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백 년 전 광대들과 어울려 놀다: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광대〉

공연비평

Vol.113-2 (2025.1.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국립정동극장



국립정동극장 예술단이 K-컬처 시리즈의 첫 작품이라는 야심찬 수식어를 붙인 〈광대〉로 새해 첫걸음을 내디뎠다. 지난 2021년 예술단이 정식 출범한 뒤 두 번째 정기공연으로 선보였던 〈소춘대유희-백년광대〉에서 코로나 팬데믹 등의 설정을 수정해 지난해 11월 〈소춘대유희〉로 재연 무대를 올렸고, 쇼케이스 성격이었던 지난해 공연을 다시 다듬으며 좀 더 명료한 의미 전달과 친근한 접근을 위해 제목을 〈광대〉로 바꾸었다. 공연기간은 1월 15일부터 2월 16일까지, 꼬박 한 달여 동안 관객들과 만나는 장기공연이다. 공연에 대한 예술단의 기대를 엿볼 수 있는 단면이다. 


‘소춘대유희(笑春臺遊戱)’는 ‘웃음이 만발한 무대에서 즐기는 놀이’라는 뜻으로, 1902년 12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극장으로 알려진 협률사에서 올려진 첫 근대식 공연이다. 당해 고종의 즉위 40년을 기념해 칭경예식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서울에 콜레라가 창궐하고 고종의 막내아들 영친왕이 천연두에 걸리는 등 도성에 전염병이 확산되면서 예식이 취소되었다(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올려진 지난 2021년 〈소춘대유희〉 초연에는 코로나로 인해 공연이 취소되었다는 설정이 삽입되었고, 실제 공연도 출연자 대부분이 확진자와의 밀접 접촉이 확인되며 축소 운영되었다).

 


그러자 칭경예식을 주도했던 참령 장봉환은 예식에 참여하기 위해 모인 예인들을 중심으로 전통연희회사를 설립해 일반인 대상의 유료공연을 개최했는데, 이것이 바로 한국 공연예술사의 근대적 기점으로 꼽히는 ‘소춘대유희’다(원래 ‘협률사’는 극장이 아니라 연희회사의 명칭이었고 극장은 ‘희대’로 불리었으나 훗날 극장의 명칭도 ‘협률사’로 통일되었다. ‘협률사’는 장악원의 후신인 ‘교방사’의 이칭이기도 하다). ‘소춘대유희’는 특정 작품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명창들의 소리와 예기들의 춤, 재인들의 곡예 등 전통연희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총체극으로 올려졌다.


전통의 현대화는 전통예술을 기반으로 한 예술가들이 최일성으로 내세우는 모토이기도 한데, 예술단은 여기에 정동의 역사성이라는 예술단 고유의 화두를 꾸준히 탐색하고 있다. 백여 년 전 ‘소춘대유희’를 재해석한 〈광대〉와 지난해 5월 ‘모던 연희극’을 표방하며 올린 〈모던정동〉은 ‘근대와의 만남’이라는 화두를 무대 위에 펼쳐낸 결과물이다. 〈모던정동〉에서 한국무용을 전공한 현대의 취업준비생 유영이 타임슬립으로 백여 년 전 근대 정동의 한복판에 떨어졌다면, 〈광대〉에서는 백여 년 전 무대에 올랐던 예인들이 예술단원들이 공연을 준비하는 현대의 공연장에 나타난다.


공연은 예술단장 순백의 지도 아래 〈소춘대유희〉 공연 연습에 한창이던 단원들이 갑작스러운 정전에 혼비백산해 흩어지며 시작된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당황스러워하는 순백 앞에 갓을 쓰고 흰색 도포를 입은 정체불명의 아이가 나타난다. 아이의 등장을 시작으로 백여 년간 극장을 지켜 온 오방신과 백년광대들이 무대로 나와 전통춤과 연희가 어우러지는 놀이판을 벌인다.

