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비평
Vol.118-2 (2025.6.20.) 발행
글_ 이희나(춤평론가)
사진제공_ Ⓒ Bolshoi Theatre
〈맑은 시냇물(Светлый ручей)〉이라는 발레는 우리나라에서는 꽤 생소하다. 익히 알려진 고전 발레도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공연한 유명한 현대발레도 아니다. 이 작품은 러시아에서만 공연할 법한, 혹은 구소련의 정서를 공유하는 문화권에서 좀 더 쉽게 받아들일 만한 색채를 지녔다. 소비에트 시기의 한 집단농장을 배경으로 일어나는 해프닝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혁명 이후의 소련 문화의 색채가 물씬 풍기는 장면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제목으로 유추해 보자면 무언가 ‘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소재로 할 것 같지만 실제 내용은 이와 전혀 관계가 없다. ‘맑은 시냇물’은 러시아 남쪽에 위치한 쿠반(Кубань) 지역에 있는 어느 집단농장(콜호즈; Колхоз)의 이름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이 콜호즈에 공동 거주하는 조합원들과 일꾼들, 그리고 여기에 방문한 예술단체(극중 인물 발레리나와 발레리노, 그리고 아코디어니스트)이다. 과거에 발레리나를 꿈꿨지만 지금은 콜호즈에서 지역 행사와 공연을 기획하는 일을 하는 지나와 농업을 공부하는 학생인 표트르는 젊은 부부이다. 마을에는 지나와 표트르의 친구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 ‘다차’라고 부르는 러시아 시골 별장에 거주하는 노부부, 여학생 갈리야. 우유를 짜는 여인, 트랙터 운전사, 쿠반 농장 일꾼들, 캅카스 산악인 등이 각자의 개성을 뽐내며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유쾌한 코믹 발레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작품의 내용은 가볍고 단순하다. ‘맑은 시냇물’ 집단 농장에 무용수들과 아코디언 연주자가 방문을 하고 마을 사람들은 이들을 환영한다. 지나는 자신의 과거를 숨기고 있지만 어릴 적에 발레리나와 함께 무용학교에 다녔다. 이 사실을 모르는 표트르는 춤도 잘 추고 매력적인 발레리나에게 반해 지나를 두고 한눈을 팔고, 지나는 남편의 바람기에 낙담한다. 한편, 다차에 사는 노부부는 각자 발레리나와 발레리노에게 빠져 현실 파악을 하지 못하고 한밤중의 사랑 고백을 준비한다. 발레리나와 지나, 발레리노는 마을 사람들과 함께 꾀를 내어 노부부와 표트르를 속이고 결국 이들은 진실을 깨닫는다. 그들을 속이는 과정에서 발레리노는 실피드처럼 로맨틱 튀튀를 입고 포인트 슈즈를 신고서 발레리나 흉내를 내며 발레리나는 남장을 하고 발레리노 흉내를 낸다. 또한 표트르를 속이기 위해 지나에게 발레리나의 옷을 입히고 가면을 씌워 표트르를 골탕 먹인 후 찐사랑의 마음을 깨닫게 한다.
여장남자-남장여자, 혹은 가면을 씌워 신분을 숨기는 모티브는 희극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투적인 소재이다. 셰익스피어의 희극 『당신 좋으실 대로(As You Like It)』의 남장여자 로잘린드 캐릭터, 그리고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서 수잔나와 백작부인이 알마비바 백작을 속이는 대목이 떠올랐다. 복잡하거나 비장한 스토리라인이 아니기에 작품에서 더 중요해지는 것은 각 인물의 개성과 무용수들의 표현이었다. 네 명의 주인공 중에서도 발레리나와 발레리노는 말 그대로 전문 예술가 역할이기 때문에 더욱 능수능란한 테크닉을 뽐내면서도 여유가 있어야 한다. 발레리노는 포인트 슈즈를 신고 우스꽝스러우면서도 깃털처럼 가벼운 공기의 요정을 연기해야 하며, 발레리나는 뛰어난 점프력과 턴을 자랑하는 박력 넘치는 춤을 춰야 한다. 순진한 시골 처녀로만 보이던 지나는 작품의 후반부로 갈수록 숨기고 있던 춤에 대한 열망과 끼를 드러내고, 진정한 사랑의 마음을 모르던 표트르는 능구렁이 같지만 촌스러운 순박함을 표현해야 한다. 노부부와 다른 마을 사람들의 코믹한 동작들과 활기 넘치는 춤은 과하거나 억지스럽지 않고 웃음 포인트를 제대로 건드려준다. 자칫 마임이나 과장된 동작으로 유치해질 수 있는 대목도 적절한 춤 언어로 표현하여 세련미와 재미를 동시에 잡았다. 주역 무용수들의 기교와 연기도 매력적이었을 뿐 아니라 마치 소련의 집체무용을 연상케 하는 군무의 일사불란함과 활기가 관객들로 하여금 어깨를 들썩이게 했다.
