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8-2 (2025.6.20.) 발행
글_ 송준호(춤평론가)
사진제공_ 세종문화회관
오하드 나하린의 〈데카당스〉를 아시아 초연하며 국제 무대의 동향을 공유했던 서울시발레단이 이번에는 스웨덴 안무가 요한 잉에르(Johan Inger)의 대표작으로 더블 빌을 선보였다. 〈워킹 매드(Walking Mad)〉(2001)와 〈블리스(Bliss)〉(2016)는 사뭇 다른 정서와 스타일로 대비를 이루지만 북유럽 특유의 기후와 기질을 반영하는 삶의 태도가 묻어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공통점을 보여준다.
2001년 NDT에서 초연된 〈워킹 매드〉는 잉에르의 최고 인기작이다. 많은 이들이 그 배경에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Bolero)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인식은 절반만 맞다. 대개 볼레로를 활용하는 작품들은 정박의 리듬에 부합하는 정박의 움직임을 통해 음악의 특징을 몸짓으로 재현하려는 열망에 사로잡히곤 한다. 그 점 때문에 볼레로는 춤 작품에서 종종 클리셰처럼 느껴지게 된다. 이런 상투성의 위험 때문에 볼레로는 안무가들에게 개혁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기도 하지만, 어떤 춤이든 자신의 부속물로 삼켜버리는 강력한 멜로디의 위력에 춤은 주도권을 빼앗기기 일쑤다. 반면 〈워킹 매드〉는 제목에서부터 볼레로 안무의 클리셰와 동행할 의사가 없음을 선언한다. 이를 증명하듯 이 작품을 움직이는 힘은 음악의 관성이 아니라 관계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한 극적 연출과 감정 표현의 서사에서 발견된다.
요한 잉거가 디자인한 ‘움직이는 벽’은 이런 작품의 세계관을 함축하고 있는 효과적인 매체다. 벽은 작품의 유일한 세트이면서도 9명의 무용수들과 상호작용하며 의미를 구축하는 또 하나의 주역이다. 사이사이 문이 있는 넓은 벽체는 처음엔 등장인물들이 드나드는 평범한 세트처럼 보이지만, 아래 달린 바퀴를 통해 이동하고, 분해되고, 때로는 기울어지며 춤을 위한 또 하나의 무대로 변신한다. 이처럼 벽은 배경 기능에서 출발해 때로는 출입구, 때로는 올라타고 매달리는 난간, 그리고 무성영화 시대의 뮤지컬 속 복장을 입고 군무를 펼치는 무대까지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준다. 벽체의 역동적인 활용과 더불어 앙상블을 이루는 춤과 볼레로의 협연은 유머러스하면서도 강렬한 에너지를 선보인다. 알록달록한 셔츠를 입은 남자들이 미니 고깔 모자를 쓰고 추는 춤은 우스꽝스럽고, 중산모과 코트 차림으로 벽체를 밟으며 선보이는 군무 퍼포먼스에선 광기가 느껴진다.
흥미로운 것은 그럼에도 작품의 분위기는 왠지 기묘하다는 점이다. 늘 활기차고 낙관적인 에너지로 가득 찼던 볼레로의 마법도 여기서는 낯설게 느껴진다. 그것은 공연 내내 무대에서 유지되고 있는 낮은 조도(照度)의 정서와도 연결된 낯섦이다. 오버코트 차림의 남자가 음악 없이 어둠 속에서 희미하게 보이는 벽체와 만나는 초반의 장면은 이런 작품의 노선을 미리 보여주는 복선이다. 이후 남성과 여성, 또 다른 남성 무리가 접촉하고 교차하며 빚어내는 감정과 관계의 프리즘은 대개 직선 일변도로 진행되는 볼레로의 전형과 달리 다양한 방향으로 파생된다. 예의 경쾌하고 익숙한 리듬에서 느껴지는 생경함은 만남/이별, 기쁨/슬픔의 이항에 공존하는 복잡한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한 까닭이다.
