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8-2 (2025.6.20.) 발행
글_ 윤단우(공연칼럼니스트)
사진제공_ 국립정동극장
한국적 소재로 새로운 작품을 만들고자 하는 창작자에게 고전소설은 영감의 보고나 다름없다. 그중에서도 『심청전』과 『춘향전』은 고전소설 가운데 가장 많이 재해석되며 창작자들의 애정과 관심을 받는 작품이다. 이 같은 애정과 관심은 ‘아버지에게 효도하는 딸’과 ‘남편에게 정절을 지키는 아내’라는 가부장제 내 여성의 위치성과 분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창작자가 가부장제를 바라보는 시선을 드러낸다. 비슷한 시기에 『심청전』과 『춘향전』을 원작으로 한 두 편의 무용 공연이 차례로 올려져 눈길을 끌었다. 본고에서 다룰 국립정동극장의 〈단심〉과 다음 편에서 소개할 유니버설발레단의 〈춘향〉이다.
흰 심청과 검은 심청, 두 마음의 대립
국립정동극장이 개관 30주년 기념 신작으로 〈단심〉을 선보였다. 올해 초 올린 〈광대〉에 이은 K-컬처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5월 8일부터 6월 28일까지 50회차의 공연이 올려지며 전통연희 공연으로는 유례없는 장기공연으로 운영된다.
서울시무용단의 〈일무〉에서 연출가와 안무가로 협업한 바 있는 정구호 디자이너와 정혜진 전 서울시무용단 예술감독이 국립정동극장의 이번 신작을 위해 다시 한번 손을 잡았다. 음악은 작곡가 김철환과 박다울이 협업하고 음향디자인에 안세운, 영상디자인에 김장연, 조명디자인에 민선홍이 함께해 공연의 완성도를 책임졌다.
제목의 ‘단심(單心)’은 마음을 다한다는 의미로, 고전소설 『심청전』을 각색한 공연은 주인공 심청의 마음에 주목했다. 아버지를 위해 인신공양도 불사하는 심청의 자기희생에 어떠한 의문도 갖지 않은 채 효(孝)라는 미덕을 상찬하는 데 집중했던 원전과 기존의 해석에 질문을 던진 것이다.
이를 위해 작품은 주인공 심청을 백과 흑 두 캐릭터로 나누었다. 흰 심청은 아버지의 눈을 띄우기 위해 기꺼이 희생하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그 심청이다. 반대로 자신이 왜 그런 희생을 해야 하는지 항변하는 검은 심청은 우리가 이번 공연을 통해 처음 만나는 심청이다.
인터미션 없이 3막으로 전개되는 공연은 심학규를 떠나 선인(船人)들을 따라간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1막, 바다 속에서 용궁여왕과 신녀들을 만나 다시금 지상으로 올라갈 기회를 얻는 2막, 왕을 만난 심청이 맹인들을 위한 잔치를 열어 심학규와 재회하고 눈을 뜬 아버지 앞에서 왕과 결혼식을 올리는 3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의 또 다른 주인공, 영상
무용극이지만 극의 전개를 이끄는 것은 움직임보다 색채감의 감각적인 운영이다. 1막에서 흰 심청과 검은 심청은 각각 흰 치마저고리와 검은 치마저고리를, 심학규는 회색 두루마기를 입었고, 무대 삼면과 바닥까지 설치된 LED 패널도 수묵화를 보는 듯한 무채색 톤으로 통일되어 있다. 용궁을 배경으로 한 신비로운 2막은 어두운 1막에서 갑자기 불이 켜진 듯 화사한 핑크색으로 전환되며, 3막에 이르면 다시 무채색으로 돌아갔다가 심학규가 눈을 뜨고 난 뒤 다시 색을 얻으며 시각을 되찾은 세계의 활기를 보여준다.
무대 삼면과 바닥을 모두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영상은 공연의 또 다른 주인공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상은 움직임을 뒷받침하는 데에서 머물지 않고 무용수와 동등한 위상을 지니고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또 하나의 주체로 기능한다. 1막에서는 심학규의 집 앞에 고즈넉하게 핀 꽃을 보여주다 이내 심청을 덮치는 사나운 파도로 변하고, 2막으로 넘어가면 사나운 파도는 잦아들고 온통 핑크색인 신비로운 바다 속에는 역시나 핑크색으로 발광하는 생물체가 등장한다.