이 작품을 언급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작품의 초연은 1935년 4월 4일, 레닌그라드에 있는 말리 씨어터에서 있었다. 쇼스타코비치(Дмитрий Д. Шостакович, 1906-1975)의 음악에 맞춰 아드리안 피오트롭스키(Адриан И. Пиотровский, 1898-1937)와 표도르 로푸호프(Фёдор В. Лопухов, 1886-1973)가 대본을 썼으며 안무 역시 로푸호프가 맡았다. 성공적인 초연 이후 모스크바로 날아와 같은 해 11월 30일, 볼쇼이극장에서 공연을 올렸다. 그러나 이 작품의 운명은 여기까지였다. 이듬해인 1936년 2월 6일, 러시아 언론 〈프라우다(Правда)〉지에 ‘발레적인 허구(балетная фальшь)’라는 비판 사설이 실린 후 공연을 금지당했다. 금지의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이 지나치게 형식주의를 표방하고 리얼리즘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발레가 집단농장을 묘사함에 있어 진지하지 못하고 경박하며 우스꽝스럽게 표현했다는 것이었다. 스탈린의 집권 이후 1934년 제1차 소비에트 작가회의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예술 창작의 토대로 채택되면서 소련의 예술은 그 규칙에 따라 통제되었다. 이 비판은 사실 〈맑은 시냇물〉에 대한 것만은 아니었던 바, 쇼스타코비치는 오페라 〈므첸스크의 멕베스 부인〉에서부터 이미 “음악이 아니라 혼돈”이라는 혹평을 받으며 정치적으로 탄압을 받았다.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에서의 두 차례 공연 이후 자취를 감춰버린 이 발레를 다시 세상 밖으로 불러온 안무가는 알렉세이 라트만스키(Alexei Ratmansky)였다. 레닌그라드 출신으로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성장한 그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볼쇼이발레단의 예술감독을 역임하기도 하였으며 이후 미국으로 거점을 옮겨 아메리칸발레시어터와 뉴욕시티발레단에서 활동하고 있다. 라트만스키 작업의 주요한 두 축은 순수 창작물과 기존 작품의 재창작이다. 그는 고전 발레뿐 아니라 소련 시대에 만들어졌던 소비에트 발레의 유산에도 관심이 많았다. 볼쇼이발레단에 있는 동안 〈맑은 시냇물〉(2003), 〈볼트(Болт)〉(2005), 〈파리의 불꽃(Пламя Парижа)〉(2008) 등 공연이 단절되었던 작품들을 재안무하여 무대에 올렸다. 대본과 같은 기본적 기록 이외 안무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작품도 있었기에 〈맑은 시냇물〉 역시 많은 부분 라트만스키가 다시 창작하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안무가는 이 발레가 왜 금지되었는지를 상기시키려는 듯 ‘발레적인 허구’라는 문구가 큼지막하게 프린트된 배경막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작품을 시작한다. 사상성을 제거한 관점에서 이 부분은 판타지로 들어가는 서막처럼 보이기도 하고 일종의 역설적 장난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굉장히 아이러니하게도 이 작품은 최근에 또 한 번 정치적 이슈에 휘말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마자 안무가 라트만스키가 우크라이나 쪽에 서면서 러시아를 떠났기 때문이다. 전쟁이 시작되던 2022년 당시 라트만스키는 볼쇼이발레단과 새로운 작품에 착수해 있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 때때로 SNS를 통해 러시아에 대해 적대감을 표해왔던 라트만스키는 올해 볼쇼이발레단이 〈맑은 시냇물〉 공연을 계획하자 SNS에 공개적으로 이를 비난하며 공연을 반대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인지라 발레단 측에서도 이 공연을 홍보하면서 원작 안무가인 로푸호프의 이름만 언급했을 뿐 제작진 리스트에서 라트만스키의 이름을 지워버렸다. 볼쇼이의 프로그램북은 새로운 프로덕션이 아닌 이상 기존의 프로그램북 내용을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2025년 공연의 프로그램북에서는 기존의 내용에서 라트만스키의 인터뷰와 그의 제작일지 등을 삭제했다. 한마디로 안무가의 흔적을 없애버린 것이다. 라트만스키는 볼쇼이를 향해 “도둑질”을 했다며 러시아와 동급으로 치부했으나 볼쇼이는 아랑곳하지 않고 이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3월 13일-16일, 6월 17-19일).
