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8-1 (2025.6.5.) 발행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T.H.E 댄스 컴퍼니
코로나19가 종료된 이후 많은 춤 창작자들이 관계의 단절과 연결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작품을 잇따라 선보였다. 신체를 접촉하고 형태를 구성해 인간과 사회, 문명과 관념을 표현하는 이들에게 아날로그적 접점이 없는 시대가 주는 불안감은 좋은 영감이 됐을 법하다. 물리적으로 교류하지 못하는 비대면 시대의 삶은 비단 춤 예술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실존의 위기를 초래하는 면이 있다. 그렇게 단절과 연결의 문제는 자연스레 삶의 정의나 인간 정체성에 대한 사유까지 당도하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흐름이 팬데믹 종료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소셜미디어의 지배,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대변동의 시대에서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한국과 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얼마 전 세종문화회관 무대에 오른 싱가포르의 현대무용단 T.H.E(The Human Expression) 댄스 컴퍼니의 〈Infinitely Closer(무한한 접근)〉는 이 지점에서 출발해 나름의 답에 이르는 작품이다. 연출과 안무를 맡은 컴퍼니 예술감독 쿠익 스위 분(Kuik Swee Boon)은 정형화된 프로시니엄 무대가 아닌 넓은 홀 공간에 여러 개의 거대한 투명 스크린 구조물과 무용수들을 배치하는 것만으로 작품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구조물은 각 무용수들을 구분하는 경계의 역할에서 이들을 가두는 물리적 한계까지 맥락에 따라 가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부터 ‘자유’나 ‘경계’ 같은 테마를 떠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다만 이런 장치를 활용해 무용수의 이동에 제한을 두는 아이디어가 곧 작품의 결론은 아니며, 오히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토대에 불과하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Infinitely Closer〉는 ‘인간의 정의가 변화하는 시기의 인간’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언뜻 날것처럼 보이는 재료들을 직조하며 풀어내려고 한다. 홀로그램과 생생한 3차원 사운드 조합이 빚어내는 테크놀로지의 향연이 땀 흘리는 육체와 상호작용하는 연출은 분명 직관적이고 강한 인상을 주지만, 그 자체가 더 이상 새로운 것은 아니다. 디지털 문화의 총아인 멀티미디어 아트와 아날로그의 상징인 육체가 대비하는 구도는 이미 수많은 창작자들이 시도해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차별점은 그런 시청각적 요소들에만 있지 않다. 정확히는 화려한 홀로그램 테크놀로지나 몰입형 사운드의 자극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줄곧 영향을 주고받는 무용수-관객의 운신(運身)에 시선을 돌릴 필요가 있다. 제목처럼 작품이 무엇에 더 무한히 가까이 가려는지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의식하지 못하지만, 관객은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없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의 공연장에 입장해 공연 전 자유롭게 구조물이나 무용수에 다가갈 수 있다. 본 공연이 시작되며 자연스레 본인이 선택한 자리에 착석한 이들에게 ‘몰입형(immersive) 공연’이라는 콘셉트는 거기까지만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스크린에 투영된 피부와 확대된 세포의 이미지들과 더불어 관객에게 다가와 물끄러미 바라보는 무용수들의 행위는 ‘경계’에 대한 화두를 던지며 몰입을 유도한다. ‘인간의 정의’라는 테마가 예술 작품의 추상적인 관념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실체적으로 다가온 사안임을 환기하는 연출이기 때문이다. 관객들의 생각에 내재하는 무대와 객석, 무용수와 관객의 이분화된 관습에 대한 일종의 도전 같은 아이디어다.
공연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무용수들은 어슬렁거리며 공간을 탐색하는데, 이때 구조물의 섹션 분류에 따라 이들의 움직임은 제한을 받는다. 다른 무용수와 달리 맨몸의 무용수는 스크린 구조물의 삼각 형태에 갇혀 있고 스크린에서는 고통으로 절규하는 얼굴이 투영된다. 구조물의 트라이앵글 형태가 해체되면 무용수들은 손을 짚고 뛰고 달리다 폭주하는 움직임을 통해 제약을 벗어나 자유를 찾는 질주를 이어간다. 이러한 폭발적인 육체성과 멀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3D 사운드의 조합은 의외로 원시적으로 퇴행한 모습을 연상시킨다. 왜 그럴까.
구조물의 감옥에서 해방된 무용수의 자유로운 몸짓과 이를 제지하려는 다른 움직임들의 충돌은 인간이 점차 잃어가고 있는 본질성을 보여주기 위함인 것처럼 보인다. 즉, 인간이 대안적인 신체로 입기 시작한 테크놀로지라는 것의 실체를 벗으면 원시적인 육체의 아름다움이 남는다는 성찰이다. 이러한 투쟁의 과정을 거치며 마침내 신체 일부가 기괴하게 표현된 슈트를 벗어던진 무용수들이 격렬한 몸짓으로 육체의 에너지를 뿜어내는 후반부의 장면은 시대를 불문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 작품만의 해답이다.
