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포스트코리아
지난자료보기

로고

무용리뷰

공연비평

변함없는 본질에 대한 다각도의 탐구: 현대무용단 탐 45주년기념 작품시리즈Ⅱ 솔로공연

공연비평

Vol.118-1 (2025.6.5.) 발행


글_ 장지원(춤평론가)

사진제공_ 현대무용단 탐

 

 

이화여대 무용과 대학원생들에 의해 1980년에 창단된 현대무용단 탐은 독창적인 춤어휘와 시대를 담은 메시지, 뛰어난 기량과 표현력으로 당대를 호령했다. 창단 후 조은미 선생의 지휘하에 수많은 안무가, 교육자를 배출하고 해를 거듭하며 발전해 온 탐이 4월 24일 서강대 메리홀에서 ‘현대무용단 탐 45주년기념 작품시리즈Ⅱ 솔로공연’을 가졌다. 창단 45주년을 기념하면서 올해 2월 작품시리즈I 젊은무용수 젊은안무가 공연에 이어 마련된 공연으로, 현재 탐의 주축으로 단체를 끌어가고 있는 탐 대표 마승연과 대표 안무가 겸 수석무용수 조양희, 다양한 관심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어수정의 솔로공연으로 이뤄졌다. 공통적으로 세 작품은 연계성을 가진 주제와 오브제의 활용, 영상을 통한 시공간의 이동은 총체 예술적 성격을 담아냈다.


현대무용단 탐은 춤에 있어서 일시적 기류나 유행에 중심을 잃지 않고 고정된 형태에 머무르지 않기 위해 움직임이 지닌 에너지와 시대정신, 감각을 견고히 다져가며 끊임없이 탐구하는 과정을 추구해 왔다. 이번 솔로공연 역시 무용단의 춤 철학의 의미를 담고 안무자들은 ‘본질’이라는 공통적인 주제를 각자의 시각과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다뤘다. 본질은 시간과 환경이 변해도 흔들리지 않고 우리 곁에 존재하며 항상성을 통해 새로운 도전적 힘을 갖는다. 변화무쌍하게 만들어내는 근원적 에너지를 안무자들은 작품 속에서 내재한 힘의 궁극성으로 말하고자 했으며 작품의 오프닝은 본질을 탐구하는 여정의 영상으로 시작해 움직임과 영상의 조화로운 연출을 통해 메시지를 전했다.




첫 시작은 상명대와 서울예고에서 교육활동을 펼치고 있는 어수정의 〈찬란을 묻다〉였다. 〈찬란을 묻다〉는 지금의 순간이 찬란이고 그럼에도 찬란에 대해 묻고 있는 모습을 신체언어로 표현했다. 어수정은 물의 성질을 다루며 본질을 그려냈는데, 먼 곳에 찾으려 했던 나의 찬란이 무엇이었는지를 생각하며 작품에 접근했다. 물의 흐름을 담아내거나 주제를 암시하는 듯한 텍스트 영상의 감각적인 사용과 방사형 형태의 치마를 사용해 독특한 이미지를 연출했고, 클래식 음악과 반복적인 기계음, 볼레로 음악이 이어지면서 기이한 청각적 자극을 주었다.


바닥에 낮게 밀착해 치마 속에서 움직이는 형상은 마치 소라게가 소라 껍질 속에서 나오려는 모습을 연상시켰고 혹은 해파리의 유동적인 모습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치마는 금속성의 차가운 빛으로 찬란하게 빛났으며 느린 움직임으로 반응하는 가운데 기교보다는 은유적 표현이 돋보이는 장면을 완성했다. 어수정은 결국 자신을 감싸는 것들을 하나씩 소거해 가며 스스로의 찬란을 찾아가는 과정을 온전히 그려갔다.




마승연의 〈그 지점은〉은 모든 것을 떠나 세상의 소음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말하며 그것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이 본인만이 할 수 있고, 가지고 있는 고유의 힘인 본질을 의미함을 다뤘다. 무와 유의 경계 그 사이에서 일어난 변화의 힘과 익숙하지만 낯선 힘에 개의치 않고 고요히 자신과 마주하며 집중하는 것은 본질을 증명하는 과정이 됨을 얼음이라는 형태로 그려냈다. 어수정의 엔딩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사각형의 형태 영상은 그 속에 동화풍의 감성을 담아 재즈 음악과 유쾌하게 맞아떨어졌다.