그리고 육지에 도달한 심청이 안내된 궁궐은 바다 깊은 곳과 대비되는 푸른 하늘과 단청이 아름다운 궁궐의 지붕, 그리고 궁궐 내부의 귀한 기물들이 미니멀한 그래픽 디자인으로 재현된다. 공연의 하이라이트인 궁중 혼례와 수제천 장면에서는 궁중 복식과 이를 응용한 문양의 조화로 대미를 장식한다.
반복되는 죽음과 탄생의 미학
각각의 막은 커튼을 열고 닫는 물리적 전환 없이 연꽃 위에 웅크리고 누운 심청이 일어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는 무대의 전환이라기보다 이야기의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며, 이야기는 매번 심청의 탄생을 통해 시작되는 것이다. 심청의 자기희생이 심학규의 개안을 이끌어낸다는 스토리는 동일하게 전개되지만 공연은 이 결말이 심청의 죽음과 탄생이 거듭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중요하게 짚는다.
1막은 극 전체에서 흰 심청과 검은 심청으로 양분된 심청 내면의 갈등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파트다. 흰 심청은 조하늘과 박정은, 검은 심청은 박지연과 이수빈이 맡아 심청의 복잡한 내면을 연기했는데, 심학규와 두 심청이 함께하는 3인무에서 흰 심청은 아버지에게 지팡이를 쥐어 주며 홀로 남을 그를 염려하고 검은 심청은 아버지에게서 지팡이를 빼앗으며 그의 안위에 대해 매몰차게 군다. 그러나 이 장면에서 심청이 왜 효도라는 이름의 희생을 해야 하는지 의문을 표하는 검은 심청의 문제 제기는 합리적인 질문이 아니라 심학규의 안위를 해치는 방식으로 표현되며 내면의 갈등이라기보다는 전형적인 선과 악의 대립처럼 그려진다.
이는 작품의 정체성을 심청의 심리 드라마로 새롭게 표방한 제작진이 좀 더 고민해야 할 부분이며, 검은 심청은 심학규가 눈을 뜬 3막에 다시 등장해 앞의 대립을 해소하고 희생제물이라는 위치에서 벗어나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심청을 축원하는데, 이 검은 심청의 존재 역시 작품을 입체적인 심리 드라마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기능적인 쓰임 이상의 서사가 필요할 것이다.
용궁여왕과 뺑덕어멈, 인물은 무대에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원작의 용왕을 용궁 여왕으로 바꾼 것은 서사는 물론 움직임의 전개에 있어서도 탁월한 각색이라 하겠다. 죽음과 탄생을 거듭하는 심청에게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는 존재를 여왕으로 설정한 것은 바다의 지배자를 남성이라는 전통적인 전형에서 여성의 얼굴로 바꿨다는 성별 고정관념 탈피의 의미도 있지만 여성에게서 여성으로 이어지는 생명의 순환과 계보의 의미를 되살린다는 의미에서 더더욱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용궁 여왕과 신녀들로 구성된 여성 군무로 2막이 채워지며 움직임에 있어서도 더욱 완성도 높은 군무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용궁여왕 역은 배우 채시라가 예술단원 나래와 더블 캐스팅되며 화제가 되었는데, 채시라는 지난해 서울무용제 홍보대사를 맡아 ‘명작무극장’에서 정재만류 산조를 선보이며 호평받기도 했다. 이번 공연에서도 20여 분간 진행되는 2막의 군무에서 깔끔한 움직임과 연기로 군무진을 리드하며 장편 무대에 손색없이 녹아들어 베테랑 배우의 관록을 증명했다.
주요 인물 외에 눈에 띄는 이는 심학규의 후처 뺑덕어멈이다. 원작에서 심학규가 그와 혼인하는 것은 심청이 인당수로 향하는 여정을 떠나고 나서의 일이지만 공연에서는 일찍 등장해 심학규와 함께 심청을 떠나보낸다. 뺑덕어멈의 투입은 심리 드라마를 표방하며 원작의 해학성을 걷어낸 각색에서 자칫 무거워질 수 있는 무대에 활기를 주기 위한 장치로 보이나 인물 고유의 서사가 없다 보니 작품에 제대로 녹아들지 못한다.
