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8-1 (2025.6.5.) 발행
글_ 염혜규(미술사연구자)
사진제공_ 국립무용단
지난 4월 국립무용단의 신작 〈미인〉(4월 3-6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이 무대에 올려졌다. '미인(美人)' 이라 하면 사전적 의미로는 성별에 상관없이 외모가 아름다운 사람을 뜻하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쓰이는 단어다. 공연 〈미인〉 역시 이런 현실을 반영하듯 여성 무용수들의 춤만으로 기획되었다. 여성에 대한 외모지상주의가 비판받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도 하는 기획이다. 이런 의혹을 예견하기라도 한듯 〈미인〉 은 단순히 외형적인 미, 정형화된 미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동시대의 감각을 담은 새로운 미, “시공간을 초월한 한국적 미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구상했음 밝히고 있다(프로그램).
〈미인〉이 보여주고자 한 ‘동시대성을 담은 새로운 미‘가 무엇인지는 주요 제작진의 면면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Mnet '스테이지 파이터'의 한국무용 코치를 맡은 안무가 정보경, 연극, 영화, 뮤지컬 등 다방면에서 활약 중인 연출가 양정웅, 〈보그 코리아〉의 1세대 스타일리스트 서영희, 드라마와 영화음악 및 '범 내려온다' 의 밴드 이날치로 이름을 알려진 장영규, 에스파-아이브 등의 K-팝 그룹 뮤직비디오의 아트디렉터 신호승이 무대디자인을 맡아 참여했다. 이들은 각 분야의 전문가일 뿐 아니라 대중문화 분야에서 주목받는 창작진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 이는 〈미인〉이 단순히 한국춤을 재해석한, 혹은 한국춤에 근간을 둔 창작춤이 아닌, 이를테면 K-댄스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K-팝이라는 용어로 통용되는 음악은 단순히 대한민국의 대중음악인 가요를 뜻하지 않는다. 해외 음악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거나, 혹은 염두에 두고 제작되는 음악 상품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K-팝의 특징은 글로벌 시대를 사는 국내 팬들의 확보에도 또한 용이하게 작용한다. 무용공연인 〈미인〉은 대중성의 확보를 위해 선택한 기획 방향은 방법론의 측면에서 K-팝과 접점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한국적이라는 것이 반드시 전통에 기반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우리가 잘 모르는 외국 문화를 접할 때 단편적인 요소만으로도 그 나라의 정체성을 부여하듯, 한국춤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K-댄스를 만들어낼 수 있다.
공연이 놋다리밟기, 승무, 나비춤, 강강술래, 북춤, 부채춤, 칼춤, 베가르기, 산조, 살풀이, 탈춤 등 총 11개의 민속춤으로 이루어진 구성 또한 대중 친화적인 구성이다. 각 춤 간에 유기적인 구성은 찾기 어렵다. 하지만 첫 춤과 마지막 춤으로 배치된 여성들만의 민속놀이인 놋다리밟기와 전통적으로 남성 춤에 속하는 탈춤은 전체 공연의 시작과 끝에 설정된 미인도와 신 미인도와 각각 연결되며 상응하는 구성의 설득력을 높여준다.
〈미인〉을 관통하는 주목할만한 특징은 이미지의 연출이다. 〈미인〉이 보여주고자 동시대적 감각, 새로운 미인상, 한국적인 것, 한국춤 등이 모두 이미지로 어우러진다. 신윤복의 〈미인도〉를 기본으로 하는 설정부터. 패션의 비중을 춤과 동일한 수준으로 두었다는 점 또한 같은 맥락에서 해석가능하다. 우리가 외국의 민속춤을 떠올릴 때 그 나라의 전통의상을 함께 떠올리듯, 한국춤 또한 옷이 없이 완성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무대의 중심 오브제인 달을 조명과 대형 에어벌룬으로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던가, 종종 오케스트라 피트에서 리프트로 올라오며 무대 전면을 차지하는 무용수의 등장 등 모두 시각적 표현인 이미지의 연출로 귀결된다. 무용공연이 현장성을 갖는 공연예술임에도 불구하고 어린 시절부터 스마트폰과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영상 플랫폼에 익숙하게 사용해온 영상 세대를 사로잡기에 직관적인 이미지로서의 접근은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다.
