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8-1 (2025.6.5.) 발행
글_ 이상헌(춤평론가)
사진제공_ 박병민(사진가)
지난 5월 22일, 23일 부산 금정문화회관 은빛샘홀에서 공연한 〈중력의 무게 2 – 우리의 상실에 관하여〉(안무 신상현. 이후 ‘중력의 무게 2’)는 한국과 일본 무용수를 각각 세 명씩 출연시켰다(한국: 김유하, 배진아, 장진성. 일본: Yurika Nakahra, Misaho Yajima, Masato Kunieda). 작품의 모티브가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한국과 일본 사이에 있었던 역사적 굴곡이어서 양국을 상징하는 한국과 일본 무용수를 출연시켜 출연자 구성에서부터 주제를 각인시켰다. 팸플릿에 두 가지 타임 테이블이 나와 있다. 한 타임 테이블에는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기점으로 1950년부터 10년씩 건너뛰면서 한국과 일본에서 일어난 중요한 정치 사회적 사건을 기록했다. 1980년에 이르면 안무자 신상현과 일본 무용가 Masato Kunieda가 태어난 것을 국가·사회적 사건과 함께 되어있다. 이런 방식으로 한일 무용가 6명이 태어난 해를 한일 양국의 역사 흐름과 병렬한다. 다른 타임 테이블에는 일본 무용가들이 한국에 도착한 날부터 공연을 올리기까지 과정을 시간 순서로 정리해 놓았다. 거시적인 역사 흐름과 미시적인 개인의 생애를 병렬함으로써, 거시적 역사가 개인사보다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니며, 역사란 수많은 개인의 삶이 직조된 것이라고 말한다. 동시에 너와 나 우리가 상실한 것은 과연 무엇인지 묻는다.
이 작품에서 사용한 키워드는 중력, 역사, 죽음, 전쟁, 폭력, 상처 그리고 치유이다. 중요한 키워드는 역사, 죽음, 치유이다. 역사는 전쟁, 폭력의 역사이자 그로 인해 희생된 개인의 삶이기도 하다. 중력은 거스를 수 없는 것을 상징한다. 또한 그것의 무게를 견디며 살아가야 하는 존재의 운명을 의미한다. 인간이 중력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처럼 죽음에서 벗어날 수 없다. 삶은 연기된 죽음, 지연된 죽음이다.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죽음을 알고도 살아가는 상황을 ‘부조리’라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이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맞이하는가이다. 가장 좋은 것이 자연사이지만 아무런 어려움을 겪지 않고 살다가 죽는 경우는 없다. 수많은 희로애락, 신산 고초를 삶에서 겪게 되는데, 가장 나쁜 경우는 개인의 의지로 어찌할 수 없는 상태로 죽음을 맞는 것인데, 이를 ‘죽임’이라고 한다. 죽임은 타살이다. 개별적 타살도 있지만, 이데올로기와 권력이 작동하는 거대한 폭력에 의한 타살도 있다. 전쟁은 인간을 죽이고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는 거대 폭력의 결집체다. 한국과 일본은 36년 동안의 지배 피지배 관계를 거치면서 수많은 폭력과 죽임의 관계를 축적했다. 〈중력의 무게 2〉는 춤을 매개로 한국과 일본의 역사에 매몰된 개인의 고통, 두려움, 상실을 드러내고, 지극히 개별적이면서도 진실 된 치유의 길을 제시한다. 작품에서 치유란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상대의 상실을 들여다보고 내가 건넬 수 있는 위로를 건네고 공감을 표현하며 나의 상처를 치유하는 한 발도 내디뎌질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무용수들의 내밀한 움직임으로 보여준다.
작품 구성은 intro, 1장 죽음, 2장 Somebody & The One, 3장 폭력의 역사, 4장 Drama 5장 삶과 outro로 구성했다. intro에서 타임테이블에서 표시한 전쟁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후 5개의 장은 뚜렷한 구분 없이 연결되는데, 작품이 진행할수록 춤의 밀도가 높아진다. 춤은 확산하지 않지만 왜소하지 않고, 화려하지 않지만 소박하지도 않다. 팸플릿에서 제시한 안무자의 의도는 intro와 outro에서 함축적으로 전달하고, 5개의 장은 춤을 상징으로 삼아 탄탄하게 에너지를 쌓아간다. 특별한 점은 음악, 음향의 사용법인데, 중반부까지 출연자의 움직임은 불안하고 강한 충격성을 가진 음악과 소리에 묻히거나 압도된다. 일종의 의도된 부조화로 보인다. 이 부조화는 중반부를 넘기면서 점차 완화되어 춤과 무용수의 개별성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거대한 폭력에 압도된 희생자로서 개인과 그것에서 점차 회복하는 인간 존재의 의지를 은유하는 듯하다.