〈맑은 시냇물〉은 정치적 탄압과 구설수에서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이었던 것 같다. 라트만스키가 현재 활동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The Bright Stream〉이라는 제목으로 공연되는 작품이 러시아 볼쇼이발레단에서는 안무 당사자의 이름을 떼고 무대에 올라가는 우스꽝스러운 아이러니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레 자체는 한없이 유쾌하고 발랄하기 그지없다. 예술 작품이 무슨 잘못이 있겠는가. 단지, 순수한 예술 작품의 둘레에 성숙하지 못한 정치적 구설과 논란이 묻어나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전세계의 독자들을 위해 '구글 번역'의 영문 번역본을 아래에 함께 게재합니다.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Please note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ogle Translate" is provided below for worldwide readers. Please understand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Review
Vol.118-2 (2025.6.20.) Issue
Written by Lee Heena (Dance Critic)
Photo provided by Ⓒ Bolshoi Theatre
The protagonist of political oppression and controversy, a cheerful and lively comic ballet: Bolshoi Ballet’s 〈The Bright Stream〉
The ballet 〈The Bright Stream(Светлый ручей)〉 is quite unfamiliar in Korea. It is neither a well-known classical ballet nor a famous modern ballet performed in Korea. This work has a color that can only be performed in Russia or is more easily accepted in cultural spheres that share the sentiments of the former Soviet Union. Since it is based on a happening that occurred in a collective farm during the Soviet era, scenes that are full of the colors of Soviet culture after the revolution appear here and there.
If you infer from the title, it seems like it will be about something related to ‘water’, but the actual content has nothing to do with it. ‘The Bright Stream’ is the name of a collective farm (kolkhoz; Колхоз) in the Kuban region in southern Russia. The characters in the work are the members and workers who live together in the kolkhoz, and the art group (the ballerina, ballet dancer, and accordionist in the play) that visit the kolkhoz. Zina, who dreamed of being a ballerina in the past but now works at the kolkhoz to plan local events and performances, and Pyotr, a student studying agriculture, are a young couple. There are various people in the village, including Zina and Pyotr’s friends. An old couple living in a Russian country cottage called a ‘dacha’, a school girl Galya. A milkmaid, a tractor driver, Kuban farm workers, and Caucasus mountaineers each show their own individuality and create the story.
As it aims to be a cheerful comic ballet, the content of the work is light and simple. Dancers and an accordion player visit the ‘The Bright Stream’ collective farm, and the villagers welcome them. Gina hides her past, but she attended a dance school with a ballerina when she was young. Pyotr, who is unaware of this fact, falls for the attractive and good dancer and loses his eyes to Gina, and Gina is discouraged by her husband's affair. Meanwhile, an old couple living in a dacha are each in love with a ballerina and a ballerino, and they prepare a midnight confession of love, unable to grasp reality. The ballerina, Gina, and the ballerino work together with the townspeople to deceive the old couple and Pyotr, and they eventually realize the truth. In the process of deceiving them, the ballerino imitates the ballerina by wearing a romantic tutu and pointe shoes like a sylph, and the ballerina imitates the ballerina by disguising herself as a man. In addition, in order to deceive Pyotr, Gina dresses in the ballerina’s clothes and puts a mask on her, causing Pyotr to suffer and then realizing her true love.
The motif of cross-dressing men and women, or hiding one’s identity by putting on a mask, is a common cliche in comedy. The character of Rosalind, a cross-dresser in Shakespeare’s comedy 『As You Like It』, and the part in Mozart’s opera 〈The Marriage of Figaro〉 where Susanna and the Countess deceive Count Almaviva came to mind. Since the storyline is not complicated or tragic, the individuality of each character and the expression of the dancer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work. Among the four main characters, the ballerina and ballet dancer are literally professional artists, so they must show off their more skillful techniques while remaining relaxed. The ballet dancer must wear pointe shoes and act as a comical yet feather-light air nymph, while the ballerina must dance powerfully with excellent jumps and turns. Gina, who appears to be an innocent country girl, reveals her hidden desire and talent for dancing as the work progresses, and Pyotr, who does not know the true heart of love, must express a cunning yet rustic innocence. The comical movements and lively dances of the old couple and other villagers are neither excessive nor forced, and hit the right point of laughter. Even the parts that could easily be childish with mime or exaggerated movements were expressed with appropriate dance language, capturing both sophistication and fun. Not only were the techniques and acting of the main dancers attractive, but the unison and liveliness of the corps de ballet, reminiscent of Soviet collective dance, made the audience move their shoulders.