공연은 박물관 유리 진열장 속 신윤복의 미인도를 무대 위로 불러온 듯한 설정으로 시작한다. 가채와 풍성한 한복 치마 차림의 무용수가 아름다운 자태로 고전적인 미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놋다리밟기에서 착안한 창작춤 또한 저고리 없이 긴치마만 입은 모습으로 무용수의 여성성을 강조하지만, 서로의 댕기머리를 잡고 보여주는 유기적인 움직임이나 허리를 굽혀 노국공주의 다리가 되어주었던 부녀자들의 재현은 여성들의 연대와 힘을 보여준다.
〈미인〉에서 패션은 춤을 돋보이게 하는 수단을 넘어, 그 자체로 공연의 일부다. 승무와 결합한 나비춤은 불교 의식의 성격과는 무관하게 춤 자체가 갖는 형식적 특징이 패션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택된 춤으로도 보인다. 어깨나 고개를 거의 움직이지 않고 장삼을 펼친 채 움직이는 동작이 주를 이루는 나비춤은 화려한 색상의 장삼과 색색으로 빛나는 LED 조명 장식을 단 고깔을 보여주기에 적합하다. 패션이 차지하는 위치를 보다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무대는 강강술래다. 속곳 차림부터 소매를 과감히 잘라내고 동정만 강조한 저고리와 절개를 통해 풍성한 주름을 강조한 속바지, 형광 혹은 네온 톤의 분홍, 노랑, 파랑색을 드러내는 3단 겹치마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은 춤을 추거나 걸어가며 무대 위로 넓게 원을 그리며 돈다. 마치 한복이 완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듯한 콘셉트다. 무용수가 과장스레 다리를 들며 천천히 걷는 모습 또한 춤이 아닌 옷을 보여주겠다는 의도를 드러낸다. 무용수들이 다 함께 일렬로 객석을 향해 걸어 나왔다 뒤돌아 들어가는 설정은 패션쇼와 다를 바 없다. 삼각형으로 단순화시킨 산과 달을 표현한 대형 에어벌룬만이 강강술래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뿐이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검은색으로 가린 '흑자' 또한 '보이지 않는 존재'로서 〈미인〉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이미지 연출을 뒷받침해 주는 역할을 한다. 북춤의 바탕이 되는 진도북춤은 양손에 채를 쥐고 북을 치며 추는 춤이다. 하지만 〈미인〉 북춤은 춤을 추는 무용수와 그를 둘러싸고 북을 치는 흑자들로 나눠지며 시각과 청각적 요소를 분리시킨다. 음양의 기운을 상징하듯 흑백으로 나눠진 의상을 입은 무용수는 회오리바람을 일으키는 듯한 춤사위를 보여주며 강렬하고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음악과 춤이 하나의 시공간을 공유하지만, 진도북춤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다. 음악이 움직이는 몸을 통해 춤사위와 하나가 되는 진도북춤의 입체성이 〈미인〉의 북춤에서는 분해되어 무대공간을 채운다.
진오귀굿에서 무녀에 의해 행해지던 베가르기 또한 무용수에 의해 직접 행해지지 않고, 베가르기의 이미지만을 따와 흑자에 의해 변형된 채 구현된다. 무용수 또한 망자의 넋을 위로하고 저승으로 보내주는 역할이라기보다는 대형 지전으로 이승과 저승 사이의 공간과 하나가 된 독특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보여주는데 초점이 맞춰진 움직임을 보여준다.
전체 공연에서 창작춤의 의미를 가장 보여준 춤이라면 부채춤과 탈춤을 꼽을 수 있겠다. 주홍빛 조명 아래 예각의 삼각형 무늬가 둘러진 부채를 든 녹색 의상을 입은 무용수의 모습은 멕시코나 스페인의 사막 위 선인장과 아즈텍의 태양의 돌과 같은 이미지와 겹쳐지며 라틴풍의 기타 선율과 함께 즉각적으로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달을 표현하던 에어벌룬 또한 태양의 이미지로 함께 한다. 우리의 부채춤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춤의 원형이 한국춤에 있다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울 춤이다. 쌍부채로 보여주는 대칭과 비대칭의 조화는 역동적이고 과감한 춤사위와 어우러져 무술 동작을 보는 것 같다. 부채를 주체로 하여 만들어지는 아름다움보다 부채가 움직이는 무용수의 한 부분 같이 느껴지는 부채춤을 보여준다.