그런 점에서 다층적이고 미묘한 작품 정서에 가까운 것은 의외로 볼레로가 아니라 피날레를 장식하는 아르보 패르트(Arvo Pärt)의 〈알리나를 위하여(Für Alina)〉에 있는 우울함이라고 할 수 있다. 격렬한 감정의 발산으로 문제를 해소하는 대신 관조와 침묵으로 삶의 이면을 사유하는 내향적 태도는 북유럽의 기질을 닮아 있는 대목이다.
반면 더블 빌의 두 번째 작품인 〈블리스〉는 음악을 몸짓으로 해석하는 데 주력하는 작품이다. 연극적 구성으로 짜인 〈워킹 매드〉의 정교함과 달리 음악의 선율에 몸을 맡기는 즉흥성이 돋보인다. 이런 즉흥성의 뿌리는 재즈 피아니스트 키스 재럿(Keith Jarrett)의 ‘쾰른 콘서트(The Köln Concert)’에 있는 것이다. 1975년 콘서트 당일, 공연 전 충분히 조율되지 않은 피아노의 컨디션 때문에 당일 편곡의 대처로 탄생한 즉흥 연주의 매력은 <블리스>의 안무 방식에도 그대로 녹아 있다. 제한된 영역에서의 집중적인 타건(打鍵), 그 반복되는 멜로디가 쌓이며 감정을 폭발시키는 과정은 교차와 충돌의 몸짓을 통해 고스란히 환희의 엔딩까지 이어진다.
〈블리스〉는 절대적으로 음악의 존재감이 큰 작품이지만, 오히려 춤 자체의 즐거움과 황홀함이 잘 드러나는 면모를 지니고 있다. 서사를 배제하고 철저하게 음악의 반복되는 리듬에 맞춰 즉흥적인 충동을 표현하는 심플한 콘셉트는 그래서 더 몰입을 유도한다. 정적 속, 텅 빈 무대를 향해 무대와 객석의 통로 여기저기서 산책하듯 자연스럽게 등장한 무용수들은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멜로디에 맞춰 파티의 시작을 알린다. 점차 속도를 끌어올리며 이인무, 삼인무, 사인무로 확장되는 구성은 음악의 결을 효과적으로 재현한다. 대개 음표를 몸짓으로 그려내는 시도는 진부해지기 십상이지만, 재럿의 연주가 그랬던 것처럼 순간순간 무용수들이 보여주는 즉흥성은 이런 예상에 균열을 내며 즐거운 일탈의 무대로 이끈다.
무용수들이 두 다리를 번갈아 앞으로 뻗는 마지막 장면의 동작 반복은 〈블리스〉가 그리는 환희의 환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8명의 무용수가 단체로 선보이는 대규모 엔딩 장면이지만, 그럼에도 소박하게 느껴지는 것은 가라앉히고 절제하는 잉에르 안무의 성향을 다시 한번 발견하는 대목이다. 내면의 감정을 묘사하는 작품에서 자극적이고 복잡한 시각화 대신 선택한 정제된 안무의 힘은 생각보다 긴 여운을 남긴다. 이처럼 황홀함이나 내면의 기쁨 같은 추상적 감정을,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미니멀리즘으로 표현해내는 잉에르의 세련된 수법은 한국의 컨템퍼러리 발레가 개척해야 할 영역을 생각하게 한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2 (2025.6.20.) Issue
Written by Song Jun-ho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Unexpressed Emotions Create Waves: Seoul Metropolitan Ballet's 〈Walking Mad & Bliss〉
Seoul Metropolitan Ballet, which shared trends on the international stage by premiering Ohad Naharin's 〈Decadence〉 in Asia, presented a double bill this time with the representative works of Swedish choreographer Johan Inger. 〈Walking Mad〉 (2001) and 〈Bliss〉 (2016) contrast with very different emotions and styles, but they share an interesting commonality in that they reflect the unique climate and temperament of Northern Europe.
〈Walking Mad〉, which premiered at NDT in 2001, is Inger's most popular work. Many may think that Maurice Ravel's Bolero is in the background, but this perception is only half true. Usually, works that utilize Bolero are obsessed with the desire to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rough movements of the anchor that match the rhythm of the anchor. Because of this, Bolero often feels like a cliché in dance works. Because of this risk of cliché, Bolero inspires choreographers to challenge reform, but dance often loses its initiative to the power of the powerful melody that swallows up any dance as its own appendage. On the other hand, 〈Working Mad〉 declares from the title that it has no intention of accompanying the cliché of Bolero choreography. As if to prove this, the power that moves this work is not found in the inertia of music, but in the narrative of dramatic dire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composed in various ways of relationships.