 


오방신은 공연장을 지키는 가택신으로, 대들보를 관장하는 성주신, 극장의 모든 문을 열고 닫는 문왕신, 무대와 연습실을 지키는 터주신, 의상과 소품을 지키는 업왕신, 조명을 관장하는 조왕신을 합쳐 이르는 말이다. 이들과 백년광대들은 예술단원들의 ‘선배’를 자처하며 백여 년 전 ‘소춘대유희’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재현해내고, 단원 두리는 백년광대 중 춤패 대장인 초희와 춤으로 대결하며 흥을 돋운다. 초연부터 두리 역으로 무대를 지켜 온 조하늘이 이번 공연에서도 신명나는 춤사위를 선보였는데, 그는 〈모던정동〉에서도 주인공 유영 역으로 현대와 근대의 가교 역할을 맡은 바 있다. 장기공연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에는 이예도가 조하늘과 더블캐스팅으로 무대에 오른다.


단장 순백은 〈심청가〉 중에서 심봉사 눈 뜨는 대목을 구성진 소리로 부르며 놀이에 동참해 춤과 연희로 달아오른 무대에 소리의 정취를 더한다. 순백 역은 초연의 이상화 외에 이봉근이 더블캐스팅으로 참여해 소리와 연기 대결을 펼친다.

 


 


그리고 공연이 끝나갈 무렵 아이의 정체가 밝혀지는데, 그는 순백이 가장 존경하는 판소리 명창 이동백이었다. 아이 역은 판소리 영재 최슬아와 이번 공연에 새로이 선발된 최이정이 번갈아 맡으며 맑은 소리와 재기 넘치는 연기로 객석에 웃음을 전한다. 아이의 모습에서 미디어아트로 재현된 이동백은 환한 웃음과 함께 잘 놀다 간다며 백 년 전 광대들을 데리고 사라진다. 순백과 두리, 현대의 예술단이 현대의 무대에서 현대의 관객들에게 ‘웃음이 만발한 무대에서 즐기는 놀이(소춘대유희)’를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숙제를 남긴 채로.


〈모던정동〉에서 예술단은 무대 위에 재현해낸 백 년 전의 모습이 ‘창조된 복고’가 아니라 우리의 역사이며, 그 역사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웅변한 바 있다. 그렇다면 〈광대〉에서 불러낸 백여 년 전 〈소춘대유희〉의 광대들은 현재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과거와 현재의 공존을 꾸준히 말해 오고 있는 예술단의 동시대적 관점이 관객들과 어떤 공명을 만들어내는지 이 무대의 성패를 지켜볼 일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3-2 (2025.1.20.) Issue


Written by Yoon Dan-woo (Performing art Columnist)

Photo provided by National Jeongdong Theater



Playing with Clowns a Hundred Years Ago: National Jeongdong Theater Art Troupe's 〈Clown〉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 Art Troupe took its first step into the new year with 〈Clown〉, which is ambitiously described as the first work of the K-Culture Series. After the art troupe was officially launched in 2021, it presented its second regular performance, 〈Sochundae Yuhee-Baeknyeon Gwangdae〉, and revised the setting,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to stage a re-performance as 〈Sochundaeyuhee〉 in November of last year. Last year's performance, which was a showcase, was re-edited and the title was changed to 〈Clown〉 to convey the meaning more clearly and approachably. The performance period is from January 15 to February 16, a long-term performance that meets the audience for a full month. This is a cross-section that allows us to see the expectations of the art troupe for the performance.


‘Sochundaeyuhee(笑春臺遊戱)’ means ‘play enjoyed on a stage full of laughter’, and it is the first modern performance performed in December 1902 at Hyeop-ryul-sa, known as the first Western-style theater in Korea. It was planned to hold a royal ceremonial ceremony to commemorate the 40th anniversary of Emperor Gojong’s enthronement, but the ceremony was canceled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capital, such as cholera spreading in Seoul and Emperor Gojong’s youngest son, Prince Yeongchin, contracting smallpox (the 2021 premiere of 〈Sochundaeyuhee〉,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cluded a setting that the performance was canceled due to COVID-19, and the actual performance was also scaled down as most of the performers were confirmed to have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confirmed cases).