탈춤은 〈미인〉이 보여주고자 하는 바를 모두 담고 있다. 북춤에서 무용수와 북이 함께 하지 않았듯, 탈춤에서도 무용수와 탈은 해체된다. 또한 탈춤은 이미지로서 제시된다. 객석을 향해 일렬로 선 흑자들은 진짜 탈이 아닌 탈이 그려진 그림을 흔들 뿐이다. 무대배경 또한 족자 형태의 LCD패널로 대신한다. 하지만 뒤이어 울려 퍼지는 비트 있는 음악과 함께 형형색색의 네온 톤 테슬 가발을 쓴 무용수들은 같은 색상의 한삼을 휘뿌리며 정적인 분위기를 일순간에 탈바꿈 시킨다. 버섯모양의 머리와 바지저고리로 사내아이처럼 보이는 무용수들은 온몸을 던지듯 역동적인 춤사위와 몸의 움직임을 제한시킨 감각적인 춤사위를 섞어 보여주는데, 이는 마침 아이돌의 춤 공연을 보는 듯하다. 또한 머리를 움직일 때마다 흔들리는 가발과 한삼의 펼쳐짐은 마치 무대 위를 캔버스 삼아 물감을 흩뿌리는 듯한 광경을 연출한다. 신윤복의 〈미인〉 설정에 이어진 놋다리밞기에서 긴 댕기머리로 연결되었던 긴 치마의 여인들의 모습은 온데 간데 사라지고 겉모습만으로는 성별을 짐작하기 힘든 모습을 한 무용수들이 무국적적인 색색의 머리를 한 채 신나게 춤을 추는 모습은 21세기의 미인상을 보여주는 듯하다. 공연에 등장했던 각 춤의 무용수들이 유리 진열장 안으로 들어가서 완성하는 신미인도는 이 시대의 미인상이 하나로 정형화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미인〉은 여성무용수로만 이루어진 구성과 '미인'이라는 단어 자체에서 비롯된 '아름다움'이라는 개념에 다소 얽매인 측면이 있지만, 동시대성을 담은 새로운 미, 혹은 과거의 이상적 여성상을 벗어난 이 시대에 부응하는 여성상의 일면을 보여준 공연이다. 또한 창작춤으로서 한국춤을 해체시켜 재배치하거나, 특정 요소만을 모티브로 동시대의 감각에 부합하는 작품을 만들어냈다. 미술이나 음악이 그러하듯 창작에 있어 기존의 예술 형식과 전통에 대한 도전은 불가피하다. 다만 〈미인〉 혹은 국립무용단은 작품의 지향점을 보다 분명히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미인〉은 한국춤의 아름다움을 확장하거나, 한국춤의 본질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K-댄스를 표방한 〈미인〉은 ’팝아트‘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세월이 지난 후 “미래의 전통”으로 남아 있을지, 이 시대의 작품으로 더 이상 기억되지 않을지 미래에 물음을 던진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1 (2025.6.5.) Issue
Written by Yeom Hye-gyu (Art History Researcher)
Photo provided by National Dance Company
Can it remain as a future tradition?: National Dance Company's 〈Beauty〉
Last April, the National Dance Company's new work 〈Beauty〉(April 3-6, National Theater Haeo-reum Theater) was performed on stage.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beauty' is a person with a beautiful appearance regardless of gender, but in actual language, it is a word used to refer to women. The performance 〈Beauty〉 was also planned to reflect this reality, with only female dancers dancing. It is a plan that makes one wonder if it is not respon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where lookism toward women is criticized. As if anticipating such suspicions, 〈Beauty〉revealed that it was conceived as a work that shows not simply external beauty or stereotyped beauty, but a new beauty that contains contemporary sensibiliti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Korean beauty beyond time and space” (program).