The 'moving wall' designed by Johann Inger is an effective medium that encapsulates the worldview of this work. The wall is the only set in the piece, but it is also another main character that interacts with the nine dancers and creates meaning. At first, the wide wall with doors in between looks like an ordinary set where the characters come and go, but it moves, disintegrates, and sometimes tilts with wheels attached underneath, transforming into another stage for dance. In this way, the wall shows various appearances, starting from a background function, sometimes as an entrance, sometimes as a railing to climb on and hang from, and even as a stage for a corps de ballet in costumes from a musical from the silent film era. In addition to the dynamic use of the wall, the ensemble dance and bolero show humorous yet intense energy. The dance performed by men in colorful shirts and mini-hats is comical, and the corps de ballet performance performed by stepping on the wall in bowler hats and coats feels mad.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atmosphere of the piece is somehow strange. The magic of bolero, which was always full of lively and optimistic energy, feels unfamiliar here. It is also a strangeness connected to the low-light emotion that is maintained on stage throughout the performance. The early scene where a man in an overcoat meets a wall that is dimly visible in the darkness without music is a foreshadowing of the direction of this work. The prism of emotions and relationships that are created by the contact and intersection of men, women, and another group of men later on, are derived in various directions, unlike the typical bolero that usually proceeds in a straight line. The strangeness felt in the cheerful and familiar rhythm of the example is because it delicately captures the complex emotions that coexist in the binary of meeting/parting, joy/sadness.
In that sense, the closest thing to the multi-layered and subtle emotion of the work is not the bolero, but the melancholy in Arvo Pärt's 〈Für Alina〉 that decorates the finale. The introverted attitude of contemplating the other side of life through contemplation and silence instead of solving problems through intense emotional outbursts resembles the Nordic temperament.
On the other hand, 〈Bliss〉 the second work of the double bill, focuses on interpreting music through gestures. Unlike the elaborateness of 〈Working Mad〉, which is composed in a theatrical manner, the improvisation that surrenders one’s body to the melody of the music stands out. The roots of this improvisation can be found in jazz pianist Keith Jarrett’s “The Köln Concert.” The charm of improvisation, which was born as a solution to the arrangement on the day of the concert in 1975 due to the condition of the piano that was not sufficiently tuned before the performance, is also incorporated into the choreography of 〈Bliss〉. The process of concentrated striking in a limited area, the accumulation of repeated melodies, and the explosion of emotions, is fully connected to the ending of joy through gestures of intersection and collision.
〈Bliss〉 is a work in which the presence of music is absolutely great, but it also has aspects that clearly show the joy and ecstasy of the dance itself. The simple concept of expressing impromptu impulses in accordance with the repetitive rhythm of the music, excluding the narrative, leads to greater immersion. The dancers, who appear naturally as if strolling through the aisles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toward the empty stage in the silence, announce the start of the party to the lyrical and romantic melody. The composition, which gradually increases the speed and expands to a duo, trio, and four-person dance, effectively reproduces the ending of the music. Usually, attempts to express musical notes through gestures tend to become trite, but the improvisation shown by the dancers at each moment, as in Jarrett's performance, cracks this expectation and leads to a stage of joyful deviation.
The repeated movements of the last scene, where the dancers alternately stretch their legs forward, succinctly demonstrate the fantasy of joy depicted in 〈Bliss〉. Although it is a large-scale ending scene performed by 18 dancers as a group, it feels simple, which is a part that once again discovers the tendency of Inger's choreography to calm down and restrain. In a piece depicting inner emotions, the power of refined choreography chosen instead of provocative and complex visualization leaves a longer aftertaste than expected. Inger’s sophisticated technique of expressing abstract emotions such as ecstasy or inner joy with equally abstract minimalism makes us think about the areas that Korean contemporary ballet should explore.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