Then, Jang Bong-hwan, the chief of the royal court who led the ceremonial ceremony, established a traditional performance company centered around the entertainers who gathered to participate in the ceremony and held paid performances for the general public. This is the ‘So-chun Dae-yu-hui’, which is considered the modern starting point of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ing arts (originally, ‘Hyeop-ryul-sa’ was not a theater but a performance company, and the theater was called ‘Hee-dae’, but later the name of the theater was also unified as ‘Hyeop-ryul-sa’. ‘Hyeop-ryul-sa’ is also the name of ‘Gyo-bang-sa’, the successor of Jangak-won). ‘So-chun Dae-yu-hui’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work, but is a total play that combines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the voices of famous singers, the dances of yegi, and the acrobatics of talented people.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is also a motto that artists based on traditional arts have put forward as Choi Il-sung, and the art troupe is constantly exploring the historical nature of Jeong-dong, which is a unique topic of the art troupe. 〈Gwangdae〉, which reinterprets the 〈Sochundaeyuhee〉 from over a hundred years ago, and 〈Modern Jeongdong〉, which was performed in May of last year under the title of a ‘modern play’, are the results of unfolding the theme of ‘meeting with modernity’ on stage. In 〈Modern Jeongdong〉, Yu-yeong, a modern job seeker who majored in Korean dance, time-slips and falls into the middle of modern Jeongdong over a hundred years ago, while in 〈Gwangdae〉, the entertainers who appeared on stage over a hundred years ago appear in a modern performance hall where the art troupe members are preparing for a performance.


The performance begins with the members of the troupe, who were practicing for the 〈Sochundaeyuhee〉 performance under the guidance of the art troupe leader, Sunbaek, scattering in confusion due to a sudden power outage. An unidentified child wearing a hat and white robe appears in front of Sunbaek, who is flustered by the sudden situation. Starting with the child’s appearance, the five gods and the Baeknyeon Gwangdae, who have been guarding the theater for over a hundred years, come out on stage and perform a play combining traditional dance and play.


The five gods are the household gods who protect the performance hall, and they are the Seongjusin who controls the main beam, the Munwangsin who opens and closes all the doors of the theater, the Teojusin who protects the stage and practice room, the Upwangsin who protects the costumes and props, and the Jowangsin who controls the lighting. They and the Baeknyeon Gwangdae, who call themselves the ‘seniors’ of the art troupe, recreate what the ‘Sochu Daeyuhee’ was like a hundred years ago, and the troupe member Duri dances against Chohee, the leader of the Baeknyeon Gwangdae dance troupe, and livens up the performance. Jo Ha-neul, who has been on stage as Duri since the first performance, also shows off his energetic dance moves in this performance. He also played the main character Yoo-young in 〈Modern Jeongdong〉,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modern and the contemporary. In this long-running performance, Lee Ye-do and Jo Ha-neul will be double-cast on stage. 


The leader, Sunbaek, sings the part where Sim Bong-sa opens his eyes in 〈Simcheongga〉 with a composed voice and joins the play, adding the emotion of sound to the stage that is heated up with dance and drama. In addition to the first performance, Lee Bong-geun participates in the role of Sunbaek as a double cast, showing a competition of voice and acting.


And towards the end of the performance, the identity of the child is revealed, and he is Lee Dong-baek, a pansori master whom Sunbaek respects the most. The role of the child is alternately played by Choi Seul-ah, a pansori prodigy, and Choi I-jeong, who was newly selected for this performance, and they bring laughter to the audience with their clear voice and lively acting. Lee Dong-baek, who is recreated as media art in the form of the child, disappears with a bright smile, saying that he will have a good time and take the clowns from a hundred years ago. Sunbaek, Duri, and the modern art troupe are left with the task of how to convey the ‘play enjoyed on a stage full of laughter (Sochunmaeyuhee)’ to the modern audience on a modern stage.


In 〈Modern Jeongdong〉, the art troupe eloquently argued that the image of a hundred years ago recreated on stage is not a “created restoration” but our history, and that history continues to this day. Then, how do the clowns of 〈Sochundaeyuhee〉 from a hundred years ago, called forth in 〈Gwangdae〉, connect with the presen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of the art troupe, which has consistently spoken of the coexisten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will resonate with the audience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is stage will be worth wat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