〈Infinitely Closer〉는 강렬하고 자극적인 미디어 장치와 그로부터 영향을 주고받는 인간 신체의 제한과 해방, 자유 의지의 표현을 엮어 거대한 담론의 오케스트라를 펼쳐낸다. 특히 ‘자유 의지’라는 키워드를 작품 내부만이 아닌 몰입형 공연의 콘셉트에 녹여내 흥미로운 화학작용을 유도한 것도 의미 있다. 초연 이후 한국에는 다소 늦게 도착했지만, 팬데믹 이후 지속되고 있는 변화하는 인간성과 생활상에 대한 성찰은 여전히 유효하다. 무엇보다 예술과 기술의 결합에 있어서 테크놀로지 활용과 몸의 표현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를 아우르는 철학적 토대가 탄탄하게 존재해야 함을 보여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T.H.E Dance Company
The presence of body philosophy that is not immersed in technology: T.H.E Dance Company 〈Infinitely Closer〉
Since the end of COVID-19, many dance creators have presented works that preach the importance of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in relationships. For those who express humans, society, civilization, and ideas by touching the body and composing forms, the anxiety that comes from an era without analog contact points must have been a good inspiration. Life in a non-face-to-face era where physical interaction is impossible brings about an existential crisis not only in dance art but also in everyday life. In this way, the problem of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naturally leads to thoughts about the definition of life and human identity. The problem is that this trend continues even after the end of the pandemic. In an era of great 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dominance of social media, and changes in lifestyle, what should humans be?
In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Singapore, Singaporean contemporary dance company T.H.E (The Human Expression) Dance Company's 〈Infinitely Closer〉, which recently appeared on the stage o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is a work that starts from this point and reaches its own answer. Kuik Swee Boon, the company's artistic director who directed and choreographed the work, shows the direction of the work by simply arranging several large transparent screen structures and dancers in a large hall space rather than a standardized proscenium stage. The structures perform variable functions depending on the context, from the role of boundaries that separate each dancer to physical limits that confine them. From this, it is not difficult to think of themes such as "freedom" or "boundar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dea of using such devices to restrict the dancers' movement is not the conclusion of the work, but rather the basis for a full-fledged discussion.
〈Infinitely Closer〉 attempts to unravel the heavy theme of ‘humans in a time when the definition of human beings is changing’ by weaving together seemingly raw materials. The production of a feast of technology created by a combination of holograms and vivid 3D sound interacting with sweaty bodies is certainly intuitive and impressive, but it is no longer new in itself. This is because the composition of multimedia art, the darling of digital culture, and the body, the symbol of analog, has already been attempted by numerous creators. The difference of this work does not lie only in such audiovisual elements. To be preci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stimulation of splendid hologram technology or immersive sound, but also to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and audience who are constantly influenced by them. As the title suggests, we must pay attention to what the work is trying to get infinitely closer to.
Although they may not be aware of it, the audience enters a completely open performance hall without boundaries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and can freely approach the structures or dancers before the performance. As the performance begins, the concept of an ‘immersive performance’ seems to work only up to that point for those who naturally sit in their chosen seats. However, the dancers’ actions of approaching the audience and staring blankly at the images of skin and enlarged cells projected on the screen raise the topic of ‘boundary’ and induce immersion. This is because the production reminds us that the theme of ‘human justice’ is not an abstract concept of an artwork but a matter that has come to us all in a real way. It is an idea that challenges the dichotomous conventions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dancers and the audience, inherent in the audience’s thoughts.
When the performance begins in earnest, the dancers wander around and explore the space, but their movements are restricted by the structure’s section classification. Unlike the other dancers, the naked dancers are trapped in the triangular shape of the screen structure, and their faces screaming in pain are projected on the screen. When the triangle shape of the structure is dismantled, the dancers continue to run and find freedom through their hands-on, jumping, and running movements. The combination of this explosive physicality and the 3D sound output through the multi-speakers surprisingly evokes a primitive, regressive appearance. Why is that?
The free gestures of the dancers who are freed from the prison of the structure and the clash of other movements that try to restrain them seem to be intended to show the essence that humans are gradually losing. In other words, it is a reflection that when humans take off the reality of the technology that they began to wear as an alternative body, the beauty of the primitive body remains. The latter part of the scene, where the dancers finally throw off the suits that express parts of their bodies in a bizarre way and release their bodies with violent gestures, is this work’s unique answer to the essence of humans regardless of the era.
〈Infinitely Closer〉 unfolds a huge orchestra of discourse by weaving together intense and stimulating media devices and the restrictions and liberation of the human body that influences them,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free will.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the keyword ‘free will’ was incorporated not only into the work itself but also into the concept of an immersive performance, leading to an interesting chemical reaction. Although it arrived in Korea somewhat late after its premiere, its reflections on the changing humanity and lifestyle that have continued since the pandemic are still valid. Above all, it i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at in the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the use of technology and the expression of the body should not be separated, but that there should be a solid philosophical foundation that embraces the two.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