We can guess what the ‘new beauty containing contemporaneity’ that 〈Beauty〉 is trying to show is through the profiles of the main production staff. Choreographer Jeong Bo-gyeong, who served as a Korean dance coach for Mnet’s ‘Stage Fighter,’ director Yang Jeong-ung, who is active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ater, film, and musicals, Seo Young-hee, a first-generation stylist for 〈Vogue Korea〉, Jang Young-gyu, who is known for his drama and film music and the band Leenalchi of ‘범 나려온다,’ and Shin Ho-seung, the art director of K-pop group music videos such as aespa and Ibe, participated in the stage design. They are not only experts in their respective fields, but also have the common denominator of being creative staff that are draw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This shows that 〈美人〉 is not simply a reinterpretation of Korean dance or a creative dance based on Korean dance, but rather aims for K-dance. The music that is currently used as the term K-pop does not simply mean Korean pop music. It can be seen as a music product that is popular in the overseas music market or is produced with that in mind. This characteristic of K-pop also works to easily secure domestic fans living in the global era. The planning direction of 〈Beauty〉, a dance performance, chosen to secure popularity can be seen as having a connection with K-pop in terms of methodology. Being Korean does not necessarily mean being based on tradition. Also, just as we give the identity of a country to foreign cultures that we are not familiar with, Korean dance can also create K-dance in a similar way.
The performance consists of 11 folk dances including Nodari-bapgi, Seungmu, Nabi-chum, Ganggang-sullae, Buk-chum, Buchae-chum, Sword-chum, Begar-gi, Sanjo, Salpuri, and Tal-chum, which are also popular compositions. It is difficult to find an organic composition between each dance. However, Nodari-bapgi, a folk play for women only, and Tal-chum, a traditional male dance, which are arranged as the first and last dances, are connected to the Miin-do and Shin Miin-do se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entire performance, respectively, and increase the persuasiveness of the corresponding composition.
A notable feature that runs through 〈Beauty〉 is the presentation of images. 〈Beauty〉 attempts to show a contemporary sensibility, a new image of beauty, Korean things, and Korean dance, all combined into images, starting with the setting based on Shin Yun-bok’s 〈Beauty〉. The fact that fashion is given the same level of importance as dance can also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Just as we think of foreign folk dances and think of the country’s traditional costumes, we also note that Korean dance cannot be complete without clothes. The central object of the stage, the moon, is symbolically shown with lights and large air balloons, and the appearance of dancers who often rise from the orchestra pit on a lift and occupy the entire stage, all result in the production of images that are visual expressions. Although dance performances are a performing art that have a sense of presence, approaching them as intuitive images is an effective approach to captivate the video generation that has been familiar with smartphones and online video platforms such as YouTube since childhood.
The performance begins with a setting that seems to bring Shin Yun-bok’s Portrait of a Beauty from a museum glass display case onto the stage. The dancers in garb and a rich hanbok skirt show the appearance of classical beauties with beautiful figures. The creative dance that follows, inspired by the Nodari-bapgi, also emphasizes the femininity of the dancers by wearing only long skirts without a jeogori, but the organic movements that are shown by holding each other’s hair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women who bent their waists to become Princess Noguk’s legs show the solidarity and strength of women.
In “Beauty,” fashion goes beyond a means of showcasing dance; it is part of the performance itself. The butterfly dance combined with the seungmu dance seems to be a dance that was chosen to highligh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itself,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 Buddhist ritual. The butterfly dance, which mainly consists of movements with the long robe spread open without moving the shoulders or head, is suitable for showing off the colorful long robes and the colorful LED-lit cones. The stage that shows the position of fashion more directly is Ganggangsullae. From the undergarments to the jeogori with the sleeves boldly cut off and only the dongjeong emphasized, the underpants with rich pleats emphasized through the cut, and the three-tiered skirts in fluorescent or neon pink, yellow, and blue, the dancers, dressed in costumes in stages, dance or walk around the stage, drawing a wide circle. It is a concept that seems to show the process of completing a hanbok. The dancers’ exaggerated leg raises and walk slowly also reveal their intention to show off the clothes, not the dance. The setting where the dancers all walk out in a line toward the audience and turn around is no different from a fashion show. Only the large air balloons that express mountains and moons simplified into triangles symbolically show Ganggangsullae.