In order to mention this work, we must also consider its political context. The work premiered on April 4, 1935, at the Maly Theater in Leningrad. It was set to music by Dmitry D. Shostakovich (1906-1975), with a libretto by Adrian I. Piotrovsky (1898-1937) and Fyodor V. Lopukhov (1886-1973), and choreography by Lopukhov. After the successful premiere, it flew to Moscow and was performed at the Bolshoi Theatre on November 30 of the same year. However, that was not the end of the work. On February 6, 1936, the following year, the Russian newspaper Pravda published a critical editorial calling it a “"Balletic Falsity” and the performance was banned. There were two main reasons for the ban. One was that Shostakovich’s music was too formalistic and did not pursue realism, and the other was that the ballet depicted the collective farm in a frivolous, frivolous, and comical way. After Stalin came to power, socialist realism was adopted as the basis for artistic creation at the First Soviet Writers’ Conference in 1934, and Soviet art was controlled by its rules. This criticism was not limited to 〈The Bright Stream〉, as Shostakovich had already been politically oppressed since his opera 〈Lady Macbeth of the Mtsensk District〉, which was criticized as “chaos, not music.”
The choreographer who brought this ballet back to the world after two performances in Leningrad and Moscow was Alexei Ratmansky. Born in Leningrad and raised in Kiev, Ukraine, he served as the artistic director of the Bolshoi Ballet from 2004 to 2008 before moving to the United States to work with the American Ballet Theatre and the New York City Ballet. Ratmansky’s two main axes of work are original works and recreations of existing works. He was interested not only in classical ballet but also in the legacy of Soviet ballet created during the Soviet era. While at the Bolshoi Ballet, he re-choreographed and staged works that had been discontinued, such as 〈The Bright Stream〉 (2003), 〈Bolt〉 (2005), and 〈Flames of Paris〉 (2008). Since there are works where little choreography remains beyond the basic records such as the libretto, it is safe to say that 〈The Bright Stream〉 was also largely re-created by Ratmansky. The choreographer begins the piece with a scene showing a backdrop with the phrase “Ballet Falsity” printed in large letters, as if to remind us why this ballet was banned. From a perspective that removes ideology, this part can be seen as a prelude to fantasy or as a kind of paradoxical joke.
However, ironically, this piece has recently become embroiled in political issues once again. As soon as the Russo-Ukrainian War broke out, choreographer Ratmansky left Russia, taking the Ukrainian side. In 2022, when the war began, Ratmansky was working on a new piece with the Bolshoi Ballet, but it eventually fell through. Ratmansky, who has occasionally expressed hostility toward Russia through social media, publicly criticized the Bolshoi Ballet’s plan to perform 〈The Bright Stream〉 this year on social media and opposed the performance. Since it was a politically sensitive issue, the ballet company also promoted the performance, only mentioning the name of the original choreographer, Lopukhov, and removing Ratmansky’s name from the production list. The Bolshoi's program book often reuses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program book unless it is a new production, but the program book for this 2025 performance has deleted Ratmansky's interview and his production diary from the existing contents. In short, the traces of the choreographer have been erased. Ratmansky criticized the Bolshoi for "stealing" and considered it to be on the same level as Russia, but the Bolshoi paid no attention and staged the work (March 13-16, June 17-19).
Unfortunately, 〈The Bright Stream〉 seems to have been destined to be unable to escape political oppression and gossip. In the United States, where Ratmansky is currently working, the work is performed under the title 〈The Bright Stream〉 but the Bolshoi Ballet in Russia has staged it without the name of the choreographer, which is a ridiculous irony. Despite this, the ballet itself is infinitely cheerful and lively. What could be wrong with a work of art? It is just regrettable that immature political talk and controversy surround pure works of art.
웹진 댄스포스트코리아는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주체지원사업'으로부터 제작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습니다.