영상 속 작은 인물의 이미지는 마승연 스스로였고 이어지는 장면들에서 사각의 얼음이라는 은유는 단단하면서도 언제든 녹으면 물이라는 본질로 돌아갈 수 있는 가변성을 나타냈다. 움직임에 있어서는 바닥의 얼음 이미지를 쓸어 몸에 바르거나 쓸어내리는 행위를 반복하고, 규칙적인 음악과 보조를 맞춰 절제와 역동 사이를 오갔다. 중반 이후 가로 세 개의 선 영상 위에서 사각형의 판을 이동시키고 그 속에 숨거나 이동하면서 다부지고 탄탄한 기량을 선보였다. 그녀가 사각 판을 놓고 떠난 자리에는 조양희가 대형 통을 들고 등장해 연결성을 살렸다.


마지막을 장식한 조양희의 〈그대로〉는 자유로운 기체에 대한 탐구와 몰입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을 내재한 사막, 카타스트로피의 임계점, 진공묘유의 양자적 공간을 음미하며 그렇게 그대로 자유롭게 비어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자 했다. 상수 한 지점에서 시작된 움직임은 얼음이 녹아 기체로 퍼지듯 확산됨을 연상시켰다. 금빛 사막과 아랍풍의 음악, 부드러운 움직임은 이국적이며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그녀의 트레이드 마크인 큰 키와 긴 팔다리를 이용해 공간을 가득 채우며 심적, 육체적 자유를 표출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더불어 분절적이나 연계성을 가지는 몸짓은 타인은 모방할 수 없는 그녀만의 신체 이미지였다. 급격한 전환을 위해 물이 임계점인 끓는점에 도달해야 기체가 되듯 성취나 목적 달성을 위해 노력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카타스트로피의 의미, 만물은 공(空)하기 때문에 고정불변하는 실체가 없어서 다양한 생성과 변화가 가능하다는 진공묘유의 공간을 다채로운 음악과 무대를 가로지르는 추상적 영상으로 채워갔다.




세 안무가는 물, 얼음, 연기라는 외적 형태는 다르지만 공통적인 의식의 흐름은 지금 내가 있는 그 지점 그대로 찬란히 빛난다는 것을 깊이 있게 탐구했다. 흐름, 고정, 휘발의 특성은 살리며 결국 그 본질은 같다는 메시지를 이야기 구조나 내러티브를 배재한 채 감각적인 장면으로 완성하는 성숙한 모습을 보였다. 솔로공연이다 보니 탐 특유의 조직적이고 일사불란한 구성이나 군무를 볼 수 없었지만 안무자의 개성과 안목이 강조되는 장점도 도드라졌다. 마지막으로 45년의 역사가 입증하듯 대표는 변경되어 왔지만 현대무용단 탐의 실험적이고 아카데믹한 정체성은 변함없이 고수되며 해를 거듭할수록 동시대성을 담고자 했다. 따라서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이유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by Jang Ji-w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Contemporary Dance Company Tam



A multi-faceted exploration of the unchanging essence: Contemporary Dance Company Tam’s 45th Anniversary Commemorative Work Series II Solo Performance



Established in 1980 by graduat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Dance at Ewha Womans University, Contemporary Dance Company Tam commanded its time with its unique dance vocabulary, messages that captured the times, and outstanding skills and expressiveness. Since its founding, Tam has produced numerous choreographers and educators under the direction of Eun-mi Jo and has developed over the years. On April 24, Tam held the ‘Contemporary Dance Company Tam’s 45th Anniversary Commemorative Work Series II Solo Performance’ at Sogang University’s Mary Hall. To commemorate the 45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this performance was prepared following the performance of the series I Young Dancers and Young Choreographers in February of this year. It consisted of solo performances by Tam’s representative Ma Seung-yeon, who is currently leading the group as the main axis of the group, representative choreographer and principal dancer Jo Yang-hee, and Eo Su-jeong, who is expanding her field of interest into various fields. In common, the three works contain the overall artistic character through the use of interconnected themes and objects, and the movement of time and space through video.


In order not to lose focus on temporary trends or trends in dance and not to remain in fixed forms, the contemporary dance company Tam has pursued a process of continuous exploration while solidifying the energy, zeitgeist, and senses of movement. This solo performance also contained the meaning of the dance company’s dance philosophy, and the choreographers dealt with the common theme of ‘essence’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various approaches. The essence exists beside us without wavering even when time and environment change, and has a new challenging power through constancy. The choreographers wanted to talk about the fundamental energy that is created in a variety of ways as the ultimate power inherent in the work, and the opening of the work started with a video of a journey to explore the essence, conveying the message through harmonious production of movement and video.


The first was 〈Asking about the brilliance〉 by Eo Su-jeong, who is currently teaching at Sangmyung University and Seoul Arts High School. 〈Asking about the brilliance〉 expressed the present moment as brilliance and yet asking about brilliance through body language. Eo Su-jeong portrayed the essence by dealing with the nature of water, and approached the work while thinking about what my brilliance that I had been trying to find far away was. She created a unique image by using a sensual use of text images that seemed to contain the flow of water or hint at the theme, and a radial skirt, and classical music, repetitive machine sounds, and bolero music continued to provide a strange auditory stimulation.


The figure that moves inside the skirt while clinging low to the floor reminds me of a hermit crab trying to emerge from its shell, or it can feel like the fluid form of a jellyfish. The skirt shone brilliantly with a cold metallic light, and in the slow movement, it completed a scene in which metaphorical expressions stood out rather than technique. In the end, Eo Soo-jung completely depicted the process of finding her own brilliance by eliminating the things that surround her one by one.


Ma Seung-yeon’s 〈That Point〉 talks about how to protect herself from the noise of the world, leaving everything behind, and deals with the essence that only she can do and possesses, which cannot be exchanged for anything. The power of change that occurred between the boundary between nothing and meaning, and the process of quietly facing and concentrating on oneself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familiar yet unfamiliar power, were depicted in the form of ice as a process of proving one’s essence. The square-shaped video that naturally follows Eo Soo-jung’s ending contained a fairy tale-like sensibility and matched pleasantly with jazz music.


The image of the small figure in the video was Ma Seung-yeon herself, and in the following scenes, the metaphor of the square ice showed the mutability that was solid but could return to the essence of water at any time when it melted. In terms of movement, she repeatedly swept the ice image on the floor and applied it to her body or swept it down, and moved between restraint and dynamism in sync with regular music and support. After the middle part, she showed off her solid and solid skills by moving a square plate on three horizontal lines and hiding or moving inside it. In the place where she left the square plate, Jo Yang-hee appeared holding a large can, adding to the connection.


Jo Yang-hee’s 〈As It Is〉, which decorated the last part, tried to find herself freely and empty as it is, savoring the desert containing infinite possibilities, the critical point of catastrophe, and the quantum space of vacuum through exploration and immersion in free gas. The movement that started from a constant point reminded me of ice melting and spreading into gas. The golden desert, Arabic-style music, and soft movements created an exotic and dreamy atmosphere.


Her trademark tall stature and long limbs were used to fill the space, expressing mental and physical freedom, which was impressive. In addition, the gestures that were segmented but connected were her own body image that others could not imitate. Just as water must reach the boiling point, the critical point, to become gas for a sudden change, the meaning of catastrophe, that one must make efforts to achieve or accomplish a goal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result, and the space of the vacuum, that various cre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ecause all things are empty and there is no fixed and unchanging entity, were filled with colorful music and abstract images that crossed the stage.


The three choreographers deeply explored the fact that although the external forms of water, ice, and smoke are different, the common flow of consciousness shines brightly just as it is at the point where I am now. They showed a mature appearance by completing the message that the essence is the same while pre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w, fixation, and evaporation, excluding the story structure or narrative, with a sensuous scene. Since it was a solo performance, we could not see Tam's unique organized and coordinated composition or group dance, but the strength of emphasizing the choreographer’s individuality and vision was also prominent. Lastly, as the 45-year history proves, the representative has changed, but the experimental and academic identity of the contemporary dance company Tam has remained unchanged, and it has tried to contain contemporaneity as the years go by. Therefore, its future course is highly anticipated.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고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