The 'black person' covered in black from head to toe also supports the visual image production created by 〈Beauty〉 as an 'invisible being'. Jindo Bukchum, the basis of Bukchum, is a dance performed by holding sticks in both hands and beating drums. However, 〈Beauty〉 Bukchum is divided into the dancers dancing and the black people surrounding them beating drums, separating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The dancers, wearing costumes divided in black and white as if symbolizing the energy of yin and yang, show powerful and dynamic dance movements that seem to create a whirlwind. Although music and dance share a single space and time, it is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from Jindo Bukchum. The three-dimensionality of Jindo Bukchum, where music becomes one with the dance movements through moving bodies, is broken down in 〈Beauty〉's Bukchum and fills the stage space.
In Jinogwigut, Begargi, which was performed by a female shaman, is also not performed directly by the dancer, but is implemented by modifying the image of Begargi using black ink. Rather than comforting the soul of the deceased and sending it to the afterlife, the dancers show movements focused on showing a unique and mysterious atmosphere that becomes one with the space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with a large earthenware pot.
In the entire performance, the dances that best show the meaning of creative dance are the fan dance and the mask dance. The image of the dancer wearing a green costume holding a fan with an acute triangle pattern under the red light overlaps with images such as cacti in the deserts of Mexico or Spain and the Aztec sun stone, and immediately creates an exotic atmosphere with the Latin-style guitar melody. The air balloon that represented the moon also appears as an image of the sun. If you have never seen our fan dance, it would be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 origin of the dance lies in Korean dance. The harmony of symmetry and asymmetry shown by the double fans is combined with dynamic and bold dance moves, making it seem like watching martial arts movements. Rather than the beauty created by the fans, it shows a fan dance that feels like a part of the dancer moving the fans.
The mask dance contains everything that 〈Beauty〉 wants to show. Just as the dancer and the drum do not work together in the drum dance, the dancer and the mask are dismantled in the mask dance. Also, the mask dance is presented as an image. The black people standing in a row facing the audience are not real masks, but just pictures of masks drawn on them. The stage background is also replaced with a folding screen-shaped LCD panel. However, along with the rhythmic music that follows, the dancers wearing colorful neon-tone tassel wigs wave the same-colored hansam, instantly transforming the static atmosphere. The dancers, who look like boys with mushroom-shaped heads and trousers, show a mix of dynamic dance moves that throw their whole bodies around and sensual dance moves that restrict their body movements, which makes it feel like watching an idol danc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wigs and hansam that shake with each movement of their heads create a scene as if the stage is a canvas and paint is being sprayed. The long skirts of women connected by long hair in the brass danggi following Shin Yun-bok’s “Beauty” setting have disappeared, and the dancers, whose gender is hard to guess just by their appearance, dance with their colorful hair in a stateless manner, seem to show the ideal of beauty in the 21st century. The new beauty that the dancers of each dance that appeared in the performance complete by entering a glass display case shows that the ideal of beauty in this era cannot be stereotyped.
Although 〈Beauty〉 is composed entirely of female dancers and somewhat tied to the concept of “beauty” derived from the word “beauty,” it is a performance that shows a new beauty that contains contemporaneity, or an aspect of the image of women that corresponds to this era, breaking away from the ideal image of women of the past. In addition, as a creative dance, it deconstructs and rearranges Korean dance, or creates a work that matches the sensibility of the time by using only specific elements as a motif. Just as with art or music, it is inevitable to challenge existing art forms and traditions in creative work. However, 〈Beauty〉 or the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seems to need to clarify the direction of the work more clearly. It is difficult to see 〈Beauty〉 as a work that expands the beauty of Korean dance or shows the essence of Korean dance. 〈Beauty〉, which advocates K-dance, is a work that brings to mind “pop art.” I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future, whether it will remain as a “tradition of the future” after time passes or will no longer be remembered as a work of this era.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