물론 이 각색본에서 고유의 서사가 주어졌다고 할 수 있는 인물은 심청과 심학규 부녀뿐이지만 군무로 등장하는 용궁 신녀들이나 군사들, 맹인들까지 모두가 자신들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이유를 갖고 있는 데 비해 뺑덕어멈만이 이유 없이 헛돈다. 뺑덕어멈이 등장하는 원작 완판본은 유교적 가족 윤리와 세속적인 현실의 충돌을 그리고 있으며, 뺑덕어멈은 그 세속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춤으로서가 아니라 이야기로서 그에게 적절한 자리가 주어지려면 현재의 각색본보다는 좀 더 유연하게 원작의 이야기를 당겨올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2 (2025.6.20.) Issue
Written by Yoon Dan-woo (Columnist of Performing Arts)
Photo Courtesy of National Jeongdong Theater
Looking into Simcheong’s Two Hearts: National Jeongdong Theater’s 〈Dansim〉
For creators who want to create new works with Korean materials, classical novels are a treasure trove of inspiration. Among them, 『Simcheongjeon』 and 『Chunhyangjeon』 are the most reinterpreted classic novels and are the works that receive the affection and interest of creators. Such affection and interest reveal the creator’s perspective on patriarchy in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ystem as a ‘daughter who is filial to her father’ and a ‘wife who is chaste to her husband.’ Around the same time, two dance performances based on 『Simcheongjeon』 and 『Chunhyangjeon』 were performed one after another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is the National Jeongdong Theater’s
White Simcheong and Black Simcheong, the Confrontation of Two Hearts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presented 〈Dansim〉 as a new work to commemorate its 30th anniversary. Following “Gwangdae” that was performed early this year, this is the second work in the K-Culture series, and will be performed 50 times from May 8 to June 28, making it an unprecedented long-running traditional performance.
Designer Jeong Gu-ho, who previously collaborated as director and choreographer for the Seoul Metropolitan Dance Company’s 〈Ilmu〉 and former Seoul Metropolitan Dance Company artistic director Jeong Hye-jin have joined hands once again for this new work at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Composers Kim Cheol-hwan and Park Da-ul collaborated on the music, while Ahn Se-woon, Kim Jang-yeon, and Min Seon-hong worked together on the sound design, video design, and lighting design to ensure the perfection of the performance.
The title 〈Dansim(單心)〉 means to devote one’s heart, and the performance, adapted from the classic novel 『Simcheongjeon』 focuses on the heart of the main character Simcheong.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original text and existing interpretations that focused on praising the virtue of filial piety without any doubt about Simcheong’s self-sacrifice, even sacrificing herself for her father.
To this end, the work divided the main character Simcheong into two characters: white and black. White Simcheong is the Simcheong we all know who willingly sacrifices herself to restore her father’s sight. On the other hand, black Simcheong, who protests why she must make such a sacrifice, is the Simcheong we meet for the first time in this performance.
The performance, which unfolds in three acts without an intermission, consists of Act 1, where Simcheong leaves Sim Hak-gyu and follows the sailors, throws herself into Indangsu, Act 2, where she meets the Dragon Palace Queen and the priestesses in the sea and gains another chance to return to the surface, and Act 3, where Simcheong, who has met the king, holds a banquet for the blind, reunites with Sim Hak-gyu, and gets married to the king in front of her father who has regained his sight.
Another main character of the work, video
Although it is a dance drama, what drives the development of the play is the sensual use of color rather than movement. In Act 1, White Simcheong and Black Simcheong wear white and black chima-jeogori respectively, while Sim Hak-gyu wears a gray durumagi, and the LED panels installed on the three sides of the stage and the floor are also unified in achromatic tones reminiscent of a sumi-e painting. The mysterious Act 2, set in the Dragon Palace, changes from the dark Act 1 to a bright pink color as if a light suddenly came on, and in Act 3, it returns to achromatic color again, but after Sim Hak-gyu opens his eyes, it regains color and shows the vitality of the world that has regained its sigh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video, which uses all three sides of the stage and the floor as screens, is another main character of the performance. The video does not stop at supporting the movement, but functions as another subject that leads the story with equal status to the dancers. In Act 1, flowers blooming quietly in front of Sim Hak-gyu’s house are shown, but soon they change into fierce waves that cover Sim Cheong. In Act 2, the fierce waves subside and a pink luminous creature appears in the mysterious sea that is completely pink.
