman wearing a bamboo hat on a boat, seem original at first glance, but they came across as clichés of oriental contemporary dance. It seemed as if the Taiwanese Cloud Gate Dance Company,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nique presence in Asian contemporary dance on global stages such as Europe and North America, had adopted the self-orientalist stage development and directing techniques that were presented long ago. It was unclear whether this was due to the choreographer’s homage to Lin Hwa-min, the founder of Cloud Gate Dance Company, or a tactic for the work’s global advancement. We look forward to another challenge from the choreographer and Jeonbuk Provincial Dance Company for the future of Korean contemporary d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