〈중력의 무게 2〉가 지닌 미적 가치(Aesthetic Value)는 창작 준비 과정과 작품을 제시한 상황에서도 찾을 수 있다. 미적 가치는 예술작품과 상호작용하면서 얻는 예술적 가치(Artistic Value)와 달리 인식적인 면, 윤리적인 면을 포함한다. 거대서사와 미시 서사를 등가로 병치해 놓았다는 점, 역사 속 개인에서 개별자가 역사라는 식으로 관점 뒤집기, 마치 조각가가 원하는 형상에 가장 적당한 재료를 구하듯이 기획 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출연자 구성을 고려한 점 등은 미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춤의 밀도가 매우 높다. 6명의 무용수 각자 개성이 장점으로 드러나고, 이들의 조화도 놓치지 않은 동작들은 안무자 혼자만의 결정으로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결국 중심이 있는 협업이 서로의 신뢰 속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며, 그 결과로 작품이 높은 밀도를 보여줄 수 있었던 것 같다.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intro에서 사실적인 이미지로 제시한 주제의 충격을 좀 더 오래 끌고 갔으면 어떠했을까 싶기도 하다. 관객이 더 길게 전쟁과 죽음이라는 키워드를 안고 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작품 제목이 ‘중력의 무게’인데, 이 작품은 역사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았고, 개인의 삶을 조망하면서 큰 주제가 흩어지지 않았다. 즉 주제의 무게에 압도당하지도 주제를 잃지도 않고 적절한 긴장을 유지하였다. 그렇게 해서 우리가 상실한 것이 결국 ‘인간적인 삶’이라고 말하고, 이를 위해 치유의 시작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이처럼 끝까지 균형을 잃지 않으면서 예술이 역사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이 무엇인지 같은 인식적이고 윤리적인 면까지 확보한 작품임은 분명하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by Lee Sang-heon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Park Byeong-min (photographer)
A high-density work that secures cognitive and ethical aspects: Theater A (我) 〈The Weight of Gravity 2 - About Our Loss〉
〈The Weight of Gravity 2 - About Our Loss〉 (choreographed by Shin Sang-hyun. Hereafter ‘The Weight of Gravity 2’) performed at the Eunbitsam Hall of Geumjeong Cultural Center in Busan on May 22 and 23 featured three Korean and three Japanese dancers each (Korean: Kim Yu-ha, Bae Jin-ah, Jang Jin-seong. Japanese: Yurika Nakahra, Misaho Yajima, Masato Kunieda). The motif of the work is the historical twists and turns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so the theme was engrav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erformers by featuring Korean and Japanese dancers who symbolize the two countries. The pamphlet contains two timetables. One timetable records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events that occurred in Korea and Japan, skipping ten years from 1950 onwards, starting with the end of World War II in 1945. In 1980, the births of choreographer Shin Sang-hyun and Japanese dancer Masato Kunieda are listed alongside national and social events. In this way, the birth years of the six Korean and Japanese dancer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from the day the Japanese dancers arrived in Korea to the time they performed. By juxtaposing the macroscopic flow of history with the microscopic lives of individuals, the work argues that macroscopic history is not superior to personal history, and that history is the interweaving of the lives of countless individuals. At the same time, it asks what you and I have lost.
The keywords used in this work are gravity, history, death, war, violence, wounds, and healing. The important keywords are history, death, and healing. History is the history of war and violence, and it is also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were sacrificed as a result. Gravity symbolizes something that cannot be resisted. It also means the fate of a being that must live while enduring its weight. Just as humans cannot escape gravity, they cannot escape death. Life is a postponed death, a delayed death. In existentialism, the situation in which humans live while knowing that death is inevitable is called ‘absurdity.’ What is important is how we face this death. The best is natural death, but there is no case in which we live and die without any difficulties. We experience countless joys and sorrows, new and old hardships in life, but the worst case is when we face death in a state where we cannot do anything about it due to our own will, which is called ‘killing.’ Killing is murder. There are individual murders, but there are also murders by massive violence that are caused by ideology and power. War is a conglomerate of massive violence that kills people and leaves indelible scars. Korea and Japan have accumulated countless relationships of violence and killing through their 36-year-long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subjugation. 〈The Weight of Gravity 2〉 uses dance as a medium to reveal the pain, fear, and loss of individuals immersed in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and suggests a path to healing that is both extremely individual and true. The work states that healing begins with comforting each other’s wounds. The message, “I can look into the other person’s loss, offer the comfort I can offer, express empathy, and take a step toward healing my own wounds,” is shown through the intimate movements of the dancers.
The work is composed of an intro, Chapter 1: Death, Chapter 2: Somebody & The One, Chapter 3: History of Violence, Chapter 4: Drama, and Chapter 5: Life and Outro. The intro shows images of war indicated in the timetable. The five chapters are connected without a clear distinction, and the density of the dance increases as the work progresses. The dance is not spread out, but not small, and not flashy, but not plain. The choreographer’s intentions presented in the pamphlet are implicitly conveyed in the intro and outro, and the five chapters solidly build energy using dance as a symbol. What is special is the use of music and sound. Until the middle part, the performers’ movements are buried or overwhelmed by music and sounds that are unstable and have strong impact. It seems to be a kind of intentional dissonance. This dissonance gradually eases as the middle part passes,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dance and the dancers begins to be revealed. It seems to be a metaphor for the individual as a victim overwhelmed by great violence and the will of human existence to gradually recover from it.
The aesthetic value of 〈The Weight of Gravity 2〉 can also be found in the creativ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work is presented. Unlike the artistic value obtained through interaction with a work of art, aesthetic value includes cognitive and ethical aspects. The juxtaposition of the grand narrative and the micro narrative as equals, the reversal of perspective from the individual in history to the individual as history,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erformer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planning intention, just as a sculptor seeks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s for the desired shape, can be said to be aesthetic values. In addition, this work has a very high density of dance. The individuality of each of the six dancers is highlighted as their strength, and the movements that do not miss their harmony seem impossible to have been decided by the choreographer alone. In the end, the collaboration with a center must have been achieved through mutual trust, and as a result, the work was able to show high density. It is not without regret. I wonder if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 impact of the theme presented in the intro with realistic images had been sustained a little longer. This is because the audience could have held onto the keywords of war and death for a longer time. The title of the work is ‘The Weight of Gravity,’ but this work was not crushed by the weight of history, and the major theme was not scattered while looking at individual lives. In other words, it maintained appropriate tension without being overwhelmed by the weight of the theme or losing the theme. In this way, it says that what we have lost is ‘human life,’ and suggests what the beginning of healing is for this. It is clear that this work has secured cognitive and ethical aspects such as what role art can play in history and what the social role of artists is, while not losing balance until the end.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