And the palace where Sim Cheong is guided to after reaching land is recreated with minimal graphic design, with the blue sky contrasting with the depths of the sea, the roof of the palace with beautiful Dancheong, and the precious objects inside the palace. The highlight of the performance, the palace wedding and the Sujecheon scene, is decorated with the harmony of palace attire and patterns that apply it.
The aesthetics of repeated death and birth
Each act begins with Sim Cheong crouching on a lotus flower and rising without the physical transi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curtain. This means a new beginning of the story rather than a change of stage, and the story begins with Sim Cheong’s birth each time. The story of Simcheong’s self-sacrifice leading to Sim Hak-gyu’s enlightenment unfolds in the same way, but the performance emphasizes that this ending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Simcheong’s death and birth.
Act 1 is the part where Simcheong’s inner conflict, divided into white and black Simcheong, is most clearly revealed throughout the play. White Simcheong is played by Jo Ha-neul and Park Jeong-eun, while black Simcheong is played by Park Ji-yeon and Lee Su-bin, and Simcheong’s complex inner self is portrayed. In the trio dance with Sim Hak-gyu and the two Simcheongs, white Simcheong gives her father a cane and worries about him being left alone, while black Simcheong snatches the cane from her father and acts indifferently about his safety. However, in this scene, black Simcheong’s question of why Simcheong must make a sacrifice in the name of filial piety is not a rational question, but is expressed in a way that harms Sim Hak-gyu’s safety, and is portrayed as a typical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rather than an inner conflict.
This is something that the production team, who have newly declared the identity of the work as a psychological drama of Simcheong, should think about more, and the black Simcheong reappears in the third act when Sim Hak-gyu opens his eyes to resolve the previous conflict and to celebrate Simcheong’s escape from the position of a sacrificial offering and find her own happiness. The existence of this black Simcheong will also require a narrative that goes beyond functional use in order to complete the work as a three-dimensional psychological drama.
How should the characters of the Dragon Palace Queen and the Bbaengdeok Mother exist on stage?
Changing the original Dragon King to the Dragon Palace Queen is an excellent adaptation in terms of the narrativ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movement. Setting the being who gives new life to Simcheong, who goes through repeated deaths and births, as a queen is meaningful in that it breaks away from gender stereotypes by changing the traditional male ruler of the sea to a female face, but it is even more meaningful in that it revives the meaning of the cycle of life and genealogy that passes from woman to woman.
In addition, the second act is filled with a female corps de ballet composed of the Dragon Palace Queen and the priestesses, and we can see a more complete corps de ballet in terms of movement. The role of the Dragon Palace Queen was double-casted with actress Chae Si-ra and art troupe member Na-rae, which became a hot topic. Chae Si-ra served as the Seoul Dance Festival’s public relations ambassador last year and received favorable reviews for performing Jeong Jae-man’s Sanjo at ‘Myeongjak Dance Theater.’ In this performance, she led the corps de ballet with clean movements and acting in the corps de ballet that lasted about 20 minutes, proving her veteran acting skills by blending in well with the long stage.
In addition to the main characters, the one who stands out is Sim Hak-gyu’s second wife, Bbaengdeok Eomma. In the original work, Sim Hak-gyu marries her after Sim Cheong leaves for Indangsu, but in the performance, she appears early and sends Sim Cheong off with Sim Hak-gyu. The introduction of Bbaengdeok Eomma seems to be a device to liven up the stage, which could easily become heavy in an adaptation that promotes a psychological drama and removes the humor of the original work, but since the character does not have his own narrative, he is not properly incorporated into the work.
Of course, the only characters who can be said to have their own narrative in this adaptation are Simcheong and Sim Hak-gyu, but while the Yonggung priestesses, soldiers, and even the blind who appear as a group dance all have reasons for being there in the scenes in which they appear, Bbaengdeok Eomma is the only one who wanders around without any reason. The original version featuring Bbaengdeok Eomma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Confucian family ethics and worldly reality, and Bbaengdeok Eomma is a character representing that worldliness. In order for her to be given an appropriate place as a story rather than a dance, it seems necessary to pull the original story together more flexibly than